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60053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놀 또는 카테콜 분자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은 폴리페놀산화효소의 in situ 산화에 의하여 페놀 또는 카테콜 분자가 표면 접착력 갖는 도파 또는 도파 퀴논 형태로 변화되며, 이러한 도파 또는 도파 퀴논을 배위 결합을 통해 금속 또는 고분자 기재 표면에 단시간 내에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화 시킬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은 의료용 금속 또는 고분자 소재 표면에 생리활성 물질을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화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로서, 예를 들어, 정형외과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소재에 세포 부착 생리활성 물질을 쉽게 고정화하여 임플란트 후 빠른 골 조직 형성 유도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스텐트 및 인공혈관과 같은 혈관계 의료용 소재에 항혈전성 생리활성 물질을 표면에 쉽게 고정화하여 혈액 적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t. CL A61L 27/22 (2006.01) A61L 27/54 (2006.01) A61L 27/34 (2006.01) C12N 9/02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00107782 (2010.11.01)
출원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257996-0000 (2013.04.18)
공개번호/일자 10-2012-0049419 (2012.05.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043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0.11.01)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기동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2 박경민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3 정윤기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백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이노플렉스 *차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11.01 수리 (Accepted) 1-1-2010-0711771-98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1.10.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1.11.14 수리 (Accepted) 9-1-2011-0088533-89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08.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482716-07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10.22 수리 (Accepted) 1-1-2012-0857833-89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10.22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857831-98
7 최후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2013.02.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112392-19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3.03.28 수리 (Accepted) 1-1-2013-0270873-83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03.28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270870-46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4.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239105-11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5000672-13
1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05.12 수리 (Accepted) 1-1-2014-0444032-2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페놀 또는 카테콜 분자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을 준비하는 단계(제1단계); 및 페놀 또는 카테콜 분자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과 폴리페놀산화효소를 기재 표면에 처리하여 폴리페놀산화효소가 페놀 또는 카테콜 분자를 산화시켜 형성된 도파 또는 도파 퀴논을 배위 결합을 통해 기재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제2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페놀 또는 카테콜 분자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은 수용성 고분자를 링커로 사용하여 아미노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지닌 고분자 주사슬에 화학식 2로 표기되는 페놀 유도체 또는 카테콜 유도체를 아마이드, 우레탄, 우레아 또는 에스터 결합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및 R4는 하이드록실기 또는 수소이고, X는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임
