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05933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명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제 1 매질과 상기 제 1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매질이 혼합된 형태를 갖는 제 1 광 경로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 상에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 분리, 광 추출 효율, 유기 발광 다이오드
Int. CL H01L 51/52 (2006.01)
CPC H01L 51/5275(2013.01) H01L 51/527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111625 (2009.11.1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296684-0000 (2013.08.08)
공개번호/일자 10-2011-0054836 (2011.05.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081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11.18)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두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정익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
3 신진욱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
4 이종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추혜용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이주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7 한준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영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대치동) KT&G타워 *층(에스앤엘파트너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11.18 수리 (Accepted) 1-1-2009-0708780-14
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0.02.2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0-0124251-55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02.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099417-11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04.0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304828-70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3.04.08 수리 (Accepted) 1-1-2013-0304742-42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8.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538505-51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위치되며, 상 분리 현상에 의하여 제 1 매질과 상기 제 1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매질이 반복 배열된 형태를 갖는 제 1 광 경로 조절층; 및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굴절층 및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과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굴절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 분리 현상에 의하여 제 3 매질과 상기 제 3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4 매질이 혼합된 형태를 갖는 제 2 광 경로 조절층을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제 2 광 경로 조절층 사이에 형성된 제 3 굴절층을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질의 굴절률은 2
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질은, 산화 주석(SnO2), 산화 티타늄(TiO2), 산화 카드뮴(CdO),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탄탈(Ta2O3) 및 산화 하프늄(Hf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7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매질은, 산화 실리콘(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규산염 유리(silicate glass) 및 산화 실리콘-산화 티타늄(SiO2-Ti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공기와 같은 기체나 진공을 포함하는 기공과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혼합된 형태인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8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절층 및 상기 제 2 굴절층은 산화 주석(SnO2), 산화 티타늄(TiO2), 산화 카드뮴(CdO),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탄탈(Ta2O3), 산화 하프늄(HfO2), 산화 실리콘-산화 티타늄(SiO2-TiO2), 산화 알루미늄-산화티타늄(Al2O3-TiO2), 규산염 유리(silicate glass) 및 산화 실리콘-산화 알루미늄(SiO2-Al2O3) 고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굴절층은 상기 투명 기판보다 굴절률이 높고 상기 제 1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으며, 상기 제 2 굴절층은 상기 애노드 전극보다 굴절률이 높고 상기 제 1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9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굴절층은 산화 주석(SnO2), 산화 티타늄(TiO2), 산화 카드뮴(CdO),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탄탈(Ta2O3), 산화 하프늄(HfO2), 산화 실리콘-산화 티타늄(SiO2-TiO2), 산화 알루미늄-산화티타늄(Al2O3-TiO2), 규산염 유리(silicate glass) 및 산화 실리콘-산화 알루미늄(SiO2-Al2O3) 고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기판보다 굴절률이 높고 상기 제 3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1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매질은 상기 투명 기판에 수직한 기둥 형태인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11 11
