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섬유

  • 기술번호 : KST2014051173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제조시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해 촉매의 응집이 방해 및 지연됨으로써, 탄소나노튜브 섬유에 핵심적인 촉매의 크기가 줄어들고 분포가 균일하게 되어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강력과 전도도가 향상되고, 방사성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기술은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할 때 촉매가 되는 물질을 균일하게 뿌려주기 위하여 고압의 초임계 상태로 주입을 하여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제조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분산제를 이용하므로 고압을 필요로 하는 초임계 상태에서의 주입이 필요 하지 않다.
Int. CL B82Y 40/00 (2011.01) D01F 9/12 (2006.01) C01B 31/02 (2006.01) B82B 3/00 (2006.01)
CPC D01F 9/12(2013.01) D01F 9/12(2013.01) D01F 9/12(2013.01) D01F 9/12(2013.01) D01F 9/1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139782 (2012.12.04)
출원인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408277-0000 (2014.06.10)
공개번호/일자 10-2014-0071793 (2014.06.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4061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12.04)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영진 대한민국 서울 서초구
2 송준영 대한민국 경기 안양시 만안구
3 김소영 대한민국 서울 서대문구
4 윤소라 대한민국 경기 군포시 당정역로 *, *
5 정연수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 (구로동,에이스테크노타워*차)(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영진 서울특별시 성동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12.04 수리 (Accepted) 1-1-2012-1005833-18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4.01.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060195-02
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3.2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291436-15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3.26 수리 (Accepted) 1-1-2014-0291417-58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4.05.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373775-25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8.04 수리 (Accepted) 4-1-2016-5110636-5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1) 탄소원료용액, 촉매, 조촉매 및 혼합용액 총중량에 대하여 0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탄소원료용액은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CH2O)),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C2H4O)), 메탄올 (methanol(CH3OH)), 에탄올 (ethanol(C2H5OH)), 디메틸에테르 (diethylether ((C2H5)2O)),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CH2-CH2-O)9), 1-프로판올 (1-propanol(CH3CH2CH2OH)), 아세톤 (acetone (CH3OCH3), 에틸포르메이트 (ethylformate (CH3CH2COOH)), 벤젠 (benzene (C6H6)), 메지틸렌 (mesitylene (C6H3(CH3)3)), 톨루엔 (toluene(C7H8)), 자일렌 (xylene(C6H4(CH3)2)), 큐멘 (cumene(C9H12)), 에틸벤젠 (ethylbenzene(C8H10)), 나프탈렌 (naphthalene(C10H8)), 메탄 (methane(CH4)), 에탄 (ethane(C2H6)), 프로판 (propane(C3H8)), 부탄 (butane(C4H10)), 펜탄 (pentane(C5H12)), 헥산 (hexane (C6H14)), 시클로헥산 (cyclohexane(C6H12)), 에틸렌 (ethylene(C2H4)), 프로필렌 (propylene(C3H6)) 및 아세틸렌 (acetylene(C2H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촉매는 구리(Cu), 크로늄(Cr), 몰리브데늄(Mo),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니켈(Ni), 루테늄(Ru), 로디늄(Rh), 팔라듐(Pd), 오스늄(Os), 이리듐(Ir), 백금(Pt) 및 페로센(ferroc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조촉매는 티오펜 (thiophene(C4H4S)) 또는 이황화탄소 (carbon disulfide(C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계면활성제는 소듐 리그노 설포네이트 (Sodium lignosulfonate),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SDS, Sodium dodecyl sulfate, another name for the compound)(NaC12H25SO4)),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Ammonium lauryl sulfate),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Sodium laureth sulfate),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Sodium lauryl ether sulfate(SLES)), 소듐 미레스 설페이트 (Sodium myreth sulfate), 소듐 스티레이트 (Sodium stearate), 소듐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Sodium lauroyl sarcosinate), 퍼플르오르노내노에이트 (Perfluorononanoate), 퍼플루오르 악토네이트 (Perfluorooctanoate), 옥테니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Octenidine dihydrochloride),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CTAB)(Hexa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CTAC)),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CPC)),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Benzalkonium chloride(BAC)),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Benzethonium chloride(BZT)), 5-브로모-5-니트로-1,3-다이옥산 (5-Bromo-5-nitro-1,3-dioxane),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Dioctadecyldimethylammonium bromide(DODAB)),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Polyoxyethylene glycol alkyl ethers(CH3(CH2)10-16(O-C2H4)1-25O)), 옥타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Octa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 펜타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Penta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Polyoxypropylene glycol alkyl ethers(CH3(CH2)10-16(O-C3H6)1-25O)), 글루코사이드 알킬 에테르 (Glucoside alkyl ethers(CH3(CH2)10-16(O-Glucoside)13OH)), 데실 글루코사이드 알킬 에테르 (Decyl glucoside alkyl ethers),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알킬 에테르 (Lauryl glucoside alkyl ethers), 악틸 글루코사이드 알킬 에테르 (Octyl glucoside alkyl ethers),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옥틸페놀 에테르 (Polyoxyethylene glycol octylphenol ethers(C8H17(C6H4)(O-C2H4)1-25OH)),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알킬페놀 에테르 (Polyoxyethylene glycol alkylphenol ethers(C9H19(C6H4)(O-C2H4)1-25OH)), 폴리옥시에틸렌 클리콜 노녹시놀-9 에테르 (Polyoxyethylene glycol nonoxynol-9 ethers), 글리세롤 알킬 에스터 (Glycerol alkyl esters), 글리세릴 라우릴 에스터 (Glyceryl laurate esters),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알킬에스터 (Polyoxyethylene glycol sorbitan alkyl esters), 폴리소르베이트 20, 40, 60, 80 (Polysorbate 20, 40, 60, 80), 소르비탄 알킬 에스터 (Sorbitan alkyl esters), 스팬 (Spans), 코카마이드 MEA (Cocamide MEA), 코카마이드 DEA (cocamide DEA), 도데실디메틸아민 옥사이드 (Dodecyldimethylamine oxide),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s of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폴록사머 (Poloxamers) 및 폴리에톡실레이트 탈로우 아민 (Polyethoxylated tallow amine(POE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혼합용액은 혼합용액 총 중량에 대해 0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이송용 가스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이후, 섬유화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에 꼬임을 주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이후,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유기 용매에 담근 뒤, 건조하여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고밀도화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톤, 에탄올, 클로로포름, 이염화탄소,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헥산,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벤젠, 사염화탄소, 펜탄, 폴리카프로락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디메틸포름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화된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사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1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섬유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09410268 US 미국 FAMILY
2 US20150110704 US 미국 FAMILY
3 WO2014088147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5110704 US 미국 DOCDBFAMILY
2 US9410268 US 미국 DOCDBFAMILY
3 WO2014088147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일반연구자지원사업>기본연구지원사업>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탄소나노튜브 Rope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