2 2
삭제
3 3
삭제
4 4
삭제
5 5
삭제
6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주사슬은 헤파린, 하이알루론산,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셀룰로스, 덱스트란, 덱스트란 설페이트,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케라탄 설페이트, 더마탄 설페이트, 알지네이트, 알부민, 피브로넥틴, 라미닌, 엘라스틴, 비트로넥틴 및 피브리노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7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주사슬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전환 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골형성 성장인자(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인간성장호르몬(hGH), 돼지성장호르몬(pGH), 백혈구성장인자(G-CSF), 적혈구성장인자(EPO), 대식세포성장인자(M-CSF), 종양 괴사 인자(TNF), 상피세포 성장인자(EGF), 혈소판유도성장인자(PDGF), 인터페론-α,β,γ, 인터루킨-2(IL-2), 칼시토닌, 신경성장인자(NGF), 성장호르몬 방출인자, 엔지오텐신, 황체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작동약(LHRH agonist), 인슐린,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 엔지오스태틴, 엔도스태틴, 소마토스타틴, 글루카곤, 엔도르핀, 바시트라신, 머게인, 콜리스틴, 바시트라신, 단일 항체 및 백신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8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주사슬은 항증식성, 항염증성 또는 항혈전성 활성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서, 상기 항증식성 활성제는 실로리무스 (sirolimus: 라파마이신(rapamycin)), 에베로리무스 (everolimus), 피메크롤리무스 (pimecrolimus), 소마토스타틴 (somatostatin), 태크로리무스 (tacrolimus), 록시스로마이신 (roxithromycin), 듀나이마이신 (dunaimycin), 아스코마이신(ascomycin), 바필로마이신 (bafilomycin), 에리스로마이신 (erythromycin), 미데카마이신 (midecamycin), 조사마이신 (josamycin), 콘카나마이신 (concanamycin), 클래리스로마이신 (clarithromycin), 트로리안도마이신(troleandomycin), 폴리마이신 (folimycin), 세리바스타틴 (cerivastatin), 심바스타틴 (simvastatin), 로바스타틴 (lovastatin), 플루바스타틴 (fluvastatin), 로수바스타틴 (rosuvastatin), 아토바스타틴(atorvastatin), 프라바스타틴 (pravastatin), 피타바스타틴 (pitavastatin), 빈블라스틴 (vinblastine), 빈크리스틴 (vincristine), 빈데신 (vindesine), 비노렐빈 (vinorelbine), 에토포사이드 (etoposide), 테니포사이드 (teniposide), 니무스틴 (nimustine), 카르무스틴 (carmustine), 로무스틴 (lomustine),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4-히드록시시클로포스파미드 (4-hydroxycyclophosphamide), 에스트라무스틴 (estramustine), 멜팔란 (melphalan), 이포스파미드 (ifosfamide), 트로포스파미드 (trofosfamide), 클로람부실 (chlorambucil), 벤다무스틴 (bendamustine), 다크르바진 (dacarbazine), 부설판 (busulfan), 프로카르바진 (procarbazine), 트레오설판 (treosulfan), 테모졸로마이드 (temozolomide), 타이오테파 (thiotepa), 도노루비신 (daunorubicin),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아클라루비신 (aclarubi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미톡산트론 (mitoxantrone), 이다루비신 (idarubicin), 블레오마이신 (bleomycin), 미토마이신 (mitomycin), 닥티노마이신 (dactinomycin),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플루다라빈 (fludarabine), 플루다라-5'-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fludarabine-5'-dihydrogenphosphate), 