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64006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공기중에 안정한 고분자 전자주입 계면층을 사용하여 공기중에 안정하고 효율이 향상된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전자주입층, 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자주입 계면층, 상기 전자주입 계면층 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계면 쌍극자를 유발할 수 있는 전자주입 계면층을 전자주입층과 발광층 사이에 형성함에 따라, 소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자주입 계면층의 두께가 두꺼워 짐에 따라 하부의 전자주입층의 일함수가 커지고, 발광층으로의 전자 주입효율이 낮아진다. 더욱이,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주입층 표면에서 일어나는 엑시톤 분리 블로킹이 증가해 전자주입 계면층의 두께에 따라 소자의 성능을 조절 할 수있다.
Int. CL H01L 51/50 (2006.01.01)
CPC H01L 51/5004(2013.01) H01L 51/50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033715 (2014.03.21)
출원인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4-0122655 (2014.10.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30039433   |   2013.04.10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태우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 김영훈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3.21 수리 (Accepted) 1-1-2014-0276193-18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0 수리 (Accepted) 4-1-2019-5243581-2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2 수리 (Accepted) 4-1-2019-5245997-53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5 수리 (Accepted) 4-1-2019-5247115-6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1 전극;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전자주입층;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표면개질층;상기 표면개질층 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절연성 고분자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주쇄 또는 측쇄에 아민기, 아조기, 또는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이민계 고분자 또는 폴리알릴아민계 고분자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가지달린 폴리에틸렌이민(branched polyethyleneimine),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ethoxylated), 폴리 2-에틸-옥사졸린(poly(2-ethyl-2-oxazoline), 리니어 폴리에틸렌이민(linear polyethyleneimine), 바이오리듀서블 다이설파이드 가교된 폴리에틸렌이민(bioreducible disulfide-crosslinked polyethyleneimine), 폴리에틸렌이민 맥스(polyethyleneimine max), 폴리 알릴아민(polyallylamine), 폴리알릴아민 염화수소산염(polyallylamine hydrochloride), 폴리 카르복실 하이드로싸이페틸라조 벤젠설퍼나마이도 에테인다일 소디움 염(poly(1-(4-(3- carboxy-4hydroxyphenylazo)benzenesulfonamido)-1,2-ethanediyl, sodium salt) 및 폴리 다이알릴 다이메틸 암모니움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표면개질층의 두께는 1nm 내지 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표면개질층의 두께는 4nm 내지 16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표면개질층의 두께는 8nm 내지 12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주입층은 금속산화물 박막층,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층 또는 금속산화물 박막 내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가 포함된 층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은 n형 반도체 금속산화물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은 TiOx(x는 1 내지 3의 실수임), 산화인듐(In2O3),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산화아연주석(Zinc Tin Oxide), 산화갈륨 (Ga2O3), 산화텅스텐(WO3),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바나듐, 산화몰리브데늄, 산화구리 (Copper(II) Oxide: CuO), 산화니켈(NiO), 산화구리알루미늄(CopperAluminiumOxide:CAO, CuAlO2), 산화아연로듐 (ZincRhodiumOxide: ZRO, ZnRh2O4), 산화철, 산화크롬, 산화비스무스, IGZO (indium-Gallium Zinc Oxide), 및 ZrO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정공주입층이 배치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13 13
제1 전극;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전자주입층;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상기 금속산화물의 산소와 결합하여 계면 쌍극자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표면개질층;상기 표면개질층 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14 14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전극 상에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전자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표면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표면개질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표면 개질층은 상기 고분자와 극성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액을 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도포하여 형성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절연성 고분자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17 17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주쇄 또는 측쇄에 아민기 아조기, 또는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이민계 고분자 또는 폴리알릴아민계 고분자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가지달린 폴리에틸렌이민(branched polyethyleneimine),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ethoxylated), 폴리 2-에틸-옥사졸린(poly(2-ethyl-2-oxazoline), 리니어 폴리에틸렌이민(linear polyethyleneimine), 바이오리듀서블 다이설파이드 가교된 폴리에틸렌이민(bioreducible disulfide-crosslinked polyethyleneimine), 폴리에틸렌이민 맥스(polyethyleneimine max), 폴리 알릴아민(polyallylamine), 폴리알릴아민 염화수소산염(polyallylamine hydrochloride), 폴리 카르복실 하이드로싸이페틸라조 벤젠설퍼나마이도 에테인다일 소디움 염(poly(1-(4-(3- carboxy-4hydroxyphenylazo)benzenesulfonamido)-1,2-ethanediyl, sodium salt) 및 폴리 다이알릴 다이메틸 암모니움 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20 20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표면개질층의 두께는 1nm 내지 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21 21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전자주입층은 금속산화물 박막층,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층 또는 금속산화물 박막 내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가 포함된 층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22 22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은 n형 반도체 금속산화물인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23 23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표면개질층은 졸-겔법 또는 증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60035979 US 미국 FAMILY
2 WO2014168440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6035979 US 미국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