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분비성 단백질의 스크리닝 및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을 위한 융합 파트너로서 그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14061324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재조합 단백질의 고분비 생산에 적합한 최적의 분비 융합 파트너 (SFP)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SFP는 시크리톰 분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재조합 단백질은 분비 융합 파트너 (SFP)와의 융합 형태로 생성되며, 생체내 프로테아제 처리에 의해 SFP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SFP는 바이오-제약 및 바이오-산업에서 가치있는 목적 단백질 및 펩티드의 분비 수준을 유의하게 향상시킨다.
Int. CL C07K 19/00 (2006.01) C12N 15/62 (2006.01) C12N 15/81 (2006.01) C12N 15/11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17015465 (2011.07.04)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431091-0000 (2014.08.11)
공개번호/일자 10-2011-0104512 (2011.09.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4082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PCT/KR2008/007231 (2008.12.05)
국제공개번호/일자 WO2010064748 (2010.06.10)
우선권정보 미국  |   61/119,972   |   2008.12.04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제출원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137020485;1020137020486;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1.07.06)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정훈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원군
2 배정훈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현진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남구
4 임광묵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특허법인한얼)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법 제203조에 따른 서면
[Patent Application] Document according to the Article 203 of Patent Act
2011.07.04 수리 (Accepted) 1-1-2011-0511015-09
2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1.07.06 수리 (Accepted) 1-1-2011-0516982-85
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1.07.0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1-0516973-74
4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1.07.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1-0061782-04
5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1.08.11 수리 (Accepted) 1-1-2011-0622644-77
6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1.08.18 수리 (Accepted) 1-1-2011-0640559-16
7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1.08.31 수리 (Accepted) 1-1-2011-0680832-03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04.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220938-93
9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3.06.03 수리 (Accepted) 1-1-2013-0493986-52
10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3.06.28 수리 (Accepted) 1-1-2013-0585133-14
11 [분할출원(국제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8.01 수리 (Accepted) 1-1-2013-0700655-56
12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3.08.01 수리 (Accepted) 1-1-2013-0700630-15
1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08.0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700632-17
14 [분할출원(국제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8.01 수리 (Accepted) 1-1-2013-0700654-11
1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12.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864535-23
16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2.12 수리 (Accepted) 1-1-2014-0138070-19
17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3.12 수리 (Accepted) 1-1-2014-0239487-24
1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4.1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354263-24
1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4.14 수리 (Accepted) 1-1-2014-0354262-89
2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4.08.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540287-29
2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5 수리 (Accepted) 4-1-2015-0007152-0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시크리톰으로부터 분비 융합 파트너 (SFP)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i) 제1 숙주 세포를, 분비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이종 프로모터로 형질전환시키는 단계;(ii) 상기 분비 폴리펩티드의 천연 프로모터가 상기 분비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연결된 경우 분석된 상기 폴리펩티드의 분비 수준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숙주 세포로부터 상기 분비 폴리펩티드가 과분비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iii) 제2 숙주 세포를, 목적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단계 (ii)에서 과분비된 것으로 결정된 폴리펩티드를 인코딩하는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로에 대해 임의의 순서이며 동일한 프레임 내에 있으며 상기 이종 프로모터의 조절 하에 있는 것인 단계;(iv) 상기 벡터가 상기 목적 폴리펩티드 및 상기 과분비된 폴리펩티드의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는 조건 하에, 상기 제2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v) 상기 융합 폴리펩티드가 배양 배지로 분비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과분비된 폴리펩티드가 SFP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 폴리펩티드는 시크리톰에서 고발현되는 것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크리톰은 효모, 박테리아, 식물 또는 동물로부터 단리된 것인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융합 폴리펩티드의 분비에 대한 상기 SFP의 최적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크기가 