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플렉서블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3690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플렉서블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수소 유동 채널이 형성된, 고분자 소재의 애노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상에 증착된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를 포함하는 애노드와 공기 유동 채널이 형성된, 고분자 소재의 캐소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상에 증착된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를 포함하는 캐소드 및 표면에 촉매층이 부착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조립체(MEA)로서, 상기 막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한 면에 가스 확산층(GDL)이 구비된 막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소재는 접착성 고분자와 경화제가 4 : 1 내지 6 : 1의 비로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막전극 조립체는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되어 압착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막전극 조립체, 애노드 및 캐소드의 말단을 구부려서 인장 응력이 가해진 상태 또는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 CL H01M 8/02 (2016.01.01) H01M 4/8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40017387 (2014.02.14)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5-0096219 (2015.08.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02.14)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익황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북구
2 이진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박태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4 차석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5 고승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2.14 수리 (Accepted) 1-1-2014-0147664-29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4.02.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4-0033468-85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02.27 수리 (Accepted) 1-1-2014-0193475-19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4.12.3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5.02.10 수리 (Accepted) 9-1-2015-0011760-03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3.17 수리 (Accepted) 4-1-2015-5033829-92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5.13 수리 (Accepted) 4-1-2015-5062924-01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6.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412426-01
9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5.09.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630279-3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13 수리 (Accepted) 4-1-2019-5093546-10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23 수리 (Accepted) 4-1-2019-5101798-31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2 수리 (Accepted) 4-1-2019-5154561-5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수소 유동 채널이 형성된, 고분자 소재의 애노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상에 증착된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를 포함하는 애노드;(b) 공기 유동 채널이 형성된, 고분자 소재의 캐소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상에 증착된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를 포함하는 캐소드; 및(c) 표면에 촉매층이 부착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조립체(MEA)로서, 상기 막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한 면에 가스 확산층(GDL)이 구비된 막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상기 고분자 소재는 접착성 고분자와 경화제가 4 : 1 내지 6 : 1의 비로 혼합되어 있으며,상기 막전극 조립체는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되어 압착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막전극 조립체, 애노드 및 캐소드의 말단을 구부려서 인장 응력이 가해진 상태 또는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고분자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는 상기 구조체 상에 제1 전도층 및 제2 전도층이 차례대로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증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상기 제1 전도층 및 제2 전도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니켈(Ni), 금(Au), 은(Ag), 백금(Pt), 크롬(Cr), 철(Fe), 망간(Mn), 구리(Cu), 알루미늄(Al), 티타늄(Ti), 란타넘(La), 마그네슘(Mg), 몰리브데넘(Mo), 아연(Zn), 납(Pb), 주석(Sn) 및 텅스텐(W)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 또는 그 금속 산화물이거나; 탄소 나노 튜브 또는 그래핀인 전도성 탄소 구조체이거나; 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PEDOT:TMA) 중에서 선택되는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층의 두께는 10 내지 5,000 ㎚이고, 상기 제2 전도층의 두께는 10 내지 5,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는 10 내지 250 메쉬 크기를 갖는 금속 메쉬(mesh)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은 니켈(Ni), 금(Au), 은(Ag), 백금(Pt), 크롬(Cr), 철(Fe), 망간(Mn), 구리(Cu), 알루미늄(Al), 티타늄(Ti), 란타넘(La), 마그네슘(Mg), 몰리브데넘(Mo), 아연(Zn), 납(Pb), 주석(Sn) 및 텅스텐(W)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금속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는 금속 호일(foil)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은 니켈(Ni), 금(Au), 은(Ag), 백금(Pt), 크롬(Cr), 철(Fe), 망간(Mn), 구리(Cu), 알루미늄(Al), 티타늄(Ti), 란타넘(La), 마그네슘(Mg), 몰리브데넘(Mo), 아연(Zn), 납(Pb), 주석(Sn) 및 텅스텐(W)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금속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
7 7
(a) 스테인리스 강 기판을 주형으로 하고, 상기 기판에 고분자 소재를 코팅한 후, 리프트-오프(lift-off)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을 제거하여 애노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캐소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애노드용 구조체 및 캐소드용 구조체 각각에 스퍼터링 방법, 열 증발법(Thermal Evaporation), 화학적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무전해도금법(Electroless Plating)으로 제1 전도층, 제2 전도층을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단계; 및(c) 상기 애노드용 구조체와 캐소드용 구조체 사이에 막전극 조립체(MEA)를 개재시켜서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막전극 조립체, 애노드 및 캐소드의 말단을 구부려서 인장 응력이 가해진 상태 또는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공정 대신에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또는 압출성형(Extrusion Moding) 공정으로 애노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캐소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애노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에 수소 유동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캐소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에 상기 수소 유동 채널에 대응하며, 직사각형 형태로 관통되는 구멍 형태의 공기 유동 채널이 형성되도록 애노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캐소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애노드용 구조체 및 캐소드용 구조체를 각각 에탄올 용액에서 초음파 처리하고, 구조체의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11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고분자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12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층 및 제2 전도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니켈(Ni), 금(Au), 은(Ag), 백금(Pt), 크롬(Cr), 철(Fe), 망간(Mn), 구리(Cu), 알루미늄(Al), 티타늄(Ti), 란타넘(La), 마그네슘(Mg), 몰리브데넘(Mo), 아연(Zn), 납(Pb), 주석(Sn) 및 텅스텐(W)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 또는 그 금속 산화물이거나; 탄소 나노 튜브 또는 그래핀인 전도성 탄소 구조체이거나; 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PEDOT:TMA) 중에서 선택되는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13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전극 조립체는 표면에 촉매층이 밀접하게 부착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막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한 면에는 가스 확산층(GDL)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50236366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5236366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서울대학교 글로벌 프런티어 연구개발사업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