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적응적 비트 심도 감소를 통한 부호화와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기술번호 : KST2015093374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적응적 비트 심도 감소를 통한 부호화와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bit depth)를 감소시킬 것인지 판단하는 비트 심도 조정부, 상기 비트 심도를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를 감소시키는 비트 심도 감소부, 상기 입력 신호를 양자화하는 비트 심도 양자화부, 및 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를 증가시키는 비트 심도 증가부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Int. CL H04N 7/24 (2011.01)
CPC H04N 19/184(2013.01) H04N 19/184(2013.01) H04N 19/184(2013.01) H04N 19/18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77423 (2012.07.16)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277093-0000 (2013.06.14)
공개번호/일자 10-2012-0095823 (2012.08.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062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09-0030250 (2009.04.08)
관련 출원번호 1020090030250;1020130055775;1020130055776;102013005577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5.16)
심사청구항수 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해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하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랑구
3 조숙희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4 정세윤 대한민국 대전 대덕구
5 임성창 대한민국 서울 관악구
6 김종호 대한민국 부산 수영구
7 최진수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8 홍진우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비전 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층(대치동, 동산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7.16 수리 (Accepted) 1-1-2012-0567764-57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3.04.18 수리 (Accepted) 1-1-2013-0339570-05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3.05.16 수리 (Accepted) 1-1-2013-0434585-30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05.1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434574-38
5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5.16 수리 (Accepted) 1-1-2013-0434612-86
6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5.16 수리 (Accepted) 1-1-2013-0434609-48
7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5.16 수리 (Accepted) 1-1-2013-0434611-30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6.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395750-65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bit depth)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가 원신호의 비트 심도보다 감소된 경우, 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상기 비트 심도가 증가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 심도 증가를 통한 복호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에서는,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를 상기 원신호의 비트 심도와 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 간의 차이만큼 좌방향으로 쉬프트(shift)하여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비트 심도 증가를 통한 복호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는,상기 입력 신호의 밝기 성분(luma)에 대한 비트 심도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컬러 성분(chroma)에 대한 비트 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비트 심도 증가를 통한 복호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에서는,복수개의 신호의 비트 심도 값이 저장된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비트 심도 증가를 통한 복호화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증가된 입력 신호의 비트 심도는 상기 원신호의 비트 심도와 동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비트 심도 증가를 통한 복호화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신호는 부호화기에 입력된 영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비트 심도 증가를 통한 복호화 방법
7 7
삭제
8 8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196920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1378893 KR 대한민국 FAMILY
3 KR101378899 KR 대한민국 FAMILY
4 KR101378912 KR 대한민국 FAMILY
5 KR101477772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및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T원천기술개발 차세대DTV 핵심기술개발(표준화연계)-무안경개인형3D방송기술개발(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