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기술번호 : KST201509148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스 노드에서 싱크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소정의 요구 전송 신뢰도를 수신하는 단계, 요구 전송 신뢰도를 만족하는, 소스 노드에서 싱크 노드까지의 각 노드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을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노드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을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요구 전송 신뢰도를 만족하면서, 총 전송 패킷수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t. CL H04W 40/12 (2009.01) H04W 40/08 (2009.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30039083 (2013.04.10)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4-0123121 (2014.10.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노성기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2 고남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정우석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4 정태수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5 문승진 대한민국 대전 서구
6 허환조 대한민국 대전 서구
7 예병호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8 박종대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4.10 수리 (Accepted) 1-1-2013-0310771-5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멀티-홉(multi-hop)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소스 노드(source node)에서 싱크 노드(sink node)까지의 멀티-홉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소정의 요구 전송 신뢰도(DCR: Desired Communication Reliability)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요구 전송 신뢰도를 만족하는,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각 노드(i)의 단일-홉(single-hop) 패킷 전송율(Ri; single-hop packet transmission rate)을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을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i)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각 노드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요구 전송 신뢰도를 만족하는, 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한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3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는상기 소스 노드에서의 전체 데이터 패킷의 수(Tp),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홉 수(H) 및 상기 각 노드의 패킷 전달율(Pi; packet delivery rate)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는(, )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5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는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를 최소화하는, 기하 프로그래밍(Geometric Programming)에 기초한,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6 6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홉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7 7
멀티-홉(multi-hop)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소스 노드(source node)에서 싱크 노드(sink node)까지의 멀티-홉 데이터에서, 노드(i)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노드(i)의 노드(i+1)로의 패킷 전달율(Pi; packet delivery rate) 정보를 수퍼 노드(super node)에 전달하는 단계;상기 수퍼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i)에서 상기 노드(i+1)로의 단일-홉(single-hop) 패킷 전송율(Ri; single-hop packet transmission rate)을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단일-홉 패킷 전송율(Ri)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i+1)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8 8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수퍼 노드는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싱크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9 9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단일-홉 패킷 전송율(Ri)은,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요구 전송 신뢰도를 만족하기 위해서, 상기 수퍼 노드가 상기 노드(i)의 패킷 전달율(Pi)을 포함한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는상기 소스 노드에서의 전체 데이터 패킷의 수(Tp),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홉 수(H) 및 상기 각 노드의 패킷 전달율(Pi; packet delivery rate)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11 11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는(, )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1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는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WNTTP)를 최소화하는, 기하 프로그래밍(Geometric Programming)에 기초한,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13 13
멀티-홉(multi-hop)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소스 노드(source node)에서 싱크 노드(sink node)까지의 멀티-홉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홉 네트워크 정보 수신부;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소정의 요구 전송 신뢰도(DCR: Desired Communication Reliability)를 수신하는 요구 전송 신뢰도 수신부; 상기 소정의 요구 전송 신뢰도를 만족하는,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각 노드(i)의 단일-홉(single-hop) 패킷 전송율(Ri; single-hop packet transmission rate)을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일-홉 패킷 전송율 결정부; 및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을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i)에 통지하는 단일-홉 패킷 전송율 통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장치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단일-홉 패킷 전송율 결정부는,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요구 전송 신뢰도를 만족하는, 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장치
15 15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정보는상기 소스 노드에서의 전체 데이터 패킷의 수(Tp),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홉 수(H) 및 상기 각 노드의 패킷 전달율(Pi; packet delivery rate)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장치
16 16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는(, )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장치
17 17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각 노드(i)의 단일-홉 패킷 전송율(Ri)는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싱크 노드까지의 총 전송 패킷수(ΩNTTP)를 최소화하는, 기하 프로그래밍(Geometric Programming)에 기초한,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장치
18 18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멀티-홉(multi-hop) 네트워크의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싱크 노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40307605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4307605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정보통신) 통신장비 개발 보급용 Flow Processing Engine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