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로젤 미세구조에의 3차원적 단백질 패터닝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25280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로젤 미세구조에의 3차원적 단백질 패터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백질의 화학적 고정을 위해 기능기로 표면이 개질됨과 동시에 물리적으로 내부의 빈 공간에 다른 단백질을 고정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하이드로젤 미세구조를 제조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효소반응이 가능하여 하나 이상의 분석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로젤 미세구조에의 3차원적 단백질 패터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 하이드로젤 미세구조, 마이크로패터닝, 바이엔자임, 단백질 고정
Int. CL C08J 3/075 (2006.01) C08G 65/26 (2006.01) G01N 33/44 (2006.01) C08J 7/04 (2006.01)
CPC C08J 3/075(2013.01) C08J 3/075(2013.01) C08J 3/075(2013.01) C08J 3/075(2013.01) C08J 3/075(2013.01) C08J 3/075(2013.01) C08J 3/07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80080602 (2008.08.18)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0-0021929 (2010.02.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원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2 김대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3 박진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8.08.18 수리 (Accepted) 1-1-2008-0587570-37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08.12.24 수리 (Accepted) 1-1-2008-0885764-00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09.08.05 수리 (Accepted) 1-1-2009-0478990-11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12.15 수리 (Accepted) 4-1-2011-5252006-1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4.24 수리 (Accepted) 4-1-2013-5062749-37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6.24 수리 (Accepted) 4-1-2013-5088566-8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9.25 수리 (Accepted) 4-1-2014-5114224-7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PEG 하이드로젤 미세구조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PEG 하이드로젤 미세구조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이드로젤의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화학식 1] L1-L2-L3 상기 식에서
2 2
제1항에 있어서, PEG 하이드로젤 미세구조를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함유 전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구용액을 UV 광원에 노출시켜 라디칼 중합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함유 전구용액은 증류수 또는 완충용액 중 어느 하나의 용매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5 5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광중합을 유도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에 대하여 0
6 6
제5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DMPA),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2-hydroxy-2-methylpropipphenone, HOMPP) 및 어가큐어 2959(Irgacure 295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 잔기는 티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및 아민(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L3는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아민(Amine), 티올(thiol),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치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말레이미드(maleimide),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크로톤산 또는 크로톤산 에스테르(crotonic acid or crotonic acid ester), 신남산 또는 신삼산 에스테르(cinnamic acid or cinnamic acid ester), 스티렌(styrene) 또는 그 유도체, 부타디엔(butadiene), 비닐 에테르(vinyl ether), 비닐 케톤(vinyl ketone), 말레산 에스테르(maleic acid ester)로부터 유도된 비닐 및 활성화 비닐, 카르본산, 아세탈 또는 헤미 아세탈, 디설파이드(disulfide), 아미날 또는 헤미 아미날, 환상 카보네이트, 락톤, 치오락톤 또는 아조 락톤,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L1은 하이드록실(Hydroxyl), -COOH, -CHO, -N3, -NH2, -SH, -CONH2, -PO3H, -PO4H, -SO3H, -SO4H, -OH, -술포네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포네이트, -숙신이미딜기, -말레이미드기, 또는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5-아지도니트로벤조일옥시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5-azidonitrobenzoyloxy N-hydroxysuccinimid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젤의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는 PEG 하이드로젤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UV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12 1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로 표면 개질된 PEG 하이드로젤: [화학식 2] -L1-L2-L3 상기 식에서
13 13
제12항에 있어서, 단백질 잔기는 티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및 아민(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
14 14
제12항에 있어서, L3는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아민(Amine), 티올(thiol),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치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말레이미드(maleimide),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크로톤산 또는 크로톤산 에스테르(crotonic acid or crotonic acid ester), 신남산 또는 신삼산 에스테르(cinnamic acid or cinnamic acid ester), 스티렌(styrene) 또는 그 유도체, 부타디엔(butadiene), 비닐 에테르(vinyl ether), 비닐 케톤(vinyl ketone), 말레산 에스테르(maleic acid ester)로부터 유도된 비닐 및 활성화 비닐, 카르본산, 아세탈 또는 헤미 아세탈, 디설파이드(disulfide), 아미날 또는 헤미 아미날, 환상 카보네이트, 락톤, 치오락톤 또는 아조 락톤,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
15 15
제12항에 있어서, L1은 하이드록실(Hydroxyl), -COOH, -CHO, -N3, -NH2, -SH, -CONH2, -PO3H, -PO4H, -SO3H, -SO4H, -OH, -술포네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포네이트, -숙신이미딜기, -말레이미드기, 또는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
16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로젤과 효소의 공유결합을 유도하여 효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상에 효소를 고정하는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효소는 글루코우즈 옥시다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상에 효소를 고정하는 방법
18 18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배열된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바이오 칩
19 19
기판상에 몰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에 폴리에틸렌글리콜 함유 전구용액을 주입하고, UV 광원에 노출시켜 라디칼 중합을 유도하여 기판상에 PEG 하이드로젤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배열된 PEG 하이드로젤을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표면 개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바이오 칩의 제조방법: [화학식 1] L1-L2-L3 상기 식에서
20 20
제19항에 있어서, L3는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아민(Amine), 티올(thiol),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치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말레이미드(maleimide),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크로톤산 또는 크로톤산 에스테르(crotonic acid or crotonic acid ester), 신남산 또는 신삼산 에스테르(cinnamic acid or cinnamic acid ester), 스티렌(styrene) 또는 그 유도체, 부타디엔(butadiene), 비닐 에테르(vinyl ether), 비닐 케톤(vinyl ketone), 말레산 에스테르(maleic acid ester)로부터 유도된 비닐 및 활성화 비닐, 카르본산, 아세탈 또는 헤미 아세탈, 디설파이드(disulfide), 아미날 또는 헤미 아미날, 환상 카보네이트, 락톤, 치오락톤 또는 아조 락톤,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바이오 칩의 제조방법
21 21
제19항에 있어서, L1은 하이드록실(Hydroxyl), -COOH, -CHO, -N3, -NH2, -SH, -CONH2, -PO3H, -PO4H, -SO3H, -SO4H, -OH, -술포네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포네이트, -숙신이미딜기, -말레이미드기, 또는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바이오 칩의 제조방법
22 22
제19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5-아지도니트로벤조일옥시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5-azidonitrobenzoyloxy N-hydroxysuccinimid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바이오 칩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기부(한국과학재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연구센터(SRCERC) ERC/패턴집적형능동폴리머소재센터/3-2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