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기후 위기 지수 산출방법 및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15014622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후 변화에 따른 위험 여부를 알리는 척도인 기후 위기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지수와, 온도 아노말리를 이용한 온도 지수와, 식량 통계치를 이용한 식량 안전 지수와, 총 전기 순 생산량을 이용한 에너지 안전 지수와, 강수량을 이용한 물 안전 지수 및, 국가의 취약성을 나타내는 실패 국가 지수를 더하여 계산된 평균값을 기후 위기 지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후 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인자들을 기초로 기후 위기 지수를 정량적으로 지수화하여 산출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대책을 개발할 수 있다.
Int. CL G06Q 50/26 (2012.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00016912 (2010.02.25)
출원인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055291-0000 (2011.08.02)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1080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0.02.25)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오재호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2 김옥연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울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 ***호(역삼동, 혜전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02.25 수리 (Accepted) 1-1-2010-0122630-10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1.05.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1.05.25 수리 (Accepted) 9-1-2011-0046212-65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7.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400293-4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04 수리 (Accepted) 4-1-2019-5132722-09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13 수리 (Accepted) 4-1-2019-5161225-98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2.31 수리 (Accepted) 4-1-2019-5277245-32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31 수리 (Accepted) 4-1-2020-5172403-9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후 변화에 따른 위험 여부를 알리는 척도인 기후 위기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이산화탄소(CO2) 지수와, 온도 아노말리를 이용한 온도 지수와,식량 통계치를 이용한 식량 안전 지수와, 총 전기 순 생산량을 이용한 에너지 안전 지수와, 강수량을 이용한 물 안전 지수 및, 국가의 취약성을 나타내는 실패 국가 지수를 더하여 계산된 평균값을 기후 위기 지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지수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도출되며, 상기 x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3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온도 지수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도출되며, 상기 는 해수면 온도와 지표 기온 자료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온도 아노말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4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량 안전 지수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도출되며, 상기 cc_impact는 온도 증가, 강수량의 변화, 식물에 대한 화석 연료 사용이 농작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농업 생산량 영향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안전 지수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도출되며, 상기 전기 가격은 KW/h 에 해당하는 가격이고, 상기 GDP는 국내 총 생산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6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안전 지수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도출되며, 상기 WPI(Water Poverty Index)는 가정 복지와 물 가용성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학제간 측정 지표로써 물 부족이 인구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 부족 지수이고, 상기 은 1950년부터 2008년 기간의 평균 강수량이며, 상기 Pi는 년 강수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7 7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x는 미국 상무부(US Department of Commerce) 소속의 마우나 로아 관측소(Mauna Loa Observatory)에서 관측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8 8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는 HadCRUT3 자료에서 계산된 온도 아노말리로써 영국 기상청(UK Met Office)의 해들리 센터(Hadley Center)와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East Anglia) 대학의 CRU(Climate Research Unit, 기후 연구 유닛)가 만든 전구 온도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9 9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식량 통계치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에서 제공하는 전세계 시장 분석(Global market analysis)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10 10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cc_impact는 화석 연료의 사용 등에 따른 기후 변화로 인한 2080년 농업 생산량의 예측 추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11 1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인구 증가율은 미국 사무국의 경제 사회처 인구국(Population Division of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nd Social Affairs)에서 제공하는 세계 인구 전망 보고서(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8 Revision Population Database) 자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12 12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총 전기 순 생산량 및 전기 가격은 미국의 에너지 정보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의 전 세계 총 전기 순 생산량(The World Total Electricity Net Generation) 통계 자료와 가정용 전기 가격(Electricity Prices for Households)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13 13
청구항 6에 있어서, 변수 및 Pi는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국립 환경 예측 센터)과 NCAR(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국립 기상 연구 센터)가 공동으로 집계한 강수량 재분석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14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WPI(Water Poverty Index, 물 부족 지수)는 영국 킬리 대학(Keele University)의 경제 연구소(Centre for Economic Research)에서 발간한 "물 부족 지수: 국제 비교(The Water Poverty Index: an International Comparison)" 보고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15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패 국가 지수는 평화를 위한 미합중국 두뇌 집단 기금 및 외교 정책 잡지(United States think-tank Fund for Peace and the magazine Foreign Policy)에서 발표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방법
