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간세포를 배양한 조건배지를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513215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간세포를 배양한 조건배지를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조건배지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간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들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단백질 중 다수의 단백질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손상된 간의 회복에 관여하는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어 간질환 개선 및 치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간질환 치료 목적으로 세포를 이식하지 않고도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유도 분화한 간세포 유래 물질을 전달하여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t. CL A61K 35/12 (2006.01) A61P 1/16 (2006.01) A61K 38/28 (2006.01)
CPC A61K 35/545(2013.01) A61K 35/545(2013.01) A61K 35/545(2013.01) A61K 35/54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00064540 (2010.07.05)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263760-0000 (2013.05.07)
공개번호/일자 10-2012-0003760 (2012.01.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051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0.07.05)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2 우동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문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 ***호 제니스국제특허법률사무소 (봉천동, 청동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 넥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07.05 수리 (Accepted) 1-1-2010-0434181-95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0.07.13 수리 (Accepted) 1-1-2010-0450667-4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0.08.12 수리 (Accepted) 4-1-2010-5149278-93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03.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151672-12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05.1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382395-74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05.14 수리 (Accepted) 1-1-2012-0382359-30
7 최후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2012.10.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647450-27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12.14 수리 (Accepted) 1-1-2012-1042362-16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12.14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1042361-71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4.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289183-78
11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3.06.03 수리 (Accepted) 1-1-2013-0493600-55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11 수리 (Accepted) 4-1-2014-5018243-16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4.22 수리 (Accepted) 4-1-2014-5049934-62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하기의 간세포 분화 제제에 의해 유도 분화시키고, 상기 유도 분화된 세포를 인도시아닌그린(indocyanine green, ICG) 염색 후 마이크로디섹션 앤 프레슈어 캐타퓰레이팅(laser microdissection and pressure catapulating, LMPC) 방법으로 ICG+ 간세포 집단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ICG+ 간세포 집단을 동물세포 배지에서 1-3일간 배양하고, 상기 배양물을 원심분리하여 세포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는 조건배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상기 간세포 분화 제제는 표피 성장 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인슐린, 형질전환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α, TGF-β,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헤파린, 간세포 성장 인자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온코스타틴 엠(oncostatin M, OSM), 인터류킨 (interleukin, IL)-1, IL-6,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Ⅰ, IGF-Ⅱ, 헤파린-결합 성장 인자 (heparin-binding growth factor, HBGF)-1, 글루카곤 (glucagon), 덱사메타존 (dexamethazone) 및 그 유도체, 프레드니손 (prednisone), 메틸프레드니손 (methylprednisone), 히드로코르티손 (hydrocortisone),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및 그 유도체,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imethylacetamide, DMA), 및 헥사메틸렌 비스아세트아미드(hexamethylene bisacetamide, HMB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배지는 하기의 단백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보체 3 (complement component 3), 갈렉틴 3 결합 단백질 (galectin 3 binding protein), 보체 1 (complement component 1), 제 3형 콜라겐 알파 1 (collagen type III alpha 1), 제 1형 콜라겐 알파 2 (alpha 2 type I collagen),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 2 (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 2), 보체 1 억제제 (complement component 1 inhibitor), 젤솔린 (gelsolin), 인지질 운송 단백질 (phospholipid transfer protein), 니도젠 2 (nidogen 2), 프로스글랜딘 H2 D-아이소머라아제 (prostaglandin H2 D-isomerase),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 2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2), 세르핀 펩티다아제 억제제 클레이드 A 멤버 3 (serpin peptidase inhibitor, clade A, member 3), 메탈로프로티나아제 1의 조직 억제제-1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TIMP-1), 