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및 이를 이용한 표면파 억제장치

  • 기술번호 : KST2014028634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주파수 선택표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FSS) 단위 셀 및 이를 이용한 표면파 억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택표면(FSS) 단위 셀은 제1 유전체층 및 제1 유전체층과 동일한 폭(W) 및 길이(L)로 제1 유전체층의 상면에 접하고, 길이(L) 방향의 양 끝단이 저면에서 구부러져 상면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공진기(Resonator)가 내장된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파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키고, 방사패턴을 향상시켜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표면파(Surface Wave), 단위 셀(Unit Cell)
Int. CL H01Q 13/08 (2006.01) H04B 1/38 (2006.01) H01Q 21/00 (2006.01) H01Q 1/24 (2006.01)
CPC H01Q 15/0013(2013.01) H01Q 15/0013(2013.01) H01Q 15/0013(2013.01) H01Q 15/0013(2013.01) H01Q 15/00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094629 (2009.10.06)
출원인 전자부품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040084-0000 (2011.06.02)
공개번호/일자 10-2011-0037262 (2011.04.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1060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10.06)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병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도봉구
2 김성주 대한민국 경기도 하남시
3 이명수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4 이재영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남충우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 광진빌딩)(알렉스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노철호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 에스동 ***호(삼평동,에이치스퀘어)(특허법인도담)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자부품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10.06 수리 (Accepted) 1-1-2009-0611452-02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4.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204049-74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4.17 수리 (Accepted) 4-1-2013-0013766-37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4 수리 (Accepted) 4-1-2020-5189497-5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저면이 접지면(Ground Plane)과 접하는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과 동일한 폭(W) 및 길이(L)로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길이(L) 방향의 양 끝단이 저면에서 구부러져 상면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공진기(Resonator)가 내장된 제2 유전체층 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표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 FSS) 단위 셀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WCDMA 주파수 대역에서 반파장 공진기(Half Wavelength Reson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과 제2 유전체층은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과 제2 유전체층의 높이는 동일한 것인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상기 길이(L) 방향의 양 끝단이 'ㄷ' 형상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층의 표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공진기의 종단부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것인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여기되는 전계방향에 따라 입사파의 편파특성을 달리하되, 여기되는 전계방향이 상기 길이(L) 방향이면 전계의 세기가 우세한 도미넌트 공진모드(Dominant Resonance Mode)이고, 여기되는 전계방향이 상기 폭(W) 방향이면 전계의 세기가 미세한 크로스 공진모드(Cross Resonance M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 표면의 표면 임피던스(Surface Impedance)는 여기되는 입사파의 편파특성과 상기 폭(W)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파의 편파특성이 도미넌트 공진모드이면 상기 제1 유전체층 및 제2 유전체층의 폭(W)이 변함에 따라 고임피던스 표면(High Impedance Surface)으로 동작하여 표면파를 억제시키고, 상기 입사파의 편파특성이 크로스 공진모드이면 컨덕터(Conductor)로 동작하는 것인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
10 10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상면에 접하여 폭(W)과 길이(L)가 상기 제1 유전체층과 동일하고, 상기 길이(L) 방향의 양 끝단이 저면에서 구부러져 상면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공진기(Resonator)가 내장된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 표면(Frequency Seletive Surface: FSS) 단위 셀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을 이용한 표면파 억제장치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저면이 댁내용 WCDMA 중계기 시스템(repeater system)의 반사판(reflector) 접지면에 장착되는 것인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을 이용한 표면파 억제장치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접지면 폭(WG)은 4분의 1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표면 단위 셀을 이용한 표면파 억제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전자부품연구원 성장 동력 기술 개발 사업 실시간 교통 정보 수집 관리를 위한 RCM 부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