클라드리빈 (cladribine), 머캡토퓨린 (mercaptopurine), 티오구아닌 (thioguanine), 시타라빈 (cytarabine), 플루오로우라실 (fluorouracil), 젬시타빈 (gemcitabine), 카페시타빈 (capecitabine), 도세탁셀 (docetaxel), 카르보플라틴 (carboplatin), 시스플라틴 (cisplatin), 옥살리플라틴 (oxaliplatin), 암사크린 (amsacrine), 이리노테칸 (irinotecan), 토포테칸 (topotecan), 히드록시카바마이드 (hydroxycarbamide), 밀테포신 (miltefosine), 펜토스타틴 (pentostatin), 알데스루킨 (aldesleukin), 트레티노인 (tretinoin), 아스파라기나제 (asparaginase), 페가스파르가제(pegaspargase), 아나스트로졸 (anastrozole), 엑스메스탄 (exemestane), 레트로졸 (letrozole), 포르메스탄 (formestane), 아미노글루테티마이드 (aminoglutethimide), 아드리아마이신 (adriamycin), 아지스로마이신 (azithromycin), 스피라마이신 (spiramycin), 세파란틴 (cepharantin), smc 증식 억제제-2w (smcproliferation inhibitor-2w), 에포틸론 A 및 B (epothilone A and B), 미톡산트론 (mitoxantrone),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 미코페놀아트모페틸 (mycophenolatmofetil), c-myc-안티센스 (c-myc-antisense), b-myc-안티센스 (b-myc-antisense), 베툴린산 (betulinic acid), 캄토테신 (camptothecin), PI-88 (황화 올리고당),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활성화된 단백질 C, IL-1β 억제제, 티모신 α-1 (thymosine α-1), 푸마린산 (fumaric acid) 및 그 에스테르, 칼시포트리올 (calcipotriol), 타칼시톨(tacalcitol), 라파콜 (lapachol), β-라파콘 (β-lapachone), 포도필로톡신 (podophyllotoxin), 베툴린 (betulin), 포도필산 2-에틸하이드라지드 (podophyllic acid 2-ethylhydrazide), 몰그라모스팀 (molgramostim:rhuGM-CSF), 페긴터페론 α-2b (peginterferon α-2b), 레노그라스팀 (lenograstim: r-HuG-CSF), 필그라스팀 (filgrastim), 마크로골 (macrogol), 다카바진 (dacarbazine), 바실릭시맙 (basiliximab), 다클리쥬맙 (daclizumab), 셀렉틴 (selectin: 사이토카인 길항제 (cytokine antagonist), CETP 억제제, 카드헤라인 (cadherines), 사이토키닌 억제제 (cytokinin inhibitors), COX-2 억제제, NFkB, 안지오펩틴 (angiopeptin), 시프로플록사신 (ciprofloxacin), 플루로블라스틴 (fluroblastin), 근육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모노클로널 항체 (monoclonal antibodies), bFGF 길항제, 프로부콜 (probucol),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1,11-디메톡시칸틴-6-온 (1,11-dimethoxycanthin-6-one), 1-히드록시-11-메톡시칸틴-6-온(1-hydroxy-11-methoxycanthin-6-one), 스코폴레틴 (scopoletin), 콜히친 (colchicine), 페타에리트리톨 테트라나이트레이트 및 신드노에이민 (syndnoeimine)과 같은 NO 공여체 (NO donor), S-니트로소 유도체 (Snitrosoderivatives), 타목시펜 (tamoxifen), 스트라우로스포린 (staurosporine), β-에스트라디올 (β-estradiol), α-에스트라디올 (α-estradiol), 에스트리올 (estriol), 에스트론 (estrone), 에티닐에스트라디올 (ethinylestradiol), 포스페스트롤 (fosfestrol),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medroxyprogesterone), 시피온산에스트라디올 (estradiol cypionate), 안식향산에스트라디올 (estradiol benzoate), 트레닐라스트(tranilast), 암 치료에 적용되는 카메바카우린 (kamebakaurin) 및 기타 테르페노이드 (terpenoid), 베라파밀 (verapami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yrosine kinase inhibitors: 티포스틴 (tyrphostines)), 시클로스포린 A (cyclosporine A), 6-α-히드록시-파클리탁셀 (6-α-hydroxy-paclitaxel)과 같은 파클리탁셀 (paclitaxel) 및 그 유도체, 바카틴 (baccatin), 탁소테르 (taxotere), 천연 공급원 또는 합성하여 제조된 아산화탄소 (carbon suboxide)의 매크로시클릭 올리고머 (MCS) 및 그 유도체, 모페부타존 (mofebutazone), 아세메타신(acemetacin), 디클로페낙 (diclofenac), 로나졸락 (lonazolac), 댑손 (dapsone), o-카바모일페녹시아세트산(o-carbamoylphenoxyacetic acid), 리도카인 (lidocaine), 케토프로펜 (ketoprofen), 메페남산 (mefenamicacid), 피록시캄 (piroxicam), 멜록시캄 (meloxicam), 