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공성 중공 캡슐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3337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실리카 입자 및 상기 실리카 입자 표면에 방사형 돌기가 구비된 실리카 주형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을 형성하여 캡슐형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캡슐형 실리카 복합체로부터 습식에칭에 의해 실리카 주형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다공성 중공 캡슐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중공 캡슐은 방사형 돌기로 인해 다양한 기공크기를 가지게 된 실리카 주형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공크기로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중공 캡슐은 생리활성물질, 촉매물질, 고분자물질을 담지 할 수 있다. 다공성, 중공 캡슐, 계면활성제
Int. CL C23F 1/24 (2006.01) B82Y 5/00 (2011.01) B82B 3/00 (2006.01) B01J 13/02 (2006.01)
CPC B82B 3/0038(2013.01) B82B 3/0038(2013.01) B82B 3/0038(2013.01) B82B 3/0038(2013.01) B82B 3/003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026737 (2009.03.30)
출원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011525-0000 (2011.01.21)
공개번호/일자 10-2010-0108632 (2010.10.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1013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03.30)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석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군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우병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4 윤완수 대한민국 대전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2 박창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3 권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03.30 수리 (Accepted) 1-1-2009-0187922-79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1.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026502-25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9 수리 (Accepted) 4-1-2014-5004381-25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45-0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40-72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27-8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실리카 입자 및 상기 실리카 입자 표면에 방사형 돌기가 구비된 실리카 주형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을 형성하여 캡슐형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캡슐형 실리카 복합체로부터 습식에칭에 의해 실리카 주형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다공성 중공 캡슐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입자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돌기는 실리카 주(柱)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주형 돌기는 실리카 입자에 실리카 전구체 및 알킬암모늄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수열반응 후 열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5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메틸오르토실리케이트,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테트라프로필오르토실리케이트, 테트라부틸오르토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6 6
제 4항에 있어서, 알킬암모늄계 계면활성제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4 ~ C24)알킬암모늄인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7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주형 돌기는 비극성 유기용매를 더 첨가하여 수열 반응후 열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8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는 1,3,5-트리메틸벤젠(1,3,5-trimethylbenzene (TMB)), 데케인(dec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9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은 실리카 주형체의 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전구체 막을 형성하고 산화 또는 환원조건에서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전구체는 1족, 2족, 4주기, 5주기 전이금속, 란탄계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1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구체는 티타늄 (Ⅳ) 에톡사이드, 티타늄 (Ⅳ) 프로폭사이드, 티타늄 (Ⅳ) 부톡사이드, 티타늄 (Ⅳ)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2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구체를 실리카 주형체에 졸-겔 법으로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3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에칭은 NaOH, KOH, NaF, KF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용액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다공성 중공 캡슐은 상기 실리카 주형체가 제거되어 내부중공형이며, 상기 실리카 주형체 표면에 구비된 방사형 돌기가 제거되어 상기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노 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5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의 두께는 상기 돌기의 높이(d)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6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은 서로 다른 둘이상의 물질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7 17
제 1항 내지 제 1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으로 제조된 다공성 중공 캡슐은 생리활성물질, 촉매물질, 고분자물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된 물질을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8 18
제 1항 내지 1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중공 캡슐의 표면에 실리카 층 및 실리카 방사형 돌기가 구비된 실리카 주형체를 형성하고,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을 형성한 후, 습식 에칭하여 실리카 주형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19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주형체의 형성; 상기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층의 형성; 상기 습식에칭하여 실리카 주형체를 제거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위공정으로 하여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의 다공성 중공 캡슐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기술개발(산자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연구개발사업 나노갭 응용 항원-항체 검출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