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분석대상지역의 지반재해(산사태 또는 지반침하)의 발생위치와 상기 지반재해 관련 요인들을 저장하고 있는 지반재해 정보 데이터베이스;상기 지반재해 관련 요인들에 뎀스터-샤퍼(Dempster-Shafer) 증거이론의 신뢰함수(Evidential Belief Function)를 적용하여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부;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 예측도를 작성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 작성부; 및상기 작성된 지반지해의 발생 예측도에 대한 정확도를 기존에 발생한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위치와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검증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시스템
|
2 |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지반재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상기 분석대상지역의 항공사진 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해 식별된 지반재해 위치 데이터베이스, 상기 분석대상지역의 지형자료로부터 추출된 경사 데이터베이스, 상기 분석대상지역의 지질도에서 추출된 지질 데이터베이스, IRS 위성 영상에서 추출된 선구조 데이터베이스, 상기 분석대상지역의 임상도에서 추출된 임상 데이터베이스 및 토지이용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시스템
|
3 |
3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지반재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상기 분석대상지역의 지하수 심도 및 투수계수를 포함하는 시추공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시추공 데이터베이스 및,상기 분석대상지역의 갱심도와 갱으로부터의 거리를 포함하는 갱내도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갱내도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시스템
|
4 |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부는,상기 지반재해 관련 요인들에 대한 Belief 함수값, Disbelief 함수값, Uncertainty 함수값 및 Plausibility 함수값을 산출하여, 상기 분석대상지역에 대한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시스템
|
5 |
5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 작성부는,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각 함수값 중 상기 Belief 함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대상지역에 대한 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시스템
|
6 |
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분석대상지역의 지반재해(산사태 또는 지반침하)의 발생위치와 상기 지반재해와 관련 요인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지반재해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상기 지반재해 관련 요인들에 뎀스터-샤퍼(Dempster-Shafer) 증거이론의 신뢰함수(Evidential Belief Function)를 적용하여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단계;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단계에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 예측도를 작성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 작성단계; 및상기 작성된 지반지해의 발생 예측도에 대한 정확도를 기존에 발생한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위치와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검증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 검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방법
|
7 |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단계는,상기 지반재해 관련 요인들에 대한 Belief 함수값, Disbelief 함수값, Uncertainty 함수값 및 Plausibility 함수값을 산출하여, 상기 분석대상지역에 대한 상기 지반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방법
|
8 |
8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 작성단계는,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 분석단계에서 산출된 각 함수값 중 상기 Belief 함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대상지역에 대한 상기 지반재해 발생 예측도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해 발생 예측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