투명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제 1 매질과 상기 제 1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매질이 혼합된 형태를 갖는 제 1 광 경로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 상에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2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매질의 전구체 및 상기 제 2 매질의 전구체가 혼합된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코팅된 혼합 용액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혼합 용액의 겔(gel)화와 동시에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 1 매질 및 제 2 매질로 상 분리된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코팅막을 하소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3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투명 기판보다 굴절률이 높고 상기 제 1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1 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4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의 적층 이전에, 상기 제 1 광 경로 조절층 상에 상기 애노드 전극보다 굴절률이 높고 상기 제 1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5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질의 전구체는 티타늄 메톡사이드(Titanium Methoxide), 티타늄 에톡사이드(Titanium Ethoxide), 티타늄 프로폭사이드(Titanium Propoxide) 및 티타늄 부톡사이드(Titanium Butoxide) 등의 티타늄 알콕사이드(Titanium Alkoxide) 계열 물질 또는 클로로 티타늄 메톡사이드(Chloro Titanium Methoxide), 클로로 티타늄 에톡사이드(Chloro Titanium Ethoxide), 클로로 티타늄 프로폭사이드(Chloro Titanium Propoxide) 및 클로로 티타늄 부톡사이드(Chloro Titanium Butoxide) 등의 클로로 티타늄 알콕사이드(Chloro Titanium Alkoxide) 계열 물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매질의 전구체는 트리알킬옥시비닐실란(Trialkyloxyvinylsilane) 계열 물질, 테트라알킬옥시실란(Tetraalkyloxysilane) 계열 물질, 알릴트리알킬실란(Allyltrialkylsilane) 계열 물질, 테트라알킬실란(Tetraalkylsilane) 계열 물질, 디페닐실란(Diphenylsilane) 계열 물질, 테트라페닐실란(Tetraphenylsilane) 계열 물질, 아미노알킬옥시실란(Aminoalkyloxysilane) 계열 물질, 실세스키옥산(Silsesquioxane) 계열 물질, 실세스키옥산-실록산(Silsesquioxane-siloxane) 계열 물질 및 실세스키옥산-실란(Silsesquioxane-silane) 계열 물질 중 어느 하나인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6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티타늄 메톡사이드(Titanium Methoxide), 티타늄 에톡사이드(Titanium Ethoxide), 티타늄 프로폭사이드(Titanium Propoxide) 및 티타늄 부톡사이드(Titanium Butoxide) 등의 티타늄 알콕사이드(Titanium Alkoxide) 계열 물질 또는 클로로 티타늄 메톡사이드(Chloro Titanium Methoxide), 클로로 티타늄 에톡사이드(Chloro Titanium Ethoxide), 클로로 티타늄 프로폭사이드(Chloro Titanium Propoxide), 클로로 티타늄 부톡사이드(Chloro Titanium Butoxide) 및 클로로 티타늄 트리이소프로폭사이드(Chloro Titanium Triisopropoxide) 등의 클로로 티타늄 알콕사이드(Chloro Titanium Alkoxide) 계열 물질의 단독 용액이나, 상기 티타늄 알콕사이드(Titanium Alkoxide) 계열 물질 또는 상기 클로로 티타늄 알콕사이드(Chloro Titanium Alkoxide) 계열 물질과 트리알킬옥시비닐실란(Trialkyloxyvinylsilane) 계열 물질, 테트라알킬옥시실란(Tetraalkyloxysilane) 계열 물질, 알릴트리알킬실란(Allyltrialkylsilane) 계열 물질, 테트라알킬실란(Tetraalkylsilane) 계열 물질, 디페닐실란(Diphenylsilane) 계열 물질, 테트라페닐실란(Tetraphenylsilane) 계열 물질, 아미노알킬옥시실란(Aminoalkyloxysilane) 계열 물질, 실세스키옥산(Silsesquioxane) 계열 물질, 실세스키옥산-실록산(Silsesquioxane-siloxane) 계열 물질 및 실세스키옥산-실란(Silsesquioxane-silane) 계열 물질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혼합된 용액을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코팅된 용액을 상온에서 방치하여 겔화시키거나 가열하여 겔화시킴으로써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코팅막을 하소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7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의 농도 및 겔화 속도 조절을 위하여,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및 부탄올(buthanol) 중 적어도 적어도 어느 하나와 증류수를 상기 혼합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8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의 겔화 속도, 상 분리 속도, 상기 제 2 매질의 형태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염산(hydrochloric acid), 초산(acetic acid), 질산(nitric acid), 황산(sulfuric acid) 및 옥살산(oxalic ac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혼합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9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의 점도, 겔화 속도, 상 분리 속도, 상기 제 2 매질의 형태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아세틸아세톤(acetylacetone),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혼합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20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하부에,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제 3 매질과 상기 제 3 매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4 매질이 혼합된 형태를 갖는 제 2 광 경로 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08408960 US 미국 FAMILY
2 US20110115367 US 미국 FAMILY
3 US20120156957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1115367 US 미국 DOCDBFAMILY
2 US2012156957 US 미국 DOCDBFAMILY
3 US8408960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 환경/감성형 OLED 면조명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