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 기술번호 : KST201507957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비 실시간 트래픽과 실시간 트래픽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동시에 보장하는 분산 비 동기 방식의 내재적 토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프로토콜을 개시한다. 상기 내재적 토큰 CSMA/CA 프로토콜은 이를 네트워크 전체 대역폭으로 보면, 음성 트래픽에 일정한 대역을 할당하고 음성 트래픽이 사용하고 남은 잔여 네트워크 대역을 데이터 트래픽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상기 하이브리드(hybrid)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은, 소정의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전체 대역폭 중에서 일정한 대역을 할당받아 음성 트래픽을 실시간 전송할 수 있도록 토큰 패싱(token passing)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단계 및 소정의 다른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음성 트래픽에 의하여 할당되지 않은 잉여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CSMA/CA 방식을 적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Int. CL H04L 29/06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030094420 (2003.12.22)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0564761-0000 (2006.03.21)
공개번호/일자 10-2005-0062747 (2005.06.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60327)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3.12.22)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태만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서구
2 정유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서구
3 채희성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4 김동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서구
5 이준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리앤목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언주로 **길 **, *층, **층, **층, **층(도곡동, 대림아크로텔)
2 이해영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언주로 **길 **, *층, **층, **층, **층(도곡동, 대림아크로텔)(리앤목특허법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3.12.22 수리 (Accepted) 1-1-2003-0488290-20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5.06.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5.07.15 수리 (Accepted) 9-1-2005-0040394-18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5.08.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5-0404074-44
5 의견서
Written Opinion
2005.10.06 수리 (Accepted) 1-1-2005-0565255-41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6.02.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6-0105485-50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08.04 수리 (Accepted) 4-1-2009-5150899-36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합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전체 대역폭 중에서 일정한 대역을 할당받아 음성 트래픽을 실시간 전송할 수 있도록 토큰 패싱(token passing)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단계; 및 소정의 다른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음성 트래픽에 의하여 할당되지 않은 잉여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CSMA/CA 방식을 적용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데이터프레임 및 상기 소정의 다른 데이터프레임은, 복수 개의 IFS(Inter Frame Spaces)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IFS는, 3개의 IFS로서, 상기 3개의 IFS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며, 각각 실시간 전송 프레임, 실시간 예약 프레임 및 비 실시간 전송 프레임의 인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IFS는, 비 실시간 전송 프레임의 인식을 위하여 사용되며, 미디어가 비지(busy) 상태의 종료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동안의 시간구간을 나타내는 DIFS(Distributed coordinate function Inter Frame Space); 실시간 예약 프레임의 인식을 위하여 사용되며, 미디어의 비지 상태의 종료로부터 실시간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까지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RIFS(Realtime IFS) 및 실시간 전송 프레임의 인식을 위하여 사용되며, 미디어의 비지 상태의 종료로부터 실시간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까지의 시간구간으로서 상기 RIFS 시간구간보다 짧은 SIFS(Shortest IF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4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CSMA/CA 방식을 적용하는 단계는, 채널의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 상기 DIFS 동안 미디어가 비어 있으면 DIFS가 경과한 후 RTS(Request To Send)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SIFS의 시간경과 후 CTS(Clear To Send)프레임 수신하는 단계; SIFS의 시간경과 후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SIFS의 시간경과 후 ACK프레임의 발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패싱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단계는, 음성통화시스템의 관할영역 내에 진입한 스테이션이 토큰 예약 테이블에 예약을 하고 전송차례에 대응되는 토큰번호를 부여 받는 단계; 상기 토큰번호를 부여받은 스테이션이, 다른 스테이션에 의하여 실시간 트래픽이 송신될 때 발생하는 ACK(token #)프레임을 감지하거나 비 실시간 트래픽이 송신될 때 발생하는 ACK(data)프레임을 감지한 경우, 자신의 카운터를 갱신시키는 단계; 상기 갱신된 카운터 값과 부여받은 자신의 토큰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카운터의 값과 자신의 토큰번호의 값이 동일한 경우 현재 송신되는 트래픽이 종료될 때 최선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자격을 부여받는 내재적 토큰 패싱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예약 테이블은, 최대 엔트리가 N(N은 실수)으로 설정되어 상기 토큰 예약 테이블이 모듈(module-N)과 같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7 7
제5항에 있어서, 토큰 패싱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단계는, 토큰의 패싱이 중단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대 경쟁 허용 윈도우 타임 동안, 상기 실시간 데이터프레임 또는 비 실시간 데이터프레임의 발생이 없으면 모든 스테이션들이 자동으로 카운터를 1(one)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8 7
제5항에 있어서, 토큰 패싱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단계는, 토큰의 패싱이 중단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대 경쟁 허용 윈도우 타임 동안, 상기 실시간 데이터프레임 또는 비 실시간 데이터프레임의 발생이 없으면 모든 스테이션들이 자동으로 카운터를 1(one)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07643509 US 미국 FAMILY
2 US07974302 US 미국 FAMILY
3 US20050135408 US 미국 FAMILY
4 US20100027558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05135408 US 미국 DOCDBFAMILY
2 US2010027558 US 미국 DOCDBFAMILY
3 US7643509 US 미국 DOCDBFAMILY
4 US7974302 US 미국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