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피부투과도, 세포유입 및 종양전달성이 증가된 나노운반체

  • 기술번호 : KST2014061967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말단에 있는 광가교결합 가능한(photo-crosslinkable) 작용기를 통하여 가교결합되어 있는 수용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에 키토산이 결합된 생체중합체-개질 나노운반체로서, 상기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는 온도 변화에 따라 직경이 변화되며 키토산이 결합되지 않은 bare 나노운반체와 비교하여 피부 투과도 또는 세포 유입도(cellular uptake) 및 암조직으로의 선택적 전달이 증가되고, 광열치료에 유리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는 키토산이 없는 bare 나노운반체와 비교하여 매우 놀라운 수준으로 피부 투과도가 개선되어, 경피 운반체로서 매우 우수한 효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는 종양세포 및 암세포로의 세포 유입도가 크게 개선되어, 종양세포 및 암세포의 이미징 및 광열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Int. CL A61K 49/08 (2006.01) A61K 9/20 (2006.01) A61K 9/48 (2006.01) A61K 47/48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10005553 (2011.01.19)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228106-0000 (2013.01.24)
공개번호/일자 10-2011-0085932 (2011.07.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020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00005683   |   2010.01.2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1.01.19)
심사청구항수 2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태기융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최원일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3 김영하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4 김자영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5 이종현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부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 태원빌딩 **층, 특허팀(주식회사씨젠)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광역시 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1.01.19 수리 (Accepted) 1-1-2011-0045548-68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09.15 수리 (Accepted) 4-1-2011-5187089-85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2.02.2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2.03.21 수리 (Accepted) 9-1-2012-0022437-14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1.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033643-9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말단에 있는 광가교결합 가능한(photo-crosslinkable) 작용기를 통하여 가교결합되어 있는 수용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에 키토산이 결합된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로서, 상기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는 온도 변화에 따라 직경이 변화되며 키토산이 결합되지 않은 bare 나노운반체와 비교하여 피부 투과도, 세포 유입도(cellular uptake), 암 조직으로의 선택적 전달성 또는 광열효과(photothermal effect)가 증가된 나노운반체(nano-carrier)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교결합 가능한 작용기는 아크릴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올리고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메타크릴레이트, 쿠마린, 타이민 또는 시나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교결합 가능한 작용기는 C=C 이중결합을 갖는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녹말, 글리코겐, 키틴, 펩티도글리칸, 리그노 설포네이트, 탄닌산, 리그닌, 펙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헤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헤파린, 히아루론산, 덱스트란 또는 알지네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5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화학식 1(PC1)-(PE)x-(PPO)y-(PE)z-(PC2)상기 화학식에서, PE는 에틸렌옥사이드, PPO는 프로필렌옥사이드, PC1 및 PC2는 광가교결합 가능한 작용기를 나타내고, x,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1-10,000의 정수이다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운반체는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그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광가교결합 가능한(photo-crosslinkable) 작용기를 통하여 상기 수용성 생체적합성 중합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운반체는 그 내부에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분자, 당류, 지질, 나노물질, 화합물, 무기물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표면에 화합물, 무기물 또는 형광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9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분자, 당류, 지질, 나노물질, 화합물 또는 무기물은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11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분자, 당류, 지질, 화합물, 무기물 또는 형광물질은 고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운반체
12 1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나노운반체는 운반체(cargo)를 포함하는 경피 투여용 조성물
13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운반체는 고분자량의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분자, 당류, 지질, 화합물 또는 무기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표면에 고분자량의 화합물 또는 무기물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용 조성물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운반체가 포함하는 고분자량의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분자, 당류, 지질, 화합물 또는 무기물은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용 조성물
15 15
제 1 항에 있어서, 나노운반체는 운반체(cargo)를 포함하는 인 비보 종양 또는 암 이미징용 조성물
16 16
제 1 항에 있어서, 나노운반체를 포함하는 광열 암 치료용 조성물
17 17
(a) 광가교결합 가능한(photo-crosslinkable) 작용기를 갖는 수용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의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b) 광가교결합 가능한(photo-crosslinkable) 작용기를 갖는 수용성의 천연 중합체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c) 상기 생체적합성 중합체의 분산액과 키토산 분산액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d) 상기 혼합물에 개시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e) 상기 (d)의 결과물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중합체와 키토산을 가교결합시켜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는 온도 변화에 따라 직경이 변화되며 키토산이 결합되지 않은 bare 나노운반체와 비교하여 피부 투과도 또는 세포 유입도(cellular uptake)가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의 제조방법
18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교결합 가능한 작용기는 아크릴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올리고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메타크릴레이트, 쿠마린, 타이민 또는 시나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교결합 가능한 작용기는 C=C 이중결합을 갖는 작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녹말, 글리코겐, 키틴, 펩티도글리칸, 리그노 설포네이트, 탄닌산, 리그닌, 펙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헤미 셀룰로오스, 헤파린, 히아루론산, 덱스트란 또는 알지네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화학식 1(PC1)-(PE)x-(PPO)y-(PE)z-(PC2)상기 화학식에서, PE는 에틸렌옥사이드, PPO는 프로필렌옥사이드, PC1 및 PC2는 광가교결합 가능한 작용기를 나타내고, x,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1-10,000의 정수이다
22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의 광은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는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그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e)는 유기 분산상을 사용하지 않으며 수용액 분산상 단독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개질 나노운반체는 37℃에서의 동공 크기가 3-2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2573923 CN 중국 FAMILY
2 US20120087859 US 미국 FAMILY
3 WO201109034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4 WO201109034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5 WO201109034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2573923 CN 중국 DOCDBFAMILY
2 CN102573923 CN 중국 DOCDBFAMILY
3 US2012087859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광주과학기술원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 극초단레이저 기반 바이오광 이미징 기술 및 응용
2 교육과학기술부 광주과학기술원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 극초단레이저 기반 바이오광 이미징 기술 및 응용(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