오토탁신 아이소형 2 (autotaxin isoform 2), 퍼록시다신 (peroxidasin) , 제 18형 콜라겐 알파 1 (alpha 1 type XVIII collagen), 제 11형 콜라겐 알파 1 (alpha 1 type XI collagen), 제 5형 콜라겐 알파 2 (alpha 2 type V collagen), 치티나아제 3 유사 단백질 1 (chitinase 3-like 1), 피불린 5 (fibulin 5), 보체 요소 B (complement factor B), 폐 계면활성제 관련 단백질 D (pulmonary surfactant-associated protein D), 비트로넥틴 (vitronectin), 퀴신 Q6 설프하이드릴 산화효소 1 (quiescin Q6 sulfhydryl oxidase 1), 만노시다아제 베타 A (mannosidase, beta A), 네프로넥틴 (nephronectin), 제 6형 콜라겐 알파 1 (collagen, type VI, alpha 1),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티나아제 억제제 클래이드 F 멤버 1 (serine (or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lade F, member 1), 서열 유사성를 갖는 패밀리 3 (family with sequence similarity 3, FAM3), 라이실 산화효소 (lysyl oxidase), 데코린 (decorin), 슬릿 유사단백질 2 (slit-like 2), 피불린 1 아이소형 A (fibulin 1 isoform A), 유지방구-EGF 인자 8 단백질 (milk fat globule-EGF factor 8 protein), 폴리펩티드 N-아세틸갈락토사미닐트랜스퍼라아제 2 (polypeptide N-acetylgalactosaminyltransferase 2), 성장 정지-특이 단백질 6 (growth arrest-specific 6), 제 4형 콜라겐 알파 1 (alpha 1 type IV collagen), 라미닌 알파 2 (laminin alpha 2), 데스모글레인 2 (desmoglein 2), 미세섬유 연관 단백질 4 (microfibrillar-associated protein 4), 엘라스틴 미세섬유 인터페이서 1 (elastin microfibril interfacer 1), 제 6형 콜라겐 알파 2 아이소형 2C2a (alpha 2 type VI collagen isoform 2C2a), 매트릴린 2 (matrilin 2), 아폴리포단백질 A-I (apolipoprotein A-I), 인텔렉틴 (intelectin), TIMP 메탈로펩티다아제 억제제 2 (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2), 라미닌 베타 2 (laminin, beta 2), 루미칸 (lumican), 폴리돔 (polydom), 폴리스타틴 유사 단백질 1 (follistatin-like 1), 헥소스아미니다아제 A (hexosaminidase A), 제 5형 콜라겐 알파 1 (alpha 1 type V collagen), 감마-글루타밀 하이드로라아제 (gamma-glutamyl hydrolase), 피불린 1 아이소형 C (fibulin 1 isoform C), 피불린 1 아이소형 D (fibulin 1 isoform D),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티나아제 억제제 클레이드 B 멤버 9 (serine (or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lade B, member 9), 형질전환 성장인지 베타 수용체 III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receptor III), 글루타치온 트랜스퍼라아제 (glutathione transferase), L-락태이트 디 하이드로제나아제 B (L-lactate dehydrogenase B), 프로필린 1 (profilin 1), 클러스터린 (clusterin), 헥소스아미니다아제 B (hexosaminidase B), RPE-스폰딘 (RPE-spondin), 카텝신 H (cathepsin H), 칼신테닌 2 (calsyntenin 2), 트랜스싸이레틴 (transthyretin), 부고환 분비 단백질 E1 (epididymal secretory protein E1),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아제 뮤테이션 3 (glutathione S-transferase mu 3), 제 14형 콜라겐 알파 1 (collagen, type XIV, alpha 1), 칼신테닌 1 (calsyntenin 1), 디코프 상동체 3 (dickkopf homolog 3), 제 6형 콜라겐 알파 2 아이소형 2C2 (alpha 2 type VI collagen isoform 2C2),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 2 아이소형 a (matrix metalloproteinase 2 isoform a), 분비단백질 SPARC (secreted protein, acidic, cysteine-rich), 햅토클로빈 (haptoglobin), ADP-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3 (ADP-ribosyltransferase 3), 이즈린 (ezrin), 및 시스타틴 C (cystatin C)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배지는 하기의 단백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보체 3 (complement component 3), 갈렉틴 3 결합 단백질 (galectin 3 binding protein),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 2 (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 2), 니도젠 2 (nidogen 2), 메탈로프로티나아제 1의 조직 억제제 1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TIMP1), 오토탁신 아이소형 2 (autotaxin isoform 2), 비트로넥틴 (vitronectin), 퀴신 Q6 설프하이드릴 산화효소 1 (quiescin Q6 sulfhydryl oxidase 1),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티나아제 억제제 클래이드 F 멤버 1 (serine (or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lade F, member 1), 매트릴린 2 (matrilin 2), 아폴리포단백질 A-I (apolipoprotein A-I), 폴리스타틴 유사 단백질 1 (follistatin-like 1), 프로필린 1 (profilin 1), 퍼록시다신 (peroxidasin), 제 18형 콜라겐 알파 1 (alpha 1 type XVIII collagen), 제 5형 콜라겐 알파 2 (alpha 2 type V collagen), 치티나아제 3 유사 단백질 1 (chitinase3-like 1), 피불린 5 (fibulin 5), 네프로넥틴 (nephronectin), 데코린 (decorin), 피불린 1 아이소형 A (fibulin 1 isoform A), 제 6형 콜라겐 알파 2 (alpha 2 type VI collagen), 루미칸 (lumican), 폴리돔 (polydom), 피불린 1 아이소형 C (fibulin 1 isoform C), 피불린 1 아이소형 D (fibulin 1 isoform D),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티나아제 억제제 클래이드 B 맴버 9 ((serin (or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lade B, member 9)), 클러스테린 (clusterin), 분비단백질 SPARC (secreted protein, acidic, cysteine-rich, SPARC), 시스타틴 C (cystatin C), 젤솔린 (gelsolin), 성장 정지-특이 단백질 6 (growth arrest-specific 6), 및 디코프 상동체 3 (dickkopf homolog 3)
4 4
삭제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세포 배지는 DMEM/F12, 인슐린, 트랜스페린 및 셀레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배지는 5×105 내지 1×106 세포 당 1 ml의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원천기술개발사업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로부터 고 기능성 간세포로의 대량 분화유도 원천기술 개발 및 조직 재생인자 발굴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원천기술개발사업 줄기세포의 3-D 스페로이드 분화기법을 이용한 독성평가용 간세포 생사 및 공급체계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