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 기술번호 : KST2014058011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추에서 내생세균으로 분리된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식물체에 살포하거나 관주처리함으로써 다양한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여러 작물에 동시에 적용가능 할 뿐 아니라 한 작물에서도 여러 병해에 대하여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어, 작물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C12R 1/07 (2006.01) A01N 63/02 (2006.01) C12N 1/20 (2006.01)
CPC C12N 1/20(2013.01) C12N 1/20(2013.01) C12N 1/20(2013.01) C12N 1/2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17190 (2012.02.21)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346698-0000 (2013.12.24)
공개번호/일자 10-2013-0095864 (2013.08.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123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2.21)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향범 대한민국 광주 서구
2 정제용 대한민국 광주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2 박창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3 권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향범 광주광역시 서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2.21 수리 (Accepted) 1-1-2012-0137184-67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07.23 수리 (Accepted) 4-1-2012-5157698-67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08.0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540666-96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3.09.30 수리 (Accepted) 1-1-2013-0883751-22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09.3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883716-34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12.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879072-36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58-61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6.08 수리 (Accepted) 4-1-2015-5076218-57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7.07 수리 (Accepted) 4-1-2016-5093177-51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30 수리 (Accepted) 4-1-2018-5056463-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2 2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추 역병, 고추 탄저병,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 벼 도열병, 벼 깨씨무늬병, 및 안개초 시들음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3 3
삭제
4 4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식물병이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콜렉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피리큘라리아 그리세아(Pyricularia grisea), 바이포라리스 오리재(Bipolaris oryzae), 및 푸사리움 프롤리페라툼(Fusarium proliferatum)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5 5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배양액 추출물이 C1-4 알코올, 헥산, 아세톤,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배양액을 추출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6 6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배양여과액 및 식물병원성 진균의 포자(oidium)를 점적하는 단계; 및상기 슬라이드 글라스를 포화습도가 유지된 페트리 플레이트에 옮겨 시간대별로 식물병원성 진균의 포자 발아 저해율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물검정법
7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흰가루병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검정법
8 8
식물 종자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배양액 또는 배양여과액에 침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곰팡이 생육억제 또는 식물발아 촉진방법
9 9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식물은 오이, 참깨, 고추, 딸기, 벼, 보리, 밀 및 잔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10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파종 전 침지처리 또는 관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방제하는 방제방법
11 11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식물병원성 미생물은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콜렉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피리큘라리아 그리세아(Pyricularia grisea), 바이포라리스 오리재(Bipolaris oryzae), 및 푸사리움 프롤리페라툼(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에셰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또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cocus aure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방법
12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방제방법은 침지처리 또는 관주 처리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농도가 1×103 cfu/㎖ 내지 1×1012 cf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수산식품부 전남대학교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천연 항생 펩타이드 발굴 및 산업적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