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 및 그제조물을 이용한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12682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보다 저렴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물과 이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2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를 테트라히드로퓨란(THF)에 용해시키고, 디부틸 프탈레이트(DBP)와 실리카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에 유리판 위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필름을 만드는 단계; PVC를 THF에 용해시키고, DBP와 카본블랙을 첨가하고, 리튬코발트옥사이드와 메조페이스카본 미크로비트(MCMB)를 각각 첨가하여 혼합하고, 각 혼합물을 유리위에 도포건조하여, 양극필름과 음극필름을 만드는 단계; 상기 양극필름을 알루미늄 집전체의 양면에, 상기 음극필름을 구리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부착하고 열압착하여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양극, 고분자 전해질 필름, 및 음극을 차례로 쌓은 후, 열압착하여 일체형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지를 용매에 넣어 상기 전지내의 상기 DBP를 추출 제거한 후 건조하여, 다공성 전지로 만드는 단계; 및 1몰(mol)의 리튬퍼클로레이트)가 50/50 vol %의 에틸렌 카보네이트(E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에 용해된 액체 전해액내에, 상기 다공성 고분자필름을 넣어, 최종 리튬폴리머 2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리튬폴리머 전지, 매트릭스 고분자, 고비점 가소제, 용매 추출법, 실리카
Int. CL H01M 10/0525 (2010.01) H01M 10/0565 (2010.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000015364 (2000.03.25)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0337660-0000 (2002.05.09)
공개번호/일자 10-2001-0090406 (2001.10.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20524)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0.03.25)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진봉수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2 문성인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3 도칠훈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4 윤문수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래봉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정의로*길 ** 힐스테이트에코송파 B동 ***호(로앤텍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0.03.25 수리 (Accepted) 1-1-2000-0058936-94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1.01.26 수리 (Accepted) 4-1-2001-0008178-68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1.01.26 수리 (Accepted) 4-1-2001-0008089-03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1.10.10 수리 (Accepted) 4-1-2001-0116129-97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2.02.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2-0051583-88
6 의견서
Written Opinion
2002.04.03 수리 (Accepted) 1-1-2002-0101097-60
7 서지사항 보정서
Amendment to Bibliographic items
2002.04.03 수리 (Accepted) 1-1-2002-0101095-79
8 명세서 등 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2002.04.03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02-0101096-14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2.05.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2-0162024-58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11.17 수리 (Accepted) 4-1-2009-5220117-37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0.11.08 수리 (Accepted) 4-1-2010-5207456-63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4 수리 (Accepted) 4-1-2015-0006987-2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매트릭스 고분자로서의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를 제 1용매로서의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 THF)을 이용해 용해시키고, 여기에 고비점 가소제를 첨가한 다음, 유기물질로 표면처리된 실리카(silica)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혼합물을 기재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하여, 상기 제 1용매가 제거된 고분자 전해질 필름으로 만드는 제 2 단계;

상기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상기 고비점 가소제만 용해시키고 상기 매트릭스 고분자는 용해시키지 않는 제 2용매로서의 메탄올(methanol) 또는 에틸 에테르(ethyl ether) 중 하나에 넣어 상기 고비점 가소제만을 제거함으로써, 미세한 다수의 기공을 가진 고분자 필름으로 만드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기공을 가진 고분자 필름을 리튬(Li) 염을 포함하고 있는 액체 전해액 속에 넣음으로써, 상기 액체 전해액이 상기 다수의 기공내로 스며든 최종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을 만드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의 제조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200,000의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의 제조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의 입도는 1㎛이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의 제조 방법

4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유기 물질은 실란(sil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의 제조 방법

5 5

삭제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점 가소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 DBP) 또는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중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의 제조 방법

7 7

삭제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LiClO4, LiAsF6, LiBF4, LiPF6, LiCF3SO3, LiN(CF3SO2)2 또는 LiC(CF3SO2)3중 하나이고, 상기 액체 전해액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디에틸렌 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디메틸렌 카보네이트(Dimethylene Carbonate), γ-부티롤락톤(γ-butyrolactone),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디에톡시 에탄(Diethoxy ethane) 또는 디메톡시 에탄(Dimethoxy ethane)중 하나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의 제조 방법