인산클로로퀸 (chloroquine phosphate), 페니실라민 (penicillamine), 툼스타틴 (tumstatin), 아바스틴 (avstin), D-24851, SC-58125, 히드록시클로로퀸 (hydroxychloroquine), 오라노핀 (auranofin), 금치오사과산나트륨 (sodium aurothiomalate), 옥사세프롤(oxaceprol), 셀레콕시브 (celecoxib), β-시토스테린 (β-sitosterin), 아데메티오닌 (ademetionine), 미르테카인 (myrtecaine), 폴리도카놀 (polidocanol), 노니바미드 (nonivamide), 레보멘톨 (levomenthol), 벤조카인 (benzocaine), 에스신 (aescin), 엘립티신 (ellipticine), D-24851 (칼비오켐 (Calbiochem)), 콜세미드(colcemid), 시토칼라신 A-E (cytochalasin A-E), 인다노신 (indanocine), 노코다졸 (nocodazole), S 100 프로틴 (S 100 protein), 바시트라신 (bacitracin), 비트로넥틴 수용체 길항제 (vitronectin receptor antagonist), 아젤라스틴 (azelastine), 구아니딜 시클라제 자극체 (guanidyl cyclase stimulator), 금속 프로테이나아제-1 및 -2의 조직 억제제 (tissue inhibitor of metal proteinase-1 and -2), 유리 핵산, 바이러스 전달체 내로 통합된 핵산, DNA 및 RNA 단편,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억제제-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억제제-2,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antisense oligonucleotides), VEGF 억제제 및 IGF-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항염증성 활성제는 세파드록실 (cefadroxil), 세파졸린 (cefazolin), 세파클러 (cefaclor), 세포탁심(cefotaxim), 토브라마이신 (tobramycin), 젠타마이신 (gentamycin), 디클록사실린(dicloxacillin), 옥사실린 (oxacillin), 레플루노미드 (leflunomide), 아나킨라 (anakinra), 에타너셉트 (etanercept), 설파살라진 (sulfasalazine), 에토포시드 (etoposide), 디클록사실린 (dicloxacillin), 테트라시클린 (tetracycline), 트리암시놀론 (triamcinolone), 뮤타마이신 (mutamycin), 프로캐인아미드 (procainamid), D24851, SC-58125, 레티노산 (retinoic acid), 퀴니딘 (quinidine), 디소피라디드 (disopyramide), 플레캐이니드 (flecainide), 프로파펜논 (propafenone), 소탈롤 (sotalol), 아미도론 (amidorone), 브리오릴린 A (bryophyllin A), 이노토디올 (inotodiol), 마퀴로시드 A (maquiroside A), 갈라키노시드 (ghalakinoside), 만소닌 (mansonine), 스트레블로시드 (strebloside), 하이드로코르티손 (hydrocortisone), 베타메타손 (betamethaso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과 같은 천연 및 합성되어 제조된 스테로이드, 페노프로펜 (fenoprofen), 이뷰프로렌 (ibuprofen), 인도메타신 (indomethacin), 나프록센 (naproxen), 페닐부타존 (phenylbutazone)과 같은 비-스테로이드계 물질 (non-steroidal substances: NSAIDS) 및 아시클로비르 (acyclovir), 간시클로비르 (ganciclovir) 및 지도뷰딘 (zidovudine), 클로트리마졸 (clotrimazole), 플루시토신 (flucytosine), 그리세오풀빈 (griseofulvin), 케토코나졸 (ketoconazole), 미코나졸 (miconazole), 니스타틴 (nystatin), 테르비나핀 (terbinafine), 클로로퀸 (chloroquine), 메플로퀸 (mefloquine), 퀴닌 (quinine)과 같은 안티프로조알 제제 (antiprozoal agent), 히포카데스쿨린 (hippocaesculin), 바링토게놀-C21-안겔레이트 (barringtogenol-C21-angelate), 14-디하이드로아그로스티스타친 (14-dehydroagrostistachin), 아그로스케린 (agroskerin), 아그로스티스타친 (agrostistachin), 17-히드록시아그로스티스타친 (17-hydroxyagrostistachin), 오바토디올리드 (ovatodiolid), 4,7-옥시시클로아니소멜산 (4,7-oxycycloanisomelic acid), 바카리노이드 B1, B2, B3 및 B7 (baccharinoids B1, B2, B3 and B7), 튜베이모시드 (tubeimoside), 브루세아놀 A, B 및 C (bruceanol A, B and C), 브루세안티노시드 C (bruceantinoside C), 야단지오시드 N 및 P (yadanziosides N and P), 이소데옥시엘레 판토핀 (isodeoxyelephantopin), 토멘판토핀 A 및 B (tomenphantopin A and B), 코로나린 A, B, C 및 D (coronarin A, B, C and D), 우르솔산 (ursolic acid), 힙타틱산 A (hyptatic acid A), 제오린 (zeorin), 이소-이리도제르마날 (iso-iridogermanal), 매이텐폴리올 (maytenfoliol), 에퓨산틴 A (effusantin