16 16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자료를 수집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수집 모듈,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자료와 제1 수식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지수를 산출하는 이산화탄소 지수 산출 모듈, 온도 아노말리를 수집하는 온도 아노말리 수집 모듈, 상기 온도 아노말리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온도 아노말리와 제2 수식을 이용하여 온도 지수를 산출하는 온도 지수 산출 모듈, 특정 국가의 인구 증가율 및 세계 인구 증가율 자료를 수집하는 인구증가율 수집 모듈, 전 세계 식량 통계치를 수집하는 식량 통계 자료 수집 모듈, 상기 인구 증가율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인구 증가율과 상기 식량 통계 자료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식량 통계치 및 제3 수식을 이용하여 식량 안전지수를 산출하는 식량 안전지수 산출 모듈, 총 전기 순 생산량과 전기 가격 자료와 GDP 자료를 수집하는 전기 통계 및 GDP 수집 모듈, 상기 인구 증가율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인구 증가율과, 상기 전기 통계 및 GDP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총 전기 순 생산량과 전기 가격 및 GDP자료와, 제4 수식을 이용하여 에너지 안전지수를 산출하는 에너지 안전지수 산출 모듈, 전 세계 물 부족 지수와 전 세계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는 물 부족지수 및 강수량 수집 모듈과, 상기 인구 증가율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인구 증가율과, 상기 물 부족지수 및 강수량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전 세계 물 부족 지수와 전 세계 강수량 자료 및 제5 수식을 이용하여 물 안전지수를 산출하는 물 안전지수 산출 모듈, 국가의 취약성을 나타내는 실패 국가 지수를 수집하는 실패 국가지수 수집 모듈 및, 상기 이산화탄소 지수 산출 모듈, 상기 온도지수 산출 모듈, 상기 식량 안전지수 산출 모듈, 상기 에너지 안전지수 산출 모듈, 상기 물 안전지수 산출 모듈 및 상기 실패 국가지수 수집 모듈에 의해 산출 및 수집된, 이산화탄소 지수, 온도 지수, 식량 안전지수, 에너지 안전지수, 물 안전지수 및 실패 국가지수를 모두 합하여 평균한 값을 산출하는 평균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17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식은, 이며, 상기 x는 상기 이산화탄소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이고 미국 상무부(US Department of Commerce) 소속의 마우나 로아 관측소(Mauna Loa Observatory)에서 관측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18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식은, 이며, 상기 는 상기 온도 아노말리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해수면 온도와 지표 기온 자료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HadCRUT3 자료에서 계산된 온도 아노말리로써 영국 기상청(UK Met Office)의 해들리 센터(Hadley Center)와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East Anglia) 대학의 CRU(Climate Research Unit, 기후 연구 유닛)가 만든 전구 온도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19 19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식은, 이며, 상기 전 세계 식량 통계치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에서 제공하는 전 세계 시장 분석(Global market analysis) 자료를 사용하고, 상기 cc_impact는 화석 연료의 사용 등에 따른 기후 변화로 인한 2080년 농업 생산량의 예측 추이로서 상기 식량 통계 자료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온도 증가, 강수량의 변화, 식물에 대한 화석 연료 사용이 농작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농업 생산량 영향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20 20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4 수식은, 이며, 상기 전기 가격은 KW/h 에 해당하는 가격이고, 상기 GDP는 국내 총 생산량이며, 상기 총 전기 순 생산량 및 전기 가격은 미국의 에너지 정보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의 전 세계 총 전기 순 생산량(The World Total Electricity Net Generation) 통계 자료와 가정용 전기 가격(Electricity Prices for Households)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21 21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5 수식은, 이며, 상기 WPI(Water Poverty Index)는 상기 물 부족지수 및 강수량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가정 복지와 물 가용성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학제간 측정 지표로써 영국 킬리 대학(Keele University)의 경제 연구소(Centre for Economic Research)에서 발간한 "물 부족 지수: 국제 비교(The Water Poverty Index: an International Comparison)" 보고서를 이용하고, 상기 은 상기 물 부족지수 및 강수량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1950년부터 2008년 기간의 평균 강수량이며, 상기 Pi는 상기 물 부족지수 및 강수량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년 강수량이며, 상기의 변수 및 Pi는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국립 환경 예측 센터)과 NCAR(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국립 기상 연구 센터)가 공동으로 집계한 강수량 재분석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22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구 증가율은 미국 사무국의 경제 사회처 인구국(Population Division of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nd Social Affairs)에서 제공하는 세계 인구 전망 보고서(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8 Revision Population Database) 자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23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실패 국가 지수는 평화를 위한 미합중국 두뇌 집단 기금 및 외교 정책 잡지(United States think-tank Fund for Peace and the magazine Foreign Policy)에서 발표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위기 지수 산출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02539863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2 US20120123682 US 미국 FAMILY
3 WO201110567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253986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2 EP253986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3 WO201110567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기상청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역량 기반구축 사업 기상지진기술개발을 위한 IT 기반 연구 환경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