9 9

제 1 항 또는 제 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의 농도는 0

10 10

수평균분자량 약 99,000을 갖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PVC) 0

11 11

매트릭스 고분자로서의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를 제 1용매로서의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 THF)을 이용해 용해시키고, 여기에 고비점 가소제를 첨가한 다음, 유기물질로 표면처리된 실리카(silica)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기재 상에 균일하게 도포 건조하여 상기 제 1용매를 제거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매트릭스 고분자로서의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를 상기 제 1용매를 이용해 용해시키고, 고비점 가소제를 첨가하고, 카본 블랙을 첨가한 다음, 여기에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을 각각 첨가하여 혼합하고, 각 혼합물을 기재위에 도포 건조함으로써, 양극필름과 음극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양극필름을 제 1집전체의 양면에, 상기 음극필름을 제 2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부착한 다음, 약 110℃에서 열압착을 행함으로써,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양극, 상기 고분자 전해질 필름, 및 상기 음극을 차례로 쌓은 후, 약 110℃에서 열압착을 행함으로써, 일체형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지를, 상기 고비점 가소제만 용해시키고 상기 매트릭스 고분자는 용해시키지 않는 제 2용매로서의 메탄올(methanol) 또는 에틸 에테르(ethyl ether) 중 하나에 넣어 상기 고비점 가소제만을 제거함으로써, 다공성 전지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만들어진 다공성 전지를, 리튬(Li) 염을 포함한 액체 전해액 속에 넣어 그 액체 전해액이 다수의 기공내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최종 리튬폴리머 2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12 12

매트릭스 고분자로서의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를 제 1용매로서의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 THF)을 이용해 용해시키고, 고비점 가소제를 첨가하고, 카본 블랙을 첨가한 다음, 여기에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을 각각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각 혼합물을 기재위에 도포 건조함으로써, 양극필름과 음극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양극필름을 제 1집전체의 양면에, 상기 음극필름을 제 2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부착한 다음, 약 110℃에서 열압착을 행함으로써,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양극과 음극 위에, 매트릭스 고분자로서의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를 상기 제 1용매를 이용해 용해시키고 여기에 고비점 가소제 및 실리카(silica)를 첨가한 고분자 전해질 슬러리를, 각각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전해질 슬러리가 각각 도포된 양극 및 음극을 사용하여, 양극, 음극, 및 양극 순으로 쌓은 후 약 110℃에서 열압착을 행함으로써, 상호 용융 접착된 일체형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지를, 상기 고비점 가소제만 용해시키고 상기 매트릭스 고분자는 용해시키지 않는 제 2용매매로서의 메탄올(methanol) 또는 에틸 에테르(ethyl ether) 중 하나에 넣어 상기 고비점 가소제만을 제거함으로써, 다공성 전지로 만드는 단계;

상기 만들어진 다공성 전지를, 리튬(Li) 염을 포함한 액체 전해액 속에 넣어 그 액체 전해액이 다수의 기공내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최종 리튬폴리머 2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13 13

삭제

14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점 가소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 DBP) 또는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15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LiClO4, LiAsF6, LiBF4, LiPF6, LiCF3SO3, LiN(CF3SO2)2 또는 LiC(CF3SO2)3중 하나이고, 상기 액체 전해액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디에틸렌 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디메틸렌 카보네이트(Dimethylene Carbonate), γ-부티롤락톤(γ-butyrolactone),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디에톡시 에탄(Diethoxy ethane) 또는 디메톡시 에탄(Dimethoxy ethane)중 하나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16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의 농도는 0

17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옥사이드(LiCoO2), 상기 음극 활물질은 메조페이스 카본 미크로비트(MCMB), 상기 제 1 집전체는 알루미늄(Al), 그리고 상기 제 2 집전체는 구리(Cu)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