A), 엑시사닌 A 및 B (excisanin A and B), 론기카우린 B (longikaurin B), 스컬포네아틴 C (sculponeatin C), 카메바우닌(kamebaunin), 루카메닌 A 및 B (leukamenin A and B), 13,18-디하이드로-6-α-세네시오일록시카파린 (13,18-dehydro-6-α-senecioyloxychaparrin), 탁사마이린 A 및 B (taxamairin A and B), 레게닐롤 (regenilol), 트립톨리드 (triptolide), 시마린 (cymarin), 아포시마린 (apocymarin), 아리스톨로크산 (aristolochic acid), 아노프테린 (anopterin), 히드록 시아노프테린 (hydroxyanopterin), 아네모닌 (anemonin), 프로토아네모닌 (protoanemonin), 베르베린 (berberine), 첼리뷰린 클로라이드 (cheliburin chloride), 식톡신 (cictoxin), 시노코큘린 (sinococuline), 밤브레스틴 A 및 B (bombrestatin A and B), 큐드라이소플라본 A (cudraisoflavone A), 커큐민 (curcumin), 디 하이드로니티딘 (dihydronitidine), 니티딘 클로라이드 (nitidine chloride), 12-β-히드록시프레그나디엔-3,20-이온 (12-β-hydroxypregnadiene-3,20-dione), 빌로볼 (bilobol), 깅크골 (ginkgol), 깅크골산(ginkgolic acid), 헬레날린 (helenalin), 인디신 (indicine), 인디신-N-옥사이드 (indicine-N-oxide), 라시오카르핀 (lasiocarpine), 이노토디올 (inotodiol), 글리코시드 1a (glycoside 1a), 포도필로톡신 (podophyllotoxin), 저스티시딘 A 및 B (justicidin A and B), 라레아틴 (larreatin), 말로테린 (malloterin), 말로토크로마놀 (mallotochromanol), 이소부틸말로토크로마놀 (isobutyrylmallotochromanol), 마키로시드 A (maquiroside A), 마칸틴 A (marchantin A), 매이탄신 (maytansine), 리코리디신 (lycoridicin), 마르게틴 (margetine), 판크라티스타틴 (pancratistatin), 리리오데닌 (liriodenine), 옥소우신수닌 (oxoushinsunine), 아리스토락탐-AII (aristolactam-AII), 비스파르테놀리딘 (bisparthenolidine), 페리플로코시드 A (periplocoside A), 갈라키노시드 (ghalakinoside), 우르솔산 (ursolic acid), 디옥시프소로스페르민 (deoxypsorospermin), 사이코루빈 (psychorubin), 리신 A (ricin A), 상귀나린 (sanguinarine), 만우 윗 산 (manwu wheat acid), 메틸소르비폴린 (methylsorbifolin), 스파넬리아크로멘 (sphatheliachromen), 스티조필린 (stizophyllin), 스트레블로시드 (strebloside), 아카게린 (akagerine), 디하이드러스암 바렌신 (dihydrousambarensine), 히드록시우삼바린 (hydroxyusambarine), 스트리크노펜타민(strychnopentamine), 스트리크노필린 (strychnophylline), 우삼바린 (usambarine), 우삼바렌신 (usambarensine), 다프노레틴 (daphnoretin), 라리시레시놀 (lariciresinol), 메톡시라리시레시놀 (methoxylariciresinol), 시린가레시놀 (syringaresinol), 움벨리페론 (umbelliferon), 아프로모손 (afromoson), 아세틸비스미온 B (acetylvismione B), 데스아세틸비스미온 A (desacetylvismione A), 비스미온 A 및 B (vismione A and B), 시스틴과 같은 황 포함 아미노산, 및 상기 언급한 활성제의 염 또는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항혈전성 활성제는 설폰아미드, 메트로니다졸 (metronidazol), 아르가트로반 (argatroban), 아스피린 (aspirin), 압식시맙 (abciximab), 합성 안티트롬빈 (syntheticantithrombin), 비발리루딘 (bivalirudin), 코우마딘 (coumadin), 에녹사파린 (enoxaparin), 탈황산화된 및 N-재아세틸화된 헤파린 (desulphated and N-reacetylated heparin)과 같은 항혈전제 (antithrombotic),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GpIIb/IIIa 혈소판 막 수용체 (GpIIb/IIIa platelet membrane receptor), Xa 인자 억제제 항체, 헤파린 (heparin), 히루딘 (hirudin), r-히루딘 (r-hirudin), PPACK, 프로타민 (protamin), 2-메틸티아졸리딘-2,4-디카르복실산의 나트륨염, 프로우로키나제 (prourokinase), 스트렙토키나제 (streptokinase), 와파린 (warfarin), 우로키나제 (urokinase), 디피라미돌 (dipyramidole), 트라피딜 (trapidil), 나이트로프루사이드 (nitroprusside), 트리아졸로피리미딘 (triazolopyrimidine) 및 세라민 (seramin)과 같은 PDGF 항체, 캡토프릴 (captopril), 실라자프릴 (cilazapril), 리시노프릴 (lisinopril), 에날라프릴 (enalapril), 로사탄(losartan), 티오-프로테아제 (thio-protease) 억제제, 프로스타시클린 (prostacyclin), 바피프로스트 (vapiprost), α, β 및 γ 인터페론, 