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52060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의 건강상태 및 모발분석을 통해 개인마다 가장 적합한 식품을 모바일을 기반으로 추천하고 이 추천된 식품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함으로써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손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t. CL G06Q 50/22 (2012.01)
CPC G06Q 30/0271(2013.01) G06Q 30/0271(2013.01) G06Q 30/0271(2013.01) G06Q 30/0271(2013.01) G06Q 30/027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10027799 (2011.03.28)
출원인 한국식품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259130-0000 (2013.04.23)
공개번호/일자 10-2012-0109264 (2012.10.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043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1.03.28)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식품연구원 대한민국 전라북도 완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대자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2 석호문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3 권대영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4 오현인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5 정명일 대한민국 경기도 과천시 별양로 **-*
6 이명기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7 양혜정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 애련정로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홍성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동 ***호(가산동 IT캐슬)(특허법인 남양)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식품연구원 전라북도 완주군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1.03.28 수리 (Accepted) 1-1-2011-0226081-9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2.02.1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2.03.15 수리 (Accepted) 9-1-2012-0017345-94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03.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190154-21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05.2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422757-26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05.25 수리 (Accepted) 1-1-2012-0422759-17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10.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627062-57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11.3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996258-17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11.30 수리 (Accepted) 1-1-2012-0996259-52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4.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265040-07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13 수리 (Accepted) 4-1-2014-0008534-79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25 수리 (Accepted) 4-1-2017-5155082-90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08 수리 (Accepted) 4-1-2019-5135028-45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9.02 수리 (Accepted) 4-1-2019-5176835-79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2.11 수리 (Accepted) 4-1-2020-5030341-61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04 수리 (Accepted) 4-1-2020-5124131-17
1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9.08 수리 (Accepted) 4-1-2020-5203003-5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스마트폰(100)과; 스마트폰(100)과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인터넷망(200)에 의해 무선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폰(100)은 건강지수 및 모발수치를 입력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며, 서버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입력된 건강지수 및 모발수치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와 매칭되는 식품정보를 추출하여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는 추천식품제공 서버(300)이고,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10), 신호송수신부(320), 제어부(330), 추천식품등록부(340), 추천식품추출부(360), 추천식품제공부(370), 추천식품분석부(380)를 포함하는데, 데이터베이스(31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추천식품제공과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하되, 입력된 건강지수 및 모발수치에 따른 건강상태 및 모발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자료를 저장하는 분석기준 DB(31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식품정보 DB(313)와;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 DB(317);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모발을 분석한 결과와 일치하는 식품정보를 관리하는 추천식품 DB(319)를 포함하고, 신호송수신부(320)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지수와 모발수치를 수신하면,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전화번호 등에 각각 식별 아이디를 부여하고 고객 아이디와 함께 고객정보 DB(317)에 저장하는 한편, 건강지수 및 모발분석 정보를 추천식품분석부(380)로 전송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해당 식품정보를 결정한 후 식품 아이디를 추천식품추출부(360)로 전송하고, 추천식품등록부(340)는 기 설정된 식품항목에 따라 각각 식별 아이디를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310)의 식품정보 DB(313)에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식별 아이디를 부여하고 분석 아이디와 함께 분석기준을 분석기준 DB(311)에 저장하고, 추천식품추출부(360)는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분석된 결과로 받은 식품 아이디로 식품정보 DB(313)에서 식품 아이디와 매칭되는 식품정보를 추출하며, 추천식품제공부(37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추천식품추출부(360)에서 추출하는 식품정보를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추천식품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신호송수신부(320)가 해당 접속신호를 추천식품등록부(340)로 전송하여 식품정보를 추천식품등록부(340)에 입력하도록 하는 단말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
3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식품정보는 텍스트, 사진, 음악,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
4 4
