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디지털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1507992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차원 도약 패턴 충돌시 충돌 구간에서의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어진 직교 무선 자원을 송신측 및 수신측 사이의 통신 규약에 의하여 다차원 직교 자원 영역에서 도약 선택하며, 해당 채널은 다차원 도약 패턴에 의하여 구별된다. 이때, 제2 통신국별로 특정한 다차원 도약 패턴을 할당하고, 다차원 도약 패턴은 제2 통신국에 영구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고, 호설정시에 제1 통신국으로부터 할당받을 수도 있다. 또한,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패턴이 각 제2 통신국에게 영구적으로 할당되는 것은 제2 통신국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과 같이 유일한 식별자를 바탕으로 다차원 도약 패턴이 정해질 때이다. 이런 경우, 제2 통신국의 다차원 도약 패턴이 서로 독립이기 때문에 특정 순간에 동일한 직교 자원 좌표가 서로 다른 제2 통신국에 동시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식을 채택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송과 천공의 2분법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패턴 충돌시 처리 방법을 세분화함으로써 천공의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직교 자원, 도약 패턴, 다차원, 충돌, 다중화
Int. CL H04B 1/7143 (201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047003635 (2004.03.11)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0644233-0000 (2006.11.02)
공개번호/일자 10-2004-0039348 (2004.05.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6111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PCT/KR2002/001774 (2002.09.18)
국제공개번호/일자 WO2003026159 (2003.03.27)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010057421   |   2001.09.18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060067916;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4.03.23)
심사청구항수 2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수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2 권재균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달서구
3 신강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마포구
4 정재훈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5 윤지영 대한민국 경기도고양시일산구
6 문성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7 박수미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영도구
8 성단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9 경문건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10 차재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11 이서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12 송석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13 손인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14 조주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15 김재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강서구
16 이희수 대한민국 강원도춘천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미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서림빌딩 **층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법 제203조의 규정에 의한 서면
Document under Article 203 of Patent Act
2004.03.11 수리 (Accepted) 1-1-2004-0101319-81
2 서지사항 보정서
Amendment to Bibliographic items
2004.03.17 수리 (Accepted) 1-1-2004-0109862-37
3 명세서등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2004.03.2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04-5047735-43
4 출원심사청구서
Request for Examination
2004.03.23 수리 (Accepted) 1-1-2004-0118552-00
5 보정통지서
Request for Amendment
2004.05.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04-0031979-12
6 서지사항 보정서
Amendment to Bibliographic items
2004.05.31 수리 (Accepted) 1-1-2004-0233389-73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6.01.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6-0033412-16
8 지정기간연장신청서
Request for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06.03.20 수리 (Accepted) 1-1-2006-0192692-76
9 지정기간연장신청서
Request for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06.04.20 수리 (Accepted) 1-1-2006-0274228-16
10 지정기간연장신청서
Request for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06.05.22 수리 (Accepted) 1-1-2006-0353685-33
11 지정기간연장신청서
Request for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06.06.20 수리 (Accepted) 1-1-2006-0431496-18
12 명세서등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2006.07.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06-0516693-22
13 의견서
Written Opinion
2006.07.20 수리 (Accepted) 1-1-2006-0516690-96
14 특허분할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2006.07.20 수리 (Accepted) 1-1-2006-0516754-19
1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6.10.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6-0641032-19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08.04 수리 (Accepted) 4-1-2009-5150899-36
1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2.01 수리 (Accepted) 4-1-2013-5019983-17
1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7968-69
1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8129-58
2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7993-01
2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2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2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2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동기화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통신국으로의 통신 채널을 제1 통신국이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방법에 따라 할당하여 통계적으로 다중화하는 디지털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의 도약 패턴의 충돌이 발생하면, 전송 데이터 심볼의 부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전송 데이터 심볼의 부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모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 데이터 심볼의 부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모두 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패턴은 상기 제2 통신국별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 좌표는, "직교자원 #1, 직교자원 #2, …, 직교자원 #N"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은 직교성이 보장되는 주파수, 시간 또는 직교 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 패턴 충돌이 발생한 다차원 직교 자원은 상기 제1 통신국으로부터의 총 송신 신호 진폭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방법
6 6
동기화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통신국으로의 통신 채널을 제1 통신국이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방법에 따라 할당하여 통계적으로 다중화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패턴의 충돌 발생시, 상기 충돌에 관여한 채널의 전송 데이터 심볼과 상기 채널의 송신 신호 진폭에 따라 각각의 직교 무선 자원 단위의 송신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도약 패턴 충돌이 발생한 채널의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심볼의 부호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채널이 할당되었으나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하지 않는 채널의 집합(So),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이 양수인 채널의 집합(S+) 및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이 음수인 채널의 집합(S-)으로 각각 구분하여,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집합 S+와 S- 어느 쪽도 공집합이 아니면, 각 집합 내에서 최소의 송신 신호 진폭을 가지는 두 채널의 송신 신호 진폭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 진폭이 큰 쪽을 기준값으로 하여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된 집합에 속하는 모든 채널의 송신 전력을 0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송신 신호 진폭 중에서, 상기 기준값의 상수배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가장 큰 송신 신호 진폭을 가지는 채널의 송신 신호값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부호를 가지고 상기 기준값의 상수배의 진폭을 가지는 송신 신호값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
