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형암 침투성 펩타이드 기반기술 및 이를 활용한 고효율 종양 치료용 항체 기술

  • 기술번호 : KST201501684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뉴로필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종양 침투성 펩타이드 (TPP, Trans-tumoral peptide) 또는 이 펩타이드가 융합된 융합 단백질, 소분자 약물, 나노입자 또는 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이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및 이를 이용한 종양 침투성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 펩타이드가 융합된 융합 단백질, 소분자 약물, 나노입자 또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 또는 신생혈관 관련 질병의 치료, 진단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양 침투성 펩타이드가 항암 항체 중쇄불변영역(Fc)의 C-말단에 융합된 융합항체는 뉴로필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을 갖게 되어, 종양조직에 특이적으로 축적되고, 종양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격을 넓혀서 혈관 밖 유출이 증진되고, 종양조직내부에서의 침투가 증가하여, 현저히 증가된 생체내 종양억제 활성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양 침투성 펩타이드가 융합된 융합 단백질은 뉴로필린 타겟팅으로 인한 뉴로필린 공수용체의 작용 중 신생혈관형성 기능을 억제하여 혈관신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t. CL C07K 14/435 (2006.01) A61K 39/395 (2006.01) C07K 19/00 (2006.01) A61P 35/00 (2006.01)
CPC C07K 14/435(2013.01) C07K 14/435(2013.01) C07K 14/435(2013.01) C07K 14/43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061751 (2014.05.22)
출원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551299-0000 (2015.09.02)
공개번호/일자 10-2014-0138539 (2014.12.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5091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30058619   |   2013.05.23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05.22)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용성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신태환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3 김예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4 성은실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 (구로동,에이스테크노타워*차)(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5.22 수리 (Accepted) 1-1-2014-0483570-28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06.13 수리 (Accepted) 1-1-2014-0554924-31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5.03.26 수리 (Accepted) 1-1-2015-0295076-10
4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5.03.27 수리 (Accepted) 1-1-2015-0303410-01
5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5.04.02 수리 (Accepted) 1-1-2015-0325067-47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5.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362460-36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5.07.1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0695463-47
8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5.07.17 수리 (Accepted) 1-1-2015-0695512-97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7.17 수리 (Accepted) 1-1-2015-0695460-11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5.08.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580265-9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서열번호 1 내지 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뉴로필린(neuropil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세마포린 3A 또는 3F 유래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N 말단, C 말단 또는 N 및 C 말단에 링커 펩타이드가 결합된 것인, 펩타이드
4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커 펩타이드는 1 내지 5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펩타이드
5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커 펩타이드는 글라이신 (glycine), 세린 (serine) 또는 알라닌 (alanine)으로 구성되는 것인, 펩타이드
6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커 펩타이드는 (GA)n 또는 (GGGGS)m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정수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7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5 내지 1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으로 이루어진 것인, 펩타이드
8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 및항체, 항체의 단편, 펩타이드, 효소, 성장인자 (growth factor), 사이토카인 (cytokine), 전사인자, 독소, 항원성 펩티드, 호르몬, 운반 단백질, 운동 기능 단백질, 수용체, 신호(signaling) 단백질, 저장 단백질, 막 단백질, 막횡단(transmembrane) 단백질, 내부(internal) 단백질, 외부(external) 단백질, 분비 단백질, 바이러스 단백질, 당 단백질, 절단된 단백질, 단백질 복합체, 및 화학적으로 개질된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백질;이 융합된 융합 단백질로서,상기 항체의 단편은 항체의 중쇄불변영역 (Fc), 항원결합절편 (antigen binding fragment (Fab)), 단일사슬항체절편(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중쇄가변영역, 경쇄불변영역 또는 경쇄가변영역인 것인, 융합 단백질
9 9
삭제
10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뉴로필린에 2가 (bivalent) 이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1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융합은 링커 펩타이드에 의한 것인, 융합 단백질
12 12
삭제
13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이 항체인 경우, 펩타이드는 항체의 중쇄불변영역(Fc)의 C-말단에 결합된 것인 융합 단백질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링커 펩타이드에 의한 것인 융합 단백질
15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IgG, IgM, IgA, IgD 및 Ig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융합 단백질
16 16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가 융합된 나노입자
17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뉴로필린에 2가 (bivalent) 이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8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융합은 링커 펩타이드에 의한 것인, 펩타이드가 융합된 나노입자
19 1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가 융합된 리포좀
20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뉴로필린에 2가 (bivalent) 이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21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융합은 링커 펩타이드에 의한 것인, 펩타이드가 융합된 리포좀
22 22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가 융합된 소분자 약물
23 23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된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4 24
서열번호 5 내지 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가 항체 또는 항체의 중쇄불변영역 단편의 중쇄불변영역의 C-말단에 결합된 융합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신생혈관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25 25
삭제
26 26
서열번호 5 내지 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가 항체 또는 항체의 중쇄불변영역 단편의 중쇄불변영역의 C-말단에 결합된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암 또는 신생혈관 관련 질환의 진단용 조성물
27 27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03000825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2 JP06391676 JP 일본 FAMILY
3 JP28522205 JP 일본 FAMILY
4 JP30134109 JP 일본 FAMILY
5 US09975933 US 미국 FAMILY
6 US20160130315 US 미국 FAMILY
7 WO201418930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3000825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2 EP3000825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3 JP2016522205 JP 일본 DOCDBFAMILY
4 JP2018134109 JP 일본 DOCDBFAMILY
5 JP6391676 JP 일본 DOCDBFAMILY
6 US2016130315 US 미국 DOCDBFAMILY
7 US9975933 US 미국 DOCDBFAMILY
8 WO201418930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고형암조직 내부로 항체 침투를 촉진하는 펩타이드 원천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종양 치료용 항체 기반기술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아주대학교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 세포내 단백질 상호작용 제어 항체 기술
3 미래창조과학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프런티어사업 (혁신형의약바이오 컨버젼스) ARS 타겟 다기능 항체 개발
4 교육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 중점연구소지원사업 신개념 그린융합소재 발굴 및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