상기 SFP의 결실 분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프로모터는 원핵생물, 진핵생물 또는 바이러스 유래인 것인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프로모터는 박테리오파지 람다 PR 프로모터, 박테리오파지 람다 PL 프로모터, 람다 II 프로모터, 이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프로모터는 GAL10인,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된 폴리펩티드는 글리코실화된 것인 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숙주 세포는 식물, 박테리아, 균류, 효모, 또는 동물 세포인 것인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숙주 세포는 효모 세포인,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숙주 세포는 칸디다 (Candida), 데바리오미세스 (Debaryomyces), 한세눌라 (Hansenula), 클루이베로미세스 (Kluyveromyces), 피치아 (Pichia), 스키조사카로미세스 (Schizosaccharomyces), 야로위아 (Yarrowia), 사카로미세스 (Saccharomyces), 슈반니오미세스 (Schwanniomyces), 및 아르크술라 (Arxul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숙주 세포는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칸디다 보이디니 (Candida boidinii),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클루이베로미세스 락티스 (Kluyveromyces lactis), 피치아 파스토리스 (Pichia pastoris), 피치아 스티피티스 (Pichia stipitis), 스키조사카로미세스 폼베 (Schizosaccharomyces pombe),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한세눌라 폴리몰파 (Hansenula polymorpha), 야로위아 리포리티카 (Yarrowia lipolytica), 슈반니오미세스 옥시덴탈리스 (Schwanniomyces occidentalis), 및 아르크술라 아데니니보란스 (Arxula adeninivoran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숙주 세포는 식물, 박테리아, 균류, 효모, 또는 동물 세포인 것인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숙주 세포는 효모 세포인,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숙주 세포는 칸디다, 데바리오미세스, 한세눌라, 클루이베로미세스, 피치아, 스키조사카로미세스, 야로위아, 사카로미세스, 슈반니오미세스, 및 아르크술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숙주 세포는 칸디다 유틸리스, 칸디다 보이디니, 칸디다 알비칸스, 클루이베로미세스 락티스, 피치아 파스토리스, 피치아 스티피티스, 스키조사카로미세스 폼베,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애, 한세눌라 폴리몰파, 야로위아 리포리티카, 슈반니오미세스 옥시덴탈리스, 및 아르크술라 아데니니보란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8 18
삭제
19 19
삭제
20 20
삭제
21 21
삭제
22 22
삭제
23 23
삭제
24 24
삭제
25 25
삭제
26 26
삭제
27 27
삭제
28 28
삭제
29 29
삭제
30 30
삭제
31 31
삭제
32 32
삭제
33 33
삭제
34 34
삭제
35 35
삭제
36 36
삭제
37 37
삭제
38 38
삭제
39 39
삭제
40 40
삭제
41 41
삭제
42 42
삭제
43 43
삭제
44 44
삭제
45 45
삭제
46 46
삭제
47 47
삭제
48 48
삭제
49 49
삭제
50 50
삭제
51 51
삭제
52 52
삭제
53 53
삭제
54 54
삭제
55 55
삭제
56 56
삭제
57 57
삭제
58 58
삭제
59 59
삭제
60 60
삭제
61 61
삭제
62 62
삭제
63 63
삭제
64 64
삭제
65 65
삭제
66 66
삭제
67 67
삭제
68 68
삭제
69 69
삭제
70 70
삭제
71 71
삭제
72 72
삭제
73 73
삭제
74 74
삭제
75 75
삭제
76 76
삭제
77 77
삭제
78 78
삭제
79 79
삭제
80 80
삭제
81 81
삭제
82 82
삭제
83 83
삭제
84 84
삭제
85 85
삭제
86 86
삭제
87 87
삭제
88 88
삭제
89 89
삭제
90 90
삭제
91 91
삭제
92 92
삭제
93 93
삭제
94 94
삭제
95 95
삭제
96 96
삭제
97 97
삭제
98 98
삭제
99 99
삭제
100 100
삭제
101 101
삭제
102 102
삭제
103 103
삭제
104 104
삭제
105 105
삭제
106 106
삭제
107 107
삭제
108 108
삭제
109 109
삭제
110 110
삭제
111 111
삭제
112 112
삭제
113 113
삭제
114 114
삭제
115 115
삭제
116 116
삭제
117 117
삭제
118 118
삭제
119 119
삭제
120 120
삭제
121 121
삭제
122 122
삭제
123 123
삭제
124 124
삭제
125 125
삭제
126 126
삭제
127 127
삭제
128 128
삭제
129 129
삭제
130 130
삭제
131 131
삭제
132 132
삭제
133 133
삭제
134 134
삭제
135 135
삭제
136 136
삭제
137 137
삭제
138 138
삭제
139 139
삭제
140 140
삭제
141 141
삭제
142 142
삭제
143 143
삭제
144 144
삭제
145 145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2239183 CN 중국 FAMILY
2 CN103952425 CN 중국 FAMILY
3 EP02370470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4 EP02370470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5 EP02573122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6 EP02573122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7 EP0291860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8 EP0291860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9 EP0291860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10 JP05524977 JP 일본 FAMILY
11 JP05955875 JP 일본 FAMILY
12 JP24510808 JP 일본 FAMILY
13 JP26138600 JP 일본 FAMILY
14 KR101387693 KR 대한민국 FAMILY
15 KR101498668 KR 대한민국 FAMILY
16 US09550997 US 미국 FAMILY
17 US20100159465 US 미국 FAMILY
18 WO2010064748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2239183 CN 중국 DOCDBFAMILY
2 CN102239183 CN 중국 DOCDBFAMILY
3 CN103952425 CN 중국 DOCDBFAMILY
4 CN103952425 CN 중국 DOCDBFAMILY
5 EP237047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6 EP237047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7 EP237047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8 EP2573122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9 EP2573122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0 EP2918606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1 EP2918606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2 EP2918606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3 JP2012510808 JP 일본 DOCDBFAMILY
14 JP2014138600 JP 일본 DOCDBFAMILY
15 JP5524977 JP 일본 DOCDBFAMILY
16 JP5955875 JP 일본 DOCDBFAMILY
17 KR101387693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8 KR101498668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9 KR20130091797 KR 대한민국 DOCDBFAMILY
20 KR20130091798 KR 대한민국 DOCDBFAMILY
21 US2010159465 US 미국 DOCDBFAMILY
22 WO2010064748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