11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합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합을 상기 기준값의 상수배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진폭을 가지는 값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방법
13 13
삭제
14 14
삭제
15 15
삭제
16 16
삭제
17 17
삭제
18 18
삭제
19 19
삭제
20 20
삭제
21 21
삭제
22 22
삭제
23 23
삭제
24 24
삭제
25 25
삭제
26 26
삭제
27 27
삭제
28 28
삭제
29 29
삭제
30 30
삭제
31 31
삭제
32 32
삭제
33 33
삭제
34 34
삭제
35 35
삭제
36 36
삭제
37 37
삭제
38 38
동기화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통신국으로의 통신 채널을 제1 통신국이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방법에 따라 할당하여 통계적으로 다중화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차원 도약 패턴을 발생하는 수단; 상기 다차원 도약 패턴 발생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직교 자원 집합 내의 해당 직교 자원을 선택하여 데이터 심볼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다차원 도약 패턴의 충돌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충돌 구간에서의 제2 통신국들로의 전송 데이터 심볼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 및 상기 다차원 도약 패턴 충돌 및 전송 데이터 심볼 불일치로 인하여 전송을 중단하는 부분과 송신 중단으로 인한 평균 수신에너지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
39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은,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패턴의 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전송 데이터 심볼의 부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 심볼의 부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모두 전송하고, 상기 전송 데이터 심볼의 부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모두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
40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패턴은 상기 제2 통신국별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
41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국은 채널의 활성도에 따라 할당 채널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
42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는 직교성이 보장되는 주파수, 시간 또는 직교 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
43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 패턴 충돌이 발생한 직교 무선 자원 단위는 제1 통신국으로부터의 총 송신 신호 진폭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
44 44
동기화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통신국으로의 통신 채널을 제1 통신국이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방법에 따라 할당하여 통계적으로 다중화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차원 도약 패턴을 발생하는 수단; 상기 다차원 도약 패턴 발생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직교 자원 집합 내의 해당 직교 자원을 선택하여 데이터 심볼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다차원 도약 패턴의 충돌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충돌 구간에서의 제2 통신국들로의 전송 데이터 심볼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 및 상시 다차원 도약 패턴 충돌 및 전송 데이터 심볼 불일치로 인하여 전송을 중단하는 부분과 송신 중단으로 인한 평균 수신에너지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충돌검출 및 제어수단은, 상기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패턴의 충돌 발생시 상기 충돌에 관여한 채널의 전송 데이터 심볼과 상기 채널의 송신 신호 진폭에 따라 각 직교 무선 자원 단위의 송신 신호를 제어하며, 상기 도약 패턴 충돌이 발생한 채널의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의 부호를 판단하여, 채널이 할당되었으나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하지 않는 채널의 집합(S0),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이 양수인 채널의 집합(S+) 및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이 음수인 채널의 집합(S-)으로 구분하여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을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시스템
45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은, 상기 집합 S+와 S- 어느 쪽도 공집합이 아니면, 각 집합 내에서 최소의 송신 신호 진폭을 가지는 두 채널의 송신 신호 진폭을 비교하고, 상기 송신 신호 진폭이 큰 쪽을 기준값으로 하여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시스템
46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된 집합에 속하는 모든 채널의 송신 전력을 0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시스템
47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은,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송신 신호 진폭 중에서, 상기 기준값의 상수배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가장 큰 송신 신호 진폭을 가지는 채널의 송신 신호값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시스템
48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은,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부호를 가지고 상기 기준값의 상수배의 진폭을 가지는 송신 신호값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시스템
49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은,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합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시스템
50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및 제어 수단은, 상기 기준값으로 결정된 채널이 포함되지 않은 집합에 속하는 채널의 합을 상기 기준값의 상수배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진폭을 가지는 값을 상기 직교 무선 자원 단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시스템
51 51
삭제
52 52
삭제
53 53
삭제
54 54
삭제
55 55
삭제
56 56
삭제
57 57
삭제
58 58
삭제
59 59
삭제
60 60
삭제
61 61
삭제
62 62
삭제
63 63
삭제
64 64
삭제
65 65
삭제
66 66
삭제
67 67
삭제
68 68
삭제
69 69
삭제
70 70
삭제
71 71
삭제
72 72
삭제
73 73
삭제
74 74
삭제
75 75
삭제
76 76
삭제
77 77
삭제
78 78
삭제
79 79
삭제
80 80
삭제
81 81
삭제
82 82
삭제
83 83
삭제
84 84
삭제
85 84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01435140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2 EP01435140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3 EP01890391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4 EP01890391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5 EP01890391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6 EP01890392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7 EP01890392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8 EP01890392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9 EP0192175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10 EP0192175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11 EP0192175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12 JP04128957 JP 일본 FAMILY
13 JP17503711 JP 일본 FAMILY
14 US07738510 US 미국 FAMILY
15 US20060239334 US 미국 FAMILY
16 WO200302615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AT449468 AT 오스트리아 DOCDBFAMILY
2 AU2002329101 AU 오스트레일리아 DOCDBFAMILY
3 AU2002329101 AU 오스트레일리아 DOCDBFAMILY
4 CA2460790 CA 캐나다 DOCDBFAMILY
5 CA2460790 CA 캐나다 DOCDBFAMILY
6 CN1593018 CN 중국 DOCDBFAMILY
7 DE60234460 DE 독일 DOCDBFAMILY
8 EP143514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9 EP143514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0 EP143514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1 EP1890391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2 EP1890391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3 EP1890391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4 EP1890392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5 EP1890392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6 EP1890392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7 EP1921756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8 EP1921756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9 EP1921756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20 JP2005503711 JP 일본 DOCDBFAMILY
21 JP2005503711 JP 일본 DOCDBFAMILY
22 JP2005503711 JP 일본 DOCDBFAMILY
23 JP4128957 JP 일본 DOCDBFAMILY
24 US2006239334 US 미국 DOCDBFAMILY
25 US7738510 US 미국 DOCDBFAMILY
26 WO0302615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27 WO0302615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