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불포화 금속자리를 갖는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또는메조세공체의 표면 기능화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3874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높은 표면적을 갖는 나노세공체, 특히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porous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또는 MOFs) 또는 다공성 유-무기 메조세공체 등의 불포화 배위자리(coordinatively unsaturated metal site)에 선택적으로 유-무기 물질을 기능화시켜, 흡착제, 기체 저장체, 센서, 멤브레인, 기능성 박막, 촉매 및 촉매 담체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또는 다공성 유-무기 메조세공체의 표면 기능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표면개질, 유-무기 혼성체, 나노세공체, 메조세공체, 기능화, 불포화 금속자리
Int. CL B82B 3/00 (2011.01) B01J 31/00 (2011.01)
CPC B01J 31/02(2013.01) B01J 31/02(2013.01) B01J 31/02(2013.01) B01J 31/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60091237 (2006.09.20)
출원인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0816538-0000 (2008.03.18)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080325)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6.09.20)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종산 대한민국 대전 중구
2 황영규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3 정성화 대한민국 대전 서구
4 홍도영 대한민국 경기 용인시 처인구
5 김덕규 대한민국 충남 천안시
6 제라드 페레이 프랑스 인스티튜트 라브와자에 유브이에스큐 *,비
7 크리스찬 세레 프랑스 인스티튜트 라브와자에 유브이에스큐 *,비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창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2 권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6.09.20 수리 (Accepted) 1-1-2006-0679525-0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7.06.0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7.07.12 수리 (Accepted) 9-1-2007-0040637-98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7.08.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7-0460246-72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07.10.24 수리 (Accepted) 1-1-2007-0760182-50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07.10.2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07-0760223-34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8.02.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8-0102731-42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8.04.16 수리 (Accepted) 4-1-2008-5059312-66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8.05.14 수리 (Accepted) 4-1-2008-5074743-27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8.12.24 수리 (Accepted) 4-1-2008-5208083-56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42-13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65-5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불포화 금속 자리를 갖는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를 실란, 유기금속화합물 또는 폴리옥소메탈에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는 중심 금속 이온이 유기리간드와 결합하여 형성된 세공 구조의 결정성 고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실란 또는 유기금속화합물을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표면에 증착시키거나, 유기금속화합물 용액 또는 폴리옥소메탈레이트 용액에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를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는 불포화 금속 자리에 결합된 물 또는 용매성분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9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6 6
제 1항에 있어서,불포화 금속 자리를 갖는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를 유기금속화합물과 1차 반응시킨 후, 폴리옥소메탈에이트와 2차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7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는 금속 원(source),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는 유기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반응물 혼합액을 가열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8 8
제 7항에 있어서, 금속 전구체는 Ti, Zr, Hf, V, Nb, Ta, Cr, Mo, W, Mn, Re, Fe, Ru, Os,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Cd, Hg, Mg, Ca, Sr, Ba, Sc, Y, Al, Ga, In, Tl, Si, Ge, Sn, Pb, As, Sb, Bi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그 금속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9 9
제 7항에 있어서,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는 유기물은 카복실산기, 카복실산 음이온기, 아미노기(-NH2), 이미노기(), 아미드기(-CONH2), 술폰산기(-SO3H), 술폰산 음이온기(-SO3-), 메탄디티오산기(-CS2H), 메탄디티오산 음이온기(-CS2-), 피리딘기 또는 피라진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기를 갖는 화합물은 벤젠디카복실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 벤젠트리카복실산, 나프탈렌트리카복실산, 피리딘디카복실산, 비피리딜디카복실산, 포름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헥산다이오익산, 헵탄다이오익산, 또는 시클로헥실디카복실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1 11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에 귀금속, 전이금속 또는 이의 금속산화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2 12
제 1항에 있어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는 크롬테레프탈레이트, 철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바나듐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3 13
제 12항에 있어서,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는 MIL-101 또는 MIL-100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4 14
제 12항에 있어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는 MOF-500 구조의 철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5 15
제 7항에 있어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는 박막 또는 멤브레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6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또는 멤브레인 형태의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는 알루미나, 실리콘, 유리,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아연옥사이드(IZO), 내열성 폴리머 재질 또는 상기 재질로 표면 처리된 기판을 반응물 혼합액에 침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제조방법
17 17
불포화 금속 자리를 갖는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불포화 금속자리에 실란, 하기 화학식 2 내지 9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금속화합물 또는 폴리옥소메탈에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18 18
제 17항에 따른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를 이용한 산 또는 염기 반응용 촉매 조성물
19 19
제 17항에 따른 표면 기능화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를 이용한 수소화, 탈수소화, 탄소-탄소 결합반응, 또는 산소, 공기 또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산화반응용 촉매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