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무고통 및 무패치의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 기술번호 : KST201512675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무고통 및 무패치의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및 마이크로구조체 슈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초 미만의 시간으로 마이크로구조체를 피부 내로 투입시킬 수 있고, 마이크로구조체의 분해를 기다리고 패치를 제거하는 불편함이 완벽하게 극복된다. 패치 방식의 종래기술은 체모가 있는 부위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극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마이크로구조체의 피부 내 투과 깊이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t. CL A61K 9/70 (2006.01) A61M 37/00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40073470 (2014.06.17)
출원인 주식회사 주빅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4-0147040 (2014.12.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30069102   |   2013.06.17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180005758;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4.27)
심사청구항수 4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주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형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
2 라샤얀 이란 서울시특별시 마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주빅 서울특별시 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6.17 수리 (Accepted) 1-1-2014-0563656-11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9.25 수리 (Accepted) 4-1-2014-5114224-78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6.04.27 수리 (Accepted) 1-1-2016-0405481-25
4 [출원인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Change of Applicant]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16.07.05 수리 (Accepted) 1-1-2016-0650559-78
5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07.07 수리 (Accepted) 1-1-2016-5028982-38
6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07.11 수리 (Accepted) 1-1-2016-0665762-81
7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6.11.15 수리 (Accepted) 1-1-2016-1114621-18
8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1.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9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3.13 수리 (Accepted) 9-1-2017-0007490-00
10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6.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403359-08
11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8.09 수리 (Accepted) 1-1-2017-0768634-17
1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8.0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768635-63
1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1.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31910-28
14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1.16 수리 (Accepted) 1-1-2018-0053981-10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6.20 수리 (Accepted) 4-1-2018-5113963-60
16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01.14 수리 (Accepted) 1-1-2020-0040764-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음을 포함하는 슈팅(shooting) 마이크로구조체: (a) 마이크로구조체를 지지하며 동공(hole)이 형성되어 있는 주층(main layer); 및 (b) 상기 주층의 동공의 인접면(immediately adjacent plane)에 의해 지지를 받아 상기 주층 상에(on the main layer)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구조체
2 2
다음을 포함하는 슈팅(shooting) 마이크로구조체:(a) 마이크로구조체를 지지하며 동공(hole)이 형성되어 있는 주층(main layer); (b) 상기 주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형성(fabrication)이 이루어지는 기저층(base layer); 및 (c) 상기 기저층 상에(on the base layer)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구조체
3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은 동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구조체는 상기 기저층의 동공의 인접면(immediately adjacent plane)에 의해 지지를 받아 상기 기저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4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는 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층(protection layer)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의 동공은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하단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외연을 둘러싸 상기 마이크로구조체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구조체는 상기 주층의 동공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하단부에 전달되는 배출력(pushing pressure)에 의해 상기 주층으로부터 분리되어 슈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층의 동공은 복수의 동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7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층의 동공 및 상기 기저층의 동공은 복수의 동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8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층 동공 및 기저층 동공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9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층 동공은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하단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0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층 동공은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하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1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층 동공은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하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2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저층 동공은 상기 주층 동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3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저층 동공은 상기 복수의 주층 동공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4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저층 동공은 상기 복수의 주층 동공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5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기저층의 부위는 기저층의 다른 부위보다 보다 약한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6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는 상기 주층의 인접면(immediately adjacent plane)에 위치하는 이동성 필러(movable pilla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는 배출력에 의해 상기 동공을 통하여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17 17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슈팅 마이크로구조체를 수용하는 상단부(top part); 및 (b) 배출력(pushing force)을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에 형성된 동공으로 전달하며 상기 동공과 연통(openly connected) 가능한 몸통부(body part)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 슈팅(shooting) 디바이스
