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및 광양극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3898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신규한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광양극 양자점감응형 태양전지에 구비되는 광양극(Photocathode)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양극 양자점감응형 태양전지는 서로 대향하는 광양극(Photocathode) 및 대향전극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electrolyte)을 포함하며, 상기 광양극은 투명 전도성 전극; 상기 전도성 전극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광양극 반도체 입자층; 및 상기 다공성 광양극 반도체 입자층에 접하여 구비된 광양극 광감응 양자점;을 포함하며, 태양광에 의해 상기 광양극 광감응 양자점에서 생성된 광전자 및 광정공 중, 광전자는 상기 전해질을 통해 상기 대향전극으로 이동하며, 광정공은 상기 광양극 반도체 입자층을 통해 상기 전도성 전극으로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양자점, 광양극 감응형 태양전지, 전해질
Int. CL H01L 31/04 (2014.01)
CPC H01G 9/2027(2013.01) H01G 9/2027(2013.01) H01G 9/2027(2013.01) H01G 9/202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132643 (2009.12.29)
출원인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068131-0000 (2011.09.21)
공개번호/일자 10-2011-0076046 (2011.07.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1092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12.29)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석상일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2 이재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창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2 권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12.29 수리 (Accepted) 1-1-2009-0811239-18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1.03.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147525-24
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1.03.21 수리 (Accepted) 1-1-2011-0204922-72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1.03.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1-0204883-89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8.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465267-19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65-52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42-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광양극(photocathode) 및 광양극에 대향하는 대향전극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electrolyte)을 포함하며, 상기 광양극은 투명 전도성 전극; 상기 전도성 전극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 및 상기 다공성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에 접하여 구비된 광감응 양자점;을 포함하며, 태양광에 의해 상기 광감응 양자점에서 생성된 광전자 및 광정공 중, 광전자는 상기 전해질을 통해 상기 대향전극으로 이동하며, 광정공은 상기 광양극 반도체 입자층을 통해 상기 전도성 전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Photocathodes) 양자점 감응형(P-type Quantum Dot-Sensitized) 태양전지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양극 반도체 입자층의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의 밴드갭 에너지는 상기 광감응 양자점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크며, 상기 광감응 양자점과 상기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의 가전자대(valance band)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광감응 양자점에서 생성된 광정공은 상기 광양극 반도체 입자층으로 자발적(spontaneous)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3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산화 환원 이온쌍(redox couple)을 포함한 산화환원 전해질이며, 표준수소전극(NHE; Normal Hydrogen Electrode)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전해질의 산화환원 전위와 상기 광감응 양자점의 전도대(conduction band)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광감응 양자점에서 생성된 광전자는 상기 산화환원 전해질로 자발적(spontaneous)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양극은 상기 전도성 전극과 상기 다공성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 사이에, 상기 다공성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의 반도체 물질과 동일한, 반도체박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은 다공성 NiO 입자층이며, 상기 광감응 양자점은 CuxS(1
6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의 산화 환원 이온쌍은 I-/I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7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양극의 전도성 전극은 FTO(Fluorine-doped Tin Oxide, SnO2: F)이며, 상기 대향전극은 Pt가 적층된 FTO(Fluorine-doped Tin Oxide, SnO2: 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8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NiO 입자층의 비표면적은 7 내지 50 m2/g이며, 상기 다공성 NiO 입자층의 두께는 0
9 9
광양극(photocathode); 대향 전극; 및 상기 광양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산화 환원 이온쌍(redox couple)을 포함한 산화환원 전해질;을 포함하는 광양극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양극의 제조방법으로, a) 투명 전도성 기판 상부에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를 함유한 슬러리를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다공성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분무열분해를 이용하여 상기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층과 접하는 광감응 양자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양극의 제조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정공전달형 반도체 입자는 NiO 입자이며, 상기 광감응 양자점은 CuxS(1
11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에 함유된 NiO 입자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50nm이며, 상기 열처리는 공기중 350 내지 4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의 제조방법
12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분무열분해에 사용되는 전구체는 Cu-킬레이트 및 황 함유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의 제조방법
13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는 [Cu(en)2]Cl2 (en; ethylenediamine) 및 싸이오유레아(thiou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의 제조방법
14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기판은 FTO(Fluorine-doped Tin Oxide, SnO2: F)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의 제조방법
15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분무열분해는 300 내지 3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양극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화학연구원 국제공동(협력)사업 나노구조 무/유기 하이브리드 소재를 이용한 고효율 태양전지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