추천식품제공 서버(300)가 스마트폰(100)의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증 확인절차(S101)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스마트폰(100)으로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절차(S108)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된 경우,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지수 입력절차(S102)에 의해 입력된 건강지수를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수신하고,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임신/수유 여부 절차(S103)를 수행하여 임신/수유 확인결과‘아니오’인 경우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질환여부 절차(S104)를 수행하고,‘예’인 경우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추천식품 아이디를 결정하며, 질환여부 절차 수행결과,‘예’인 경우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질환에 맞는 추천식품 아이디를 결정하고,‘아니오‘인 경우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건강지수 분석절차(S105)를 수행하며, 건강지수 분석절차(S105) 수행결과, 추천식품분석부(380)는 수신된 건강지수 분석절차에 의한 건강상태 평가에 따라 표준체중, 비만도,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공복혈당, 단백질권장량, 기초대사량을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해당하는 기준에 따라 추천식품 아이디를 결정하고, 추천식품추출부(360)는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결정한 추천식품 아이디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310)의 추천식품 DB(319)로부터 식품정보 식별 아이디를 기초로 해당 식품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고(S106), 추천식품제공부(370)는 단계 S106에서 추출한 식품정보인 추천음식을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S10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방법
5 5
청구항 4의 사용자 인증절차에 의해 사용자 인증 후에 모발을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모발 무기질 수치 및 중금속 수치가 스마트폰(100)에 수신(S201)되고, 수신된 모발 무기질 수치와 중금속 수치를 데이터베이스(310)의 고객정보 DB(317)에 저장되게 스마트폰에 입력(S202)하고, 건강상태 평가여부 절차(S203)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청구항 4의 건강상태 평가를 받지 않았다면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스마트폰(100)으로 건강평가 단계로 이동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209), 사용자가 건강평가 단계로 이동을 원하는 경우,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건강평가 정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청구항 4의 건강지수 입력절차(S102)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건강평가 단계로 이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 모발수치 분석절차(S204)를 수행하고, 건강상태 평가가 진행된 경우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입력한 모발수치 분석절차(S204)를 실시하고, 모발수치 분석절차(S204)의 결과에 따른 모발수치 분석을 기준으로 기능평가분석을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수행하여 모발 무기질 및 중금속의 비율에 따라 비만에 관련된 부신기능, 갑상선 기능, 면역력/생명력 및 당 내응성을 평가하고(S205),기능평가 분석(S205)의 결과에 따른 모발수치 분석을 기준으로 유형평가분석을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수행하여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수신된 모발 무기질 및 중금속의 양과 비율에 따라 일중독형, 위기형, step down, step up, 피곤한 빠른대사, 최저느린 대사, 빠른대사, 느린대사, 당불내응형, 당불내응심화, 혼합대사형Ⅰ, 혼합대사형Ⅱ의 12 타입 유형 중 어디에 속하는지 분석하고(S206), 유형평가 분석(S206)의 결과에 따른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건강상태 분석과 모발분석(모발 무기질 및 중금속의 양과 비율에 의해 분석)된 기준에 따라 추천식품 아이디를 검색 및 결정하여 추천식품추출부(360)는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결정한 추천식품 아이디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310)의 추천식품 DB(319)로부터 식품정보 식별 아이디를 기초로 해당 식품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고(S207), 추천식품제공부(370)는 단계 S207에서 추출한 식품정보인 추천음식을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S20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방법
6 6
건강상태 평가 여부 절차(S301)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청구항 4의 건강상태 평가를 받지 않았다면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스마트폰(100)으로 건강평가 단계로 이동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S308)하고, 사용자가 청구항 4의 건강상태 평가를 받았다면 모발분석 평가 여부 단계로 진행하며, 건강상태 평가 여부절차(S301)의 결과, 사용자가 모발분석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면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스마트폰(100)으로 모발분석 단계로 이동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를 전송(S309)하고, 사용자가 청구항 5의 모발수치 분석절차에 의한 모발분석 평가를 받았다면 이하의 맞춤형 음식 제공 절차(S303 이하의 절차)가 수행되고, 건강상태 분석 및/또는 모발분석 정보에 따라 추천식품 아이디를 검색 및 결정하여 추천식품추출부(360)는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결정한 추천식품 아이디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310)의 추천식품 DB(319)로부터 식품정보 식별 아이디를 기초로 해당 식품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고(S303),추천식품제공부(370)는 단계 S303에서 추출한 식품정보인 맞춤형 음식을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S304), 단계 S304의 결과, 사용자가 추천받은 맞춤형 음식의 상세한 식품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면 상세식품 정보요청 단계(S305)로 진입하고, 상세식품 정보요청 단계(S305)에 따라 추천식품추출부(360)는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결정한 추천식품 아이디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310)의 추천식품 DB(319)로부터 해당 식품의 다른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고(S306), 추천식품제공부(370)는 단계 S306에서 추출한 식품정보를 해당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S30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방법
7 7
건강상태 평가 여부 절차(S401)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청구항 4의 건강상태 평가를 받지 않았다면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스마트폰(100)으로 건강평가 단계로 이동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S408)하고, 사용자가 청구항 4의 건강상태 평가를 받았다면 모발분석 평가 여부 단계(S402)로 진행하며, 건강상태 평가 여부(S401)의 결과, 사용자가 모발분석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면 추천식품제공 서버(300)는 스마트폰(100)으로 모발분석 평가 단계로 이동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를 전송(S309)하고, 사용자가 청구항 5의 모발수치 분석절차에 의한 모발분석 평가를 받았다면 이하의 맞춤형 식단 작성 절차(S403 이하의 절차)가 수행되고, 추천식품추출부(360)는 추천식품분석부(380)에서 건강상태 분석 및/또는 모발분석 정보에 따라 평가된 자료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310)의 추천식품 DB(319)로부터 식품정보 식별 아이디를 기초로 해당 식품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고(S403), 추천식품제공부(370)는 단계 S403에서 추출한 식품정보인 식단 선택을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S404), 단계 S404의 결과, 사용자는 식단 선택목록에서 추천받은 음식을 각각 선택하여 아침, 점심, 저녁, 간식의 하루 맞춤형 식단을 작성하여 저장하고(S405), 단계 S405의 결과, 사용자가 작성한 섭취 예상식단 및 섭취한 식단을 추천식품분석부에서 평가하여 섭취 예상 및 섭취한 영양소와 기준치를 비교 및 분석하고(S406), 추천식품제공부(370)는 단계 S406에서 추출한 식단의 정보를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S40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방법
8 8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원 자체사업 한-아세안 식품정보 지식벨트 구축
2 지식경제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원 주요사업 Nutragenomics정보 분석 및 해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연계 인프라구축과 활용시스템 개발
3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식품연구원 방통융합공공서비스 시범사업 전통식품 지식정보의 다매체 연동 스마트폰 시스템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