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전해질막을채용한 연료전지

  • 기술번호 : KST201513144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전해질막을 채용한 연료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단량체로서 데카플루오로 비페닐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또는 4,4′-이소프로필리덴 디페놀을 포함하며, 주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산성 전도성 고분자; 및 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의 술폰산기와 애시드/베이스 가교결합할 수 있는 폴리비닐이미다졸 300∼4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50℃ 이상의 고온 및 무 가습 조건에서도 이온전도도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연료전지가 안정하게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촉매의 피독현상을 방지하여 연료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고온에서 작동가능하므로 반응 속도가 빨라져서 더 효율적인 반응이 이루어지고, 연료의 효율이 증가하며 가습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압 또한 불필요하고 따라서 연료전지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고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Int. CL H01M 8/10 (2010.01) H01M 8/02 (2010.01)
CPC H01M 8/1039(2013.01) H01M 8/1039(2013.01) H01M 8/1039(2013.01) H01M 8/1039(2013.01) H01M 8/1039(2013.01) H01M 8/1039(2013.01) H01M 8/1039(2013.01) H01M 8/1039(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70141874 (2007.12.31)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0928293-0000 (2009.11.17)
공개번호/일자 10-2009-0073815 (2009.07.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91125)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7.12.31)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 건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2 김지영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3 최다혜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4 이종원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5 권오덕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현종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 *층 특허법인충현 (신당동, 두지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7.12.31 수리 (Accepted) 1-1-2007-0951910-17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8.03.05 수리 (Accepted) 4-1-2008-5034712-96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8.10.0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8.11.11 수리 (Accepted) 9-1-2008-0070750-21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06.09 수리 (Accepted) 4-1-2009-5111177-32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9.10.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9-0439341-98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0.08.12 수리 (Accepted) 4-1-2010-5149278-93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11 수리 (Accepted) 4-1-2014-5018243-16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4.22 수리 (Accepted) 4-1-2014-5049934-6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단량체로서 데카플루오로 비페닐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또는 4,4′-이소프로필리덴 디페놀을 포함하며, 주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산성 전도성 고분자; 및 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의 술폰산기와 애시드/베이스 가교결합할 수 있는 폴리비닐이미다졸 300∼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인산으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의 수평균분자량이 5,000∼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의 당량무게는 250∼2,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은 10∼20㎛의 두께, 1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막과 폴리비닐이미다졸의 블렌드/상기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상기 산성 전도성 고분자막과 폴리비닐이미다졸의 블렌드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7 7
(a) 데카플루오로비페닐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또는 4,4′-이소프로필리덴 디페놀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포타슘 카보네이트(K2CO3)를 첨가한 후 교반하며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용액을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 수용액에 부어 고분자를 침전시키는 단계; (c) 상기에서 얻어진 고분자를 비양성자성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강산기 부여제를 적가하며 술폰화하는 단계; (d) 상기에서 얻은 술폰화된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이미다졸 300∼400 중량부와 중합개시제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드는 단계; 및 (e) 상기 슬러리를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에 핫프레스하여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8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인산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9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양성자성 유기용매는 클로로포름 또는 1,1,2,2-테트라클로로에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0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산기 부여제는 클로로술폰산(chlorosulfonic acid), 아세틸술포네이트(acetyl sulfonate) 또는 발연황산(fuming H2S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1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의 표면에 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슬러리를 핫프레스하여 3층 구조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2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채용한 연료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