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미세 구조체를 이용한 세포 분리 장치

  • 기술번호 : KST201508557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미세 구조체를 이용한 세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혈액 주입 방향에 위치한 타원의 일 측에는 백혈구보다 크고 혈중 암세포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혈액 배출 방향에 위치한 타원의 타 측에는 백혈구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백혈구를 적체시키는 복수의 미세 구조체; 및 상기 복수의 미세 구조체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유체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포 분리, 혈중 암세포, 미세 구조체, 백혈구 분리
Int. CL G01N 33/49 (2006.01) C12Q 1/24 (2006.01)
CPC C12Q 1/24(2013.01) C12Q 1/24(2013.01) C12Q 1/24(2013.01) C12Q 1/2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110719 (2009.11.17)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1-0054166 (2011.05.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정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씨엔에스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언주로 **길 **, 대림아크로텔 *층(도곡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11.17 수리 (Accepted) 1-1-2009-0704005-65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혈액 주입 방향에 위치한 타원의 일 측에는 백혈구보다 크고 혈중 암세포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혈액 배출 방향에 위치한 타원의 타 측에는 백혈구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백혈구를 적체시키는 복수의 미세 구조체; 및 상기 복수의 미세 구조체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 구조체는 5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유체 채널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 구조체는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고, 각 행을 이루는 미세 구조체들은 인접 행을 이루는 미세 구조체들과 서로 엇갈려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주입 방향에 위치한 타원의 일 측에 형성된 복수의 홈은 1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배출 방향에 위치한 타원의 타 측에 형성된 복수의 홈은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배출 방향에 위치한 타원의 타 측에 형성된 복수의 홈은, 상기 타원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미세 구조체의 장축 상의 2/5 지점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 구조체는 20 내지 40 마이크로미터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 구조체의 혈액 주입 방향 측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9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 구조체는 실리콘, 유리 및 플라스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폴리머는,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 (cycloolefin copolymer, COC), 폴리디메틸 실록세인 (poly-dimethyl siloxane, PDM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 폴리아미드 (polyamide, PA),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폴리페닐렌 에테르 (polyphenylene ether, PP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PS), 폴리옥시메틸렌 (polyoxymethylene, 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테트라프로오르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olyvinylchloride, PVC),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terephthalate, PBT),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및 퍼플로로알콕시알칸(perfluoralkoxyalkane, PF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