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 기술번호 : KST201406588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하프 미러(half mirror)를 이용한 타원계측기(Ellipsometer using Half Mirr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수직 입사형 초점 타원계측기에서 처럼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키는 사각 프리즘형 또는 유리평판형 등의 광분할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하프미러로 대물렌즈의 반쪽으로 빛을 전부 반사시키고 대물렌즈 초점의 반쪽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분할기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광검출기로 검출되도록 함으로써 광분할기에 의한 광간섭 현상이 제거되고 광량은 최대 4배 정도 증가됨으로써 나노 박막 또는 나노 패턴 등의 시편들의 물성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는 평행광을 방출하는 광원장치(210); 상기 광원장치(210)로부터 방출된 평행광을 선편광 상태로 만드는 선편광자(220); 상기 선편광자(220)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230); 상기 하프 미러(230)로부터 반사된 빛을 시편(250)에 집중 조사시키는 대물렌즈(240); 상기 시편(250)으로부터 반사된 후 상기 대물렌즈(240)를 통과한 빛에서 특정 방향의 선편광 상태의 빛만 투과하는 검광자(260); 상기 검광자(260)를 투과한 빛의 세기를 전압 또는 전류와 같은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광검출기(270); 상기 광검출기(270)에 의해 검출된 전기적 신호를 각각의 입사각들에 대해서 180°의 다중 입사면 경로를 따라 상기 광검출기(270)의 단위소자(pixel)에 해당되는 값으로 보정하여 연산처리하는 연산처리장치(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타원계측기, 하프 미러, 대물렌즈, 초점, 반쪽, 광간섭, 방지
Int. CL G01N 21/21 (2006.01) G01N 21/25 (2006.01) G01N 21/41 (2006.01) G02B 5/08 (2006.01)
CPC G01N 21/211(2013.01) G01N 21/211(2013.01) G01N 21/211(2013.01) G01N 21/211(2013.01) G01N 21/21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053593 (2009.06.16)
출원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036455-0000 (2011.05.17)
공개번호/일자 10-2010-0135121 (2010.12.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10524)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06.16)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용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조현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3 제갈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2 박창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3 권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06.16 수리 (Accepted) 1-1-2009-0364551-96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5.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241890-5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9 수리 (Accepted) 4-1-2014-5004381-25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45-0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40-72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27-8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광원장치(210); 상기 광원장치(210)로부터 방출된 평행광을 선편광 상태로 만드는 편광자(220); 상기 편광자(220)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230); 상기 하프 미러(230)로부터 반사된 빛을 시편(250)에 집중 조사시키는 대물렌즈(240); 상기 시편(250)으로부터 반사된 후 상기 대물렌즈(240)를 통과한 빛에서 특정한 방향의 선편광 상태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검광자(260); 상기 검광자(260)를 통과한 빛의 세기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단위소자를 갖는 광검출기(270); 를 포함하여 이루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2 2
광원장치(210); 상기 광원장치(210)로부터 방출된 평행광을 선편광 상태로 만드는 편광자(220); 상기 편광자(220)를 투과한 빛을 시편(250)에 집중 조사시키는 대물렌즈(240); 상기 시편(250)으로부터 반사된 후 상기 대물렌즈(240)를 통과한 빛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230); 상기 하프 미러(230)에 의해 반사된 빛에서 특정한 방향의 선편광 상태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검광자(260); 상기 검광자(260)를 통과한 빛의 세기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단위소자를 갖는 광검출기(2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3 3
광원장치(210); 상기 광원장치(210)로부터 방출된 평행광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230); 상기 하프 미러(230)로부터 반사된 빛에서 특정한 방향의 선편광 상태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선형편광자(290); 상기 선형편광자(290)로부터 투과된 선편광을 시편(250)에 집중 조사시키는 대물렌즈(240); 상기 시편(250)으로부터 반사된 후 상기 선형편광자(290)를 통과한 빛의 세기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단위소자를 갖는 광검출기(270); 를 포함하여 이루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4 4
광원장치(210); 상기 광원장치(210)로부터 방출된 평행광을 선편광 상태로 만드는 선형편광자(290); 상기 선형편광자(290)를 투과한 빛을 시편(250)에 집중 조사시키는 대물렌즈(240); 상기 시편(250)으로부터 반사된 후 상기 대물렌즈(240)를 통과한 빛의 특정한 방향의 선편광 상태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선형편광자(290); 상기 선형편광자(290)를 통과한 빛을 반사하는 하프 미러(230); 상기 하프 미러(230)에 의해 반사된 빛의 세기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단위소자를 갖는 광검출기(2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5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230)가 상기 대물렌즈(240)의 반쪽 또는 나머지 반쪽으로 빛을 반사되도록 하거나 상기 대물렌즈(240)의 반쪽 또는 나머지 반쪽을 통과한 빛이 반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6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270)에 의해 검출된 빛의 세기분포를 각각의 입사각들에 대해서 180°의 다중 입사면 경로를 따라 상기 광검출기(270)의 단위소자(pixel)에 해당되는 값으로 보정하여 연산처리하는 연산처리장치(28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7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240)의 반쪽 또는 나머지 반쪽으로 빛을 반사되도록 하거나 상기 대물렌즈(240)의 반쪽 또는 나머지 반쪽을 통과한 빛이 반사되도록 상기 하프 미러(230)를 이송시키는 하프 미러 이송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8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장치(210)의 광원은 텅스텐-할로겐 램프, Xe 램프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백색광원 또는 레이저의 단색광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9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장치(210)가 백색광원인 경우 상기 광원장치(210)의 후단 또는 상기 광검출기(270) 전단에 특정 파장 범위의 빛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계측기
10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230)와 상기 대물렌즈(240)의 사이에 설치되며 편광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11 1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편광자(290)와 상기 대물렌즈(240)의 사이에 설치되며 편광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12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230)와 상기 대물렌즈(240)의 사이에 편광을 전기로 빛의 위상차를 제어하는 전기적 편광 변조장치(electrical polarization modulator)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13 13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편광자(290)와 상기 대물렌즈(240)의 사이에 편광을 전기로 빛의 위상차를 제어하는 전기적 편광 변조장치(electrical polarization modulator)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러를 이용한 타원계측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0147300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2 WO2010147300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0147300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2 WO2010147300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메카트로닉스사업 나노 패턴손상 및 복합물성 측정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