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보간 검출 장치, 보간 영역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2815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보간 검출 장치, 보간 영역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간 검출 장치는 입력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전환하고 필터를 적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에 적어도 한 방향의 커널을 적용하여 얻어진 유도 성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평균값의 주기적 특성으로부터 상기 입력 이미지의 보간 형태를 결정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보간, 위조, 변조, 이미지, 합성
Int. CL G06T 7/00 (2006.01) H04N 1/387 (2006.01)
CPC G06T 7/0002(2013.01) G06T 7/0002(2013.01) G06T 7/00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105677 (2009.11.03)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181086-0000 (2012.09.03)
공개번호/일자 10-2011-0048919 (2011.05.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20907)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11.03)
심사청구항수 3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근실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윤용인 대한민국 서울시 노원구
3 이원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동작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11.03 수리 (Accepted) 1-1-2009-0676734-28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0.08.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0.09.14 수리 (Accepted) 9-1-2010-0059504-51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1.01.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048357-16
5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1.03.25 수리 (Accepted) 1-1-2011-0219272-43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1.04.26 무효 (Invalidation) 1-1-2011-0309100-43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1.04.26 수리 (Accepted) 1-1-2011-0309099-84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1.04.2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1-0309091-19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1.04.26 수리 (Accepted) 1-1-2011-0309090-74
10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1.05.0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1-0039014-07
11 [반려요청]서류반려요청(반환신청)서
[Request for Return] Request for Return of Document
2011.05.09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1-0339422-87
12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11.05.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1-0040658-14
13 [지정기간단축]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Reduction of Designated Period] Request for Extension of Period (Reduction, Expiry Reconsideration)
2011.05.12 수리 (Accepted) 1-1-2011-0350161-79
14 무효처분통지서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
2011.05.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1-0042748-61
15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11.05.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1-0042727-13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07.20 수리 (Accepted) 4-1-2011-5148879-89
1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07.20 수리 (Accepted) 4-1-2011-5148883-62
18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1.11.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713175-13
1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1.12.29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1-1049374-37
2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1.12.29 수리 (Accepted) 1-1-2011-1049373-92
21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01.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031097-87
2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03.0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193801-32
2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03.09 수리 (Accepted) 1-1-2012-0193802-88
2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03.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162778-00
2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05.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402980-33
2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05.21 수리 (Accepted) 1-1-2012-0402979-97
2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2012.06.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361078-15
2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3 수리 (Accepted) 4-1-2014-0000494-54
2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0.20 수리 (Accepted) 4-1-2014-5123944-33
3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7.04 수리 (Accepted) 4-1-2018-5125629-51
3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29 수리 (Accepted) 4-1-2019-5151122-15
3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1 수리 (Accepted) 4-1-2019-5153932-1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입력 이미지(Y(i,j))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전환하고 필터를 적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에 수평 방향의 커널(Mh), 수직 방향의 커널(Mv) 또는 대각선 방향의 커널(Md)을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수평 방향 유도 성분(Dnh(i,j)), 수직 방향 유도 성분(Dnv(i,j)) 또는 대각선 방향 유도 성분(Dnd(i,j))을 구하고,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상기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하고,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된 각각의 신호의 크기가 갖는 특성으로부터 상기 입력 이미지의 보간 형태를 결정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보간 검출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입력 이미지(Y(i,j))에 상기 필터로서 로패스필터(H)를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보간 검출 장치
3 3
삭제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방향의 커널(Mh)은 1X3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수직방향의 커널(Mv)는 3X1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대각선 방향 커널(Md)는 3X3 크기의 [1, 0, -1; 0, 0, 0; -1, 0, 1]인 보간 검출 장치
5 5
삭제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상기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하여 상기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들 각각의 주기적 특성을 스펙트럼으로 표시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DFT)된 신호의 교류 전류 성분만을 계산하여 주파수 성분을 정규화하는 보간 검출 장치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0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0
9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최대값을 가지는 피크(fp)로부터 보간 계수(P)를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하는 보간 검출 장치
10 10
제6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에서 밸리형 알리아싱 및 기 설정된 값 이상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 이미지는 보간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보간 검출 장치
