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5125577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80℃ 이하인 생체 내 분해가 가능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표면에 형성되고,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해 열을 발생할 수 있는 금속 성분을 함유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는 표적세포의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한 세포 신호의 차단 및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광열 치료 작용을 통해 두 가지 방식의 치료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치료 효과를 나타낸 후 분해됨으로써 생체 내에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해됨으로써 목적 부위에서 코어부에 탑재된 약물이 방출되어 특정부위에서 약효를 발현할 수 있는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노복합체, 유리전이온도, 나노입자, 코팅층, 광열 치료
Int. CL A61K 47/02 (2006.01) A61P 35/00 (2006.01) A61K 9/16 (2006.01) A61K 47/18 (2006.01)
CPC A61K 9/167(2013.01) A61K 9/167(2013.01) A61K 9/16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085879 (2009.09.11)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1-0027998 (2011.03.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09.11)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함승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2 허용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3 서진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4 양재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5 이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6 강진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7 박요셉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09.11 수리 (Accepted) 1-1-2009-0560665-34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1.06.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333548-37
3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1.09.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511133-24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12.15 수리 (Accepted) 4-1-2011-5252006-1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4.24 수리 (Accepted) 4-1-2013-5062749-37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6.24 수리 (Accepted) 4-1-2013-5088566-8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9.25 수리 (Accepted) 4-1-2014-5114224-7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표면에 형성되고, 전자기파 조사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금속 성분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2 2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는 80℃ 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나노복합체
3 3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는 60℃ 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나노복합체
4 4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는 유기성 표면안정제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5 5
제4항에 있어서 유기성 표면안정제의 분자량이 100 이상 2,000 이하인 나노복합체
6 6
제4항에 있어서 유기성 표면안정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나노복합체
7 7
제4항에 있어서 유기성 표면안정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alkyl trimethylammonium halide);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트리알킬포스핀, 트리알킬포스핀 옥시드, 알킬 아민, 알킬 티올, 소듐 알킬 설페이트, 소듐 알킬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모노올레이트, 옥틸페닐-폴리에틸렌 글리콜, 노일(nonyl)페닐-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도데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t-옥틸페닐 에테르; 소디움 콜레이트(cholate) 하이드레이트; N,N-비스[3-(D-글루코나미도)프로필]데옥시콜아마이드(deoxycholamide), N,N-비스[3-(D-글루코나미도)프로필]콜아마이드(cholamide); 사이클로헥실메틸 베타-D-말토사이드(maltoside), 2-시클로헥실메틸 베타-D-말토사이드(maltoside), 5-시클로헥실펜틸 베타-D-말토사이드(maltoside), 6-시클로헥실펜틸 베타-D-말토사이드(maltoside), 데실-베타-D-말토사이드(maltoside), 라우릴-베타-D-말토사이드, 세틸-베타-D-말토사이드, 언데실-베타-D-말토사이드; 데실-베타-D-1-티오말토피라노사이드(maltopyranoside), 옥틸 베타-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데실-베타-D-1-티오글루코피라노사이드, 옥틸 베타-D-1-티오글루코피라노사이드, 옥틸 글루코사이드; 디기토닌; 디메틸데실포스파젠 옥사이드; N-옥타노일-N-메틸글루카민, N-노나노일-N-메틸글루카민, N-도카노일-N-메틸글루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나노복합체
8 8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는 직경이 1 nm 내지 500 nm인 나노복합체
9 9
제1항에 있어서 코어의 표면은 아민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기를 갖는 나노복합체
10 10
제1항에 있어서 코팅층은 두께가 5 내지 30 nm인 나노복합체
11 11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성분이 금, 백금, 은, 구리, 티탄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체
12 12
제1항에 있어서 전자기파는 파장이 700 nm 내지 1,000 nm인 나노복합체
13 13
제1항에 있어서, 코팅층은 표적지향성 물질이 추가로 결합되어 있는 나노복합체
14 14
제1항에 있어서, 평균 크기가 1 nm 내지 500 nm인 나노복합체
15 15
제1항에 있어서 평균 크기가 1 nm 내지 100 nm인 나노복합체
16 16
제1항에 있어서 코팅층 표면에 추가로 표적지향성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17 17
제16항에 있어서 표적지향성 물질은 항원, 항체, RNA, DNA, 합텐, 아비딘, 스트렙타비딘, 뉴트라비딘, 프로테인 A, 프로테인 G, 렉틴, 셀렉틴, 방사선 동위원소 표지 물질, 앱타머 및 종양 마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체
18 18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전자기파 조사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금속입자를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입자를 매개로 나노입자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금속입자를 도입하는 단계는 i)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ii) 관능기가 도입된 생분해성 나노입자와 금속입자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20 20
제18항에 있어서, 코팅층 형성 단계는 iii) 금속입자가 도입된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입자 및 코팅용액을 용매에서 혼합하는 단계; 및 iv) 상기 금속을 환원시켜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21 21
제18항에 있어서, 코팅층이 형성된 나노입자를 표적지향성 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22 22
제1항의 나노복합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이 요구되는 세포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23 23
제22항에 있어서 세포질환은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결장암, 대장암, 직장암, 혈액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도형연구중심병원 뇌심혈관질환 융합 연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