히스타민 길항제 (histamine antagonist), 세로토닌 차단제 (serotonin blocker), 아포토시스 (apoptosis) 억제제, p65, NF-kB 또는 Bcl-xL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할로퓨지논 (halofuginone), 니페디핀 (nifedipine), 토코페롤, 비타민 B1, B2, B6 및 B12, 폴산 (folic acid), 트래닐라스트 (tranilast), 몰시도민 (molsidomine), 티폴리페놀 (tea polyphenol), 에피카테친 (epicatechin gallate), 몰식자산 에피갈로카테친 (epigallocatechingallate) 및 보스웰린산 (Boswellinic acid)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9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놀 유도체는 티라민, 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 유도체는 L-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L-DOPA), 도파민(dopamine), 노레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epinephr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gallat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1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폴리에스터, 폴리안하이드리드,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아마이드, 폴리펩타이드, 다핵지방족, 다핵방향족, 알킬 사슬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친수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2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트산[PEG-PLA],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PEG-PCL],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DL-락틱-코-글리코산)[PEG-PLGA], 폴리((프로필렌)푸마레이트), 폴리((에틸렌)푸마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친수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3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이민[PEI],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polyNIPAM], 폴리푸마레이트, 폴리오르가노포스파젠, 폴리아크릴산[polyAAc], 폴리아크릴설포네이트,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PolyHEMA]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친수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PEO-PPO-PEO (Pluronic? 시리즈), 4지(4-arm) PEO-PPO-PEO (Tetronic? 시리즈), PEG-PEI, PEG-PVA, PEG-PEI-PVA, PEI-PVA, 폴리(NIPAAM-co-AAc), 폴리(NIPAAM-co-HEMA)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친수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5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산화효소는 티로시네이즈(tyrosinase) 및 카테콜옥시데이즈(catechol oxid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6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금속 또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7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표면 처리는 생리활성 물질과 폴리페놀산화효소를 포함한 용액을 기재에 분무, 분사, 페인팅, 침지, 롤 코팅 및 플로우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18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생리활성 물질 0
19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기재 표면 처리는 5분 내지 1 시간 동안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고정화 방법
20 20
삭제
21 21
삭제
22 22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30224795 US 미국 FAMILY
2 WO201206054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3224795 US 미국 DOCDBFAMILY
2 WO201206054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상전이 하이드로젤 및 심장줄기세포 기반의 심근재생 세포치료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