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가속도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기술번호 : KST2015065756
  • 담당센터 :
  • 전화번호 :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는 기판에 고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시, 각 방향마다 서로 다른 커패시턴스(C)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체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에 대해 효과적으로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Int. CL G01C 19/56 (2006.01) H04B 1/38 (2006.01) G01P 15/125 (2006.01)
CPC G01P 15/125(2013.01) G01P 15/125(2013.01) G01P 15/125(2013.01) G01P 15/12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10107211 (2011.10.19)
출원인 엘지전자 주식회사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3-0067326 (2013.06.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주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장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 *층~*층 (논현동, 비너스빌딩)(박장원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1.10.19 수리 (Accepted) 1-1-2011-0819463-74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5.22 수리 (Accepted) 4-1-2015-5068349-9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28 수리 (Accepted) 4-1-2020-5118228-4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에 고정되는 프레임; 및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시, 각 방향마다 서로 다른 커패시턴스(C)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2 2
제1항에 있어서,어느 일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이동체가 편향되어 이동하도록 일단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방향은,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교 좌표계의 X축, Y축, 및 Z축을 향하는 방향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6 6
기판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교차하는 제1, 제2 및 제3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체; 및상기 각 방향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직교 좌표계(X, Y, Z)의 어느 일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판에 대해서 상대 이동하는 상기 이동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에서 각각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8 8
제7항에 있어서,어느 일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이동체가 편향되어 이동하도록 일단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체가 적어도 두방향으로 이동시 이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2 12
제6항에 있어서,제1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제1 프레임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이동체의 제1 이동부를 포함하고,제2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제2 프레임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이동체의 제2 이동부를 포함하고,제3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제3 프레임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이동체의 제3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감지부들은, 상기 각 방향에 대한 가속도에 대해 각각 다른 범위의 커패시턴스(c)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감지부들은, 그 재질, 형상 또는 유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부 내지 제3 감지부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6 16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이동부 내지 제3 이동부는 각각 상기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17 17
단말기 본체; 및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를 포함하고,상기 가속도 센서 조립체는,기판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교차하는 제1, 제2 및 제3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체; 및상기 각 방향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가속도 센서 조립체는,상기 감지부들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정보를 샘플링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가속도 정보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직교 좌표계(X, Y, Z)의 어느 일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판에 대해서 상대 이동하는 상기 이동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에서 각각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20
제17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이동체는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제조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21
제17항에 있어서,어느 일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이동체가 편향되어 이동하도록 일단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22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23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체가 적어도 두방향으로 이동시 이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24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25
제17항에 있어서,제1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제1 프레임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이동체의 제1 이동부를 포함하고,제2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제2 프레임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이동체의 제2 이동부를 포함하고,제3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제3 프레임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이동체의 제3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
26 26
제25항에 있어서,상기 감지부들은, 상기 각 방향에 대한 가속도에 대해 각각 다른 범위의 커패시턴스(c)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27
제25항에 있어서,상기 감지부들은, 그 재질, 형상 또는 유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8 28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감지부 내지 제3 감지부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9 29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이동부 내지 제3 이동부는 각각 상기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