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중반사판측정장치

  • 기술번호 : KST201507473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중반사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사잡음부호의 상관특성을 이용한 다중반사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의사잡음부호를 생성하여 상향 주파수 변환을 실시하고, 증폭한 후에 송신하는 송신부; 및 다중반사를 거쳐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한 후 중간 주파수대로 변환하고,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 후 증폭하여 분파하고, 각 신호를 당해 수신기 내부에서 발생된 의사잡음 부호로 변조한 후 상기 분파된 신호와 혼합하고,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후 다중반사특성을 산출하는 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송 채널의 다양한 파라미터을 측정할 수 있고, 임펄스 송수신 방식에 비하여 송신출력 증폭기 이용 효율이 우수하며, 상관 처리 이득에 의하여 수신감도가 향상되고, 사용하는 의사잡음보호의 종류를 달리하면 동일 또는 인접한 지연이나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독립적인 측정장치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H04B 7/015 (2006.01)
CPC H04B 17/0085(2013.01) H04B 17/0085(2013.01) H04B 17/0085(2013.01)
출원번호/일자 1019940033886 (1994.12.1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0118339-0000 (1997.07.16)
공개번호/일자 10-1996-0027457 (1996.07.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1019970006770 (1997043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1994.12.13)
심사청구항수 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동두 대한민국 대전직할시유성구
2 함영권 대한민국 대전직할시유성구
3 김창주 대한민국 대전직할시대덕구
4 이혁재 대한민국 대전직할시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영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대흥빌딩 ***호 (역삼동)
2 원혜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서울빌딩 *층 (역삼동)
3 김명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테헤란오피스빌딩 ***호 시몬국제특허법률사무소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출원심사청구서
Request for Examination
1994.12.13 수리 (Accepted) 1-1-1994-0152424-92
2 대리인선임신고서
Notification of assignment of agent
1994.12.13 수리 (Accepted) 1-1-1994-0152423-46
3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1994.12.13 수리 (Accepted) 1-1-1994-0152422-01
4 출원공고결정서
Written decision on publication of examined application
1997.03.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1994-0085015-64
5 출원인정보변경 (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1997.04.21 수리 (Accepted) 1-1-1994-0152425-37
6 등록사정서
Decision to grant
1997.07.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1994-0085016-10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1.04.19 수리 (Accepted) 4-1-2001-0046046-20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2.08.08 수리 (Accepted) 4-1-2002-0065009-76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08.04 수리 (Accepted) 4-1-2009-5150899-36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의사잡음부호를 생성하여 상향 주파수 변환을 실시하고, 증폭한 후에 송신하는 송신부; 및 다중반사를 거쳐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한 후 중간 주파수대로 변환하고,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 후 증폭하여 분파하고, 각 신호를 당해 수신기 내부에서 발생된 의사잡음부호로 변조한 후 상기 분파된 신호와 혼합하고,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후 다중반사 특성을 산출하는 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반사파 측정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발생되는 모든 신호를 동기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정밀주파수기준기(201); 의사잡음부호를 발생을 위한 클럭을 출력하는 의사잡음부호 클럭 합성기(202) 상기 의사잡음부호 클럭 합성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의사잡음부호를 생성하는 의사잡음부호발생기(205); 반송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중간주파수 합성기(203); 상기 의사잡음부호 부호 발생기(205)에서 발생된 의사잡음부호를 상기 중간주파수 합성기(203)에서 합성된 반송주파수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206); 상기 변조기(206)에 의한 변조 과정에서 발생된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통과여파기(207); 상기 여파기(207)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파수를 합성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용 주파수합성기(204); 상기 여파기(207)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주파수합성기(204)의 출력을 혼합하여 측정주파수 대역으로 상향 주파수 변환을 실시하는 혼합기(208); 상기 혼합기(209)에서의 혼합 과정에서 발생된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통과여파기(209); 상기 대역통과여파기(209)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출력 증폭기(210); 상기 출력 증폭기(210)에서의 출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출력 보호기(211); 및 상기 출력 보호기(2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안테나(212)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반사파 측정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다중반사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301); 상기 수신 안테나(301)에 수신된 신호에서 해당 주파수 대의 신호만을 선별하기 위한 대역통과여파기(302); 상기 여파기(302)에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초단 증폭기(303); 1차 북구발진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1차 국부발진주파수 합성기(309); 상기 증폭기(303)에서의 출력을 상기 주파수 합성기(309)에서 합성된 1차 국부 발진주파수 합성기에서 합성된 1차 국부발진주파수의 혼합에 의하여 중간주파수대로 변환하기 위한 혼합기(304); 상기 혼합기(304)에 의한 주파수 변환 과정에서 발생된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통과여파기(305); 송수신 거리에 따라 달라진 수신신호의 크기를 적절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도록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단위신호감쇠기(306); 상기 감쇠기(306)에서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중간주파 증폭기(307); 모든 출력주파수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정밀주파수 기준기(308); 의사잡음부호의 발생을 위한 클럭을 제공하기 위한 의사잡음부호 클럭 발생기(310); 상기 의사잡음부호 클럭 발생기(310)의 클럭을 받아 의사잡음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의사잡음부호 발생기와 로직(311); 상기 의사잡음부호를 변조할 목적으로 반송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2차 국부발진주파수 합성기(312); 상기 의사잡음부호를 상기 2차 국부발진주파수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신호발생기(313); 상기 변조발생기에서의 출력을 분파하기 위한 분파기(314); 상기 증폭기(307)에서 증폭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분파하기 위한 이상분파기(317); 상기 분파기(314)의 출력과 상기 분파기(317)의 출력을 동상으로 혼합하기 위한 동상신호 혼합기(315); 상기 분파기(314)의 출력과 90°로 위상 천이된 상기 분파기(317)의 출력을 혼합하기 위한 직교신호 혼합기(316); 상기 혼합기(315,316)의 출력에서 고주파 성분을 각각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여파기(318,319); 및 상기 여파기(318,319)의 출력을 입력받아 다중반사 특성을 산출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3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반사파 측정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