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왜곡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20572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은, 수용가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과,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부하 각각에 대한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을 통해 상기 수용가의 전기부하 구성 비율(LC: Load Composition)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의 전고조파 함유율(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및 상기 전고조파 함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품질 지수(DPQI: Distortion Power Quality Index)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전력 품질, 수용가, THD, 왜곡 전력, 비선형 부하
Int. CL G01R 19/00 (2006.01) H02J 3/12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070085441 (2007.08.24)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0872798-0000 (2008.12.02)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08120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7.08.24)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정욱 대한민국 서울시 서대문구
2 이순 대한민국 서울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7.08.24 수리 (Accepted) 1-1-2007-0615162-80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07.12.03 수리 (Accepted) 1-1-2007-0869962-23
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8.11.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8-0599223-8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12.15 수리 (Accepted) 4-1-2011-5252006-1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4.24 수리 (Accepted) 4-1-2013-5062749-37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6.24 수리 (Accepted) 4-1-2013-5088566-8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9.25 수리 (Accepted) 4-1-2014-5114224-7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수용가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과,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부하 각각에 대한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측정하는 단계;상기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을 통해 상기 수용가의 전기부하 구성 비율(LC: Load Composition)을 산출하는 단계;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의 전고조파 함유율(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을 산출하는 단계; 및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및 상기 전고조파 함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품질 지수(DPQI: Distortion Power Quality Index)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가는 PCC(Point of Common Coupling) 및 하나 이상의 비선형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을 통해 상기 수용가의 전기부하 구성 비율(LC: Load Composition)을 산출하는 단계는,상기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부하의 구성에 대한 모델링 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상기 모델링 함수로부터 최적화 기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에 대한 부하 계수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모델링 함수는, 이고, 상기 부하 계수는 k1 내지 k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최적화 기법을 통해 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최적화 기법은 컨쥬게이트 그레디언트 기법(Conjugate Gradient method) 또는 BFGS 기법(Broy Fletcher Goldfarb Shanno metho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의 전고조파 함유율(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을 산출하는 단계는,상기 각 부하에 대한 상기 전류 파형 및 상기 전압 파형을 각각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하는 단계;상기 이산 푸리에 변환된 전류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전류 전고조파 함유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상기 이산 푸리에 변환된 전압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에 걸리는 전압에 대한 전압 전고조파 함유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전고조파 함유율 및 상기 전압 전고조파 함유율은 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및 상기 전고조파 함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품질 지수(DPQI: Distortion Power Quality Index)를 산출하는 단계는,상기 각 부하에 대하여 상기 전류 전고조파 함유율 및 상기 전압 전고조파 함유율 간의 차의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상기 각 부하에 대하여 상기 절대값 및 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간의 곱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를 통해 상기 수용가의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발생 정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를 상기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 간의 합으로 나누어 표준화하는 단계; 및상기 표준화된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를 통해 상기 수용가의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발생 정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방법
1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12
수용가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부하 각각에 대한 전류 파형을 측정하는 전류 파형 측정부;상기 각 부하에 대한 전압 파형을 측정하는 전압 파형 측정부;상기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을 통해 상기 수용가의 전기부하 구성 비율(LC: Load Composition)을 산출하는 전기부하 구성 비율 산출부;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의 전고조파 함유율(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을 산출하는 전고조파 함유율 산출부; 및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및 상기 전고조파 함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품질 지수(DPQI: Distortion Power Quality Index)를 산출하는 왜곡 전력 품질 지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가는 PCC(Point of Common Coupling) 및 하나 이상의 비선형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산출부는, 상기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부하의 구성에 대한 모델링 함수를 산출하고, 상기 모델링 함수로부터 최적화 기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에 대한 부하 계수를 연산하여 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모델링 함수는, 이고, 상기 부하 계수는 k1 내지 k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산출부는 최적화 기법을 통해 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을 최적화하고, 상기 최적화 기법은 컨쥬게이트 그레디언트 기법(Conjugate Gradient method) 또는 BFGS 기법(Broy Fletcher Goldfarb Shanno metho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17 17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전고조파 함유율 산출부는, 상기 각 부하에 대한 상기 전류 파형 및 상기 전압 파형을 각각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하고, 상기 이산 푸리에 변환된 전류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전류 전고조파 함유율을 산출하며, 상기 이산 푸리에 변환된 전압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에 걸리는 전압에 대한 전압 전고조파 함유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전고조파 함유율 산출부는 의 식을 통해 상기 전류 전고조파 함유율 및 상기 전압 전고조파 함유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왜곡 전력 품질 지수 산출부는, DPQIp = LCP * |THDI,p - THDV,pcc|의 식을 통해 상기 왜곡 전력 품질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식에서 LC(Load Composition)는 상기 수용가의 전기부하 구성 비율이고, p는 수용가 부하의 종류이며, THDI,p 는 각 부하에서의 전류 전고조파 함유율이고, THDV,pcc는 PCC(Poimt of Common Coupling)에서의 전압 전고조파 함유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20 20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왜곡 전력 품질 지수 산출부는 상기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를 통해 상기 수용가의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발생 정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21 21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왜곡 전력 품질 지수 산출부는 상기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를 상기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 간의 합으로 나누어 표준화하고, 상기 표준화된 각 부하의 왜곡 전력 품질 지수를 통해 상기 수용가의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발생 정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품질 지수 측정 장치
22 22
수용가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부하 각각에 대한 전류 파형을 측정하는 전류 파형 측정부;상기 각 부하에 대한 전압 파형을 측정하는 전압 파형 측정부;상기 인입단의 전체 전류 파형 및 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을 통해 상기 수용가의 전기부하 구성 비율(LC: Load Composition)을 산출하는 전기부하 구성 비율 산출부;상기 각 부하의 전류 파형 및 전압 파형을 통해 상기 각 부하의 전고조파 함유율(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을 산출하는 전고조파 함유율 산출부; 및상기 전기부하 구성 비율 및 상기 전고조파 함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부하에 대한 왜곡 전력 품질 지수(DPQI: Distortion Power Quality Index)를 산출하는 왜곡 전력 품질 지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1501507 CN 중국 FAMILY
2 JP04685957 JP 일본 FAMILY
3 JP21545758 JP 일본 FAMILY
4 US08185358 US 미국 FAMILY
5 US20100131243 US 미국 FAMILY
6 WO200902876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1501507 CN 중국 DOCDBFAMILY
2 CN101501507 CN 중국 DOCDBFAMILY
3 JP2009545758 JP 일본 DOCDBFAMILY
4 JP2009545758 JP 일본 DOCDBFAMILY
5 JP2009545758 JP 일본 DOCDBFAMILY
6 JP4685957 JP 일본 DOCDBFAMILY
7 US2010131243 US 미국 DOCDBFAMILY
8 US8185358 US 미국 DOCDBFAMILY
9 WO200902876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자원부 한전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전력연구센터육성지원사업 (고급인력양성사업) 초전도 전력 기기 개발 및 계통적용과 운영기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