18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몸통부(body part) 내부에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에 형성된 동공과 연통(openly connected)된 배출력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구조체 슈팅 디바이스
19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배출력 채널에 배출력을 인가하는 배출력 발생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0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몸통부 내에 위치하는 이동성 필러(movable pilla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는 상기 배출력에 의해 상기 동공을 통하여 상기 상단부보다 더 높은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1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필러는 동공을 갖는 동공형(hollow type)이고 상기 동공을 통하여 상기 배출력이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의 하단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2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몸통부 내에 장착가능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의 배출 높이를 조절하는 스페이서(spacer)(407)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성 필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얼라이너(aligner)(408)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4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력은 물리적 압력(physical pressure) 또는 화학적 압력(chemical press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상단부 상에(on the top pa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슈팅 마이크로구조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6 26
제 1 항의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의 주층(main layer)에 형성된 동공(hole)에 대하여 배출력(pushing force)을 전달하여, 상기 주층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구조체가 배출력에 의해 상기 주층으로부터 분리되어 슈팅되도록 하는 마이크로구조체 슈팅(shooting)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a) 상기 동공과 연통(openly connected)외어 있는 중공형 몸체; (b) 상기 중공형 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에 배출력을 인가하는 배출력 발생수단; (c) 상기 중공형 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력에 의해 상기 동공을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이동성 필러(movable pill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구조체 슈팅(shooting) 디바이스
27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층의 동공은 복수의(plural) 동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8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력은 물리적 압력(physical pressure) 또는 화학적 압력(chemical press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9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의 배출 높이를 조절하는 스페이서(spac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0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얼라이너(align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1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 가능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슈팅 마이크로구조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2 32
다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 슈팅(shooting) 디바이스:(a) 하기 (ⅰ) 또는 (ⅱ)의 구성을 포함하는 슈팅(shooting) 마이크로구조체로서, (ⅰ) (ⅰ-1) 마이크로구조체를 지지하며 동공(hole)이 형성되어 있는 주층(main layer), 및 (ⅰ-2) 상기 주층의 동공의 인접면(immediately adjacent plane)에 의해 지지를 받아 상기 주층 상에(on the main layer)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구조체를 포함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또는 (ⅱ) (ⅱ-1) 마이크로구조체를 지지하며 동공(hole)이 형성되어 있는 주층(main layer), (ⅱ-2) 상기 주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형성(fabrication)이 이루어지는 기저층(base layer), 및 (ⅱ-3) 상기 기저층 상에(on the base layer)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구조체를 포함하는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및(b)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의 주층 또는 기저층에 형성된 동공에 대하여 배출력(pushing force)을 전달하는 본체(body part)
33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층 또는 기저층의 동공은 복수의(plural) 동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4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동공과 연통(openly connected)된 배출력 전달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5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력은 물리적 압력(physical pressure) 또는 화학적 압력(chemical press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6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배출력을 인가하는 배출력 발생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7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성 필러(movable pilla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는 상기 배출력에 의해 상기 동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8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 내부 또는 외부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의 배출 높이를 조절하는 스페이서(spac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9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 내부 또는 외부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이동성 필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얼라이너(align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0 40
제 32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상기 슈팅 마이크로구조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차단막(sealer)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5492064 CN 중국 FAMILY
2 EP03040100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3 KR101830398 KR 대한민국 FAMILY
4 US10737081 US 미국 FAMILY
5 US20160361527 US 미국 FAMILY
6 WO2014204176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5492064 CN 중국 DOCDBFAMILY
2 CN105492064 CN 중국 DOCDBFAMILY
3 EP304010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4 EP3040100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5 KR101830398 KR 대한민국 DOCDBFAMILY
6 KR20180011826 KR 대한민국 DOCDBFAMILY
7 US10737081 US 미국 DOCDBFAMILY
8 US2016361527 US 미국 DOCDBFAMILY
9 WO2014204176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중소벤처기업부 주식회사 주빅 혁신형기업기술개발 탈모치료용 의약품 마이크로니들 두피약물전달 시스템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