11 11
입력 이미지(Y(i,j))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전환하고 필터를 적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에 일정 크기의 블록 마스크를 이용하여 소정 픽셀 간격으로 블록 스캐닝을 수행하는 스캐닝부; 상기 소정 픽섹 간격의 블록들 각각에 수평 방향의 커널(Mh), 수직 방향의 커널(Mv) 또는 대각선 방향의 커널(Md)을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수평 방향 유도 성분(Dnh(i,j)), 수직 방향 유도 성분(Dnv(i,j)) 또는 대각선 방향 유도 성분(Dnd(i,j))을 구하고,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상기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DFT) 신호의 교류 전류 성분만을 계산하여 주파수 성분을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최대값을 가지는 피크(fp)로부터 상기 소정 픽섹 간격의 블록들 각각의 보간 계수(P)를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이 계산하고, 계산된 보간 계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표시한 검출맵을 형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상기 검출맵은 보간 영역과 비보간 영역이 상기 색상에 의해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보간 영역 검출 장치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입력 이미지(Y(i,j))에 상기 필터로서 로패스필터(H)를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9와 같이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보간 영역 검출 장치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스캐닝부는 상기 블록 마스크로 NXN 크기의 마스크를 이용하고, 상기 입력 이미지의 가로방향에 n 픽셀 간격으로 블록 스캐닝을 수행하는 보간 영역 검출 장치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스캐닝부는 상기 블록 마스크로 64X64 크기의 마스크를 이용하고, 상기 입력 이미지의 가로방향에 8 픽셀 간격으로 블록 스캐닝을 수행하는 보간 영역 검출 장치
15 15
삭제
16 16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방향의 커널(Mh)은 1X3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수직방향의 커널(Mv)는 3X1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대각선 방향 커널(Md)는 3X3 크기의 [1, 0, -1; 0, 0, 0; -1, 0, 1]인 보간 영역 검출 장치
17 17
삭제
18 18
삭제
19 19
삭제
20 20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각 블록의 수평, 수직, 대각선 방향에서 측정된 보간 계수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세 개의 방향의 보간 계수가 모두 상이하면 대각선 방향의 보간 계수를 해당 블록의 보간 계수로 결정하고, 두 개의 방향에서 같은 크기의 보간 계수가 측정되면 그 보간 계수를 해당 블록의 보간 계수로 결정하는 보간 영역 검출 장치
21 21
삭제
22 2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0
23 2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0
24 24
삭제
25 25
입력 이미지(Y(i,j))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전환하고 필터를 적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에 수평 방향의 커널(Mh), 수직 방향의 커널(Mv) 또는 대각선 방향의 커널(Md)을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수평 방향 유도 성분(Dnh(i,j)), 수직 방향 유도 성분(Dnv(i,j)) 또는 대각선 방향 유도 성분(Dnd(i,j))을 구하고,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계산하는 단계; 및상기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하고,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된 각각의 신호의 크기가 갖는 특성으로부터 상기 입력 이미지의 보간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간 검출 방법
26 26
제25항에 있어서,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 이미지(Y(i,j))에 상기 필터로서 로패스필터(H)를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보간 검출 방법
27 27
삭제
28 28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방향의 커널(Mh)은 1X3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수직방향의 커널(Mv)는 3X1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대각선 방향 커널(Md)는 3X3 크기의 [1, 0, -1; 0, 0, 0; -1, 0, 1]인 보간 검출 방법
29 29
삭제
30 30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이미지의 보간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하여 상기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들 각각의 주기적 특성을 스펙트럼으로 표시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DFT)된 신호의 교류 전류 성분만을 계산하여 주파수 성분을 정규화하는 보간 검출 방법
31 31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이미지의 보간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0
32 32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이미지의 보간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0
33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최대값을 가지는 피크(fp)로부터 보간 계수(P)를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하는 보간 검출 방법
34 34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이미지의 보간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에서 밸리형 알리아싱 및 기 설정된 값 이상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 이미지는 보간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보간 검출 방법
35 35
입력 이미지(Y(i,j))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전환하고 필터를 적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에 일정 크기의 블록 마스크를 이용하여 소정 픽셀 간격으로 블록 스캐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 픽섹 간격의 블록들 각각에 수평 방향의 커널(Mh), 수직 방향의 커널(Mv) 또는 대각선 방향의 커널(Md)을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수평 방향 유도 성분(Dnh(i,j)), 수직 방향 유도 성분(Dnv(i,j)) 또는 대각선 방향 유도 성분(Dnd(i,j))을 구하고,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계산하는 단계; 및상기 각 유도 성분의 절대값의 평균값(Vh, Vv, Vd)을 푸리에 주파수 변환(DFT)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DFT) 신호의 교류 전류 성분만을 계산하여 주파수 성분을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성분 중 최대값을 가지는 피크(fp)로부터 상기 소정 픽섹 간격의 블록들 각각의 보간 계수(P)를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이 계산하고, 계산된 보간 계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표시한 검출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검출맵은 보간 영역과 비보간 영역이 상기 색상에 의해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보간 영역 검출 방법
36 36
제35항에 있어서,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 이미지(Y(i,j))에 상기 필터로서 로패스필터(H)를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24와 같이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보간 영역 검출 방법
37 37
제35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스캐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블록 마스크로 NXN 크기의 마스크를 이용하고, 상기 입력 이미지의 가로방향에 n 픽셀 간격으로 블록 스캐닝을 수행하는 보간 영역 검출 방법
38 38
제37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마스크로 64X64 크기의 마스크를 이용하고, 상기 입력 이미지의 가로방향에 8 픽셀 간격으로 블록 스캐닝을 수행하는 보간 영역 검출 방법
39 39
삭제
40 40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방향의 커널(Mh)은 1X3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수직방향의 커널(Mv)는 3X1 크기의 [-1; 0; 1]이고, 상기 대각선 방향 커널(Md)는 3X3 크기의 [1, 0, -1; 0, 0, 0; -1, 0, 1]인 보간 영역 검출 방법
41 41
삭제
42 42
삭제
43 43
삭제
44 44
제35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 블록의 수평, 수직, 대각선 방향에서 측정된 보간 계수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세 개의 방향의 보간 계수가 모두 상이하면 대각선 방향의 보간 계수를 해당 블록의 보간 계수로 결정하고, 두 개의 방향에서 같은 크기의 보간 계수가 측정되면 그 보간 계수를 해당 블록의 보간 계수로 결정하는 보간 영역 검출 방법
45 45
삭제
46 46
삭제
47 47
삭제
48 48
삭제
49 49
삭제
50 50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서울특별시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 산학연 협력사업-기술기반구축사업 시네마/애니매이션/게임을 위한 미래형 콘텐스버젼서 클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