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탄소나노튜브(CNT) 네트워크 필름을 구비하는 양극성 변형 센서

  • 기술번호 : KST201513909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유연성 기재에 탄소나노튜브(CNT) 네트워크 필름이 도입된 양극성 변형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양극성 변형 센서는 금속성 탄소나노튜브와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가 무작위하게 배열 및 연결되어 유연성 기재의 일면에 도입됨으로써, 변형의 크기 및 방향성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양극성 변형 센서는 단순하고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특정 화학물질의 유무 및 농도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화학 센서로 이용될 수도 있다.
Int. CL G01L 1/20 (2006.01) G01B 7/16 (2006.01)
CPC G01B 7/16(2013.01) G01B 7/16(2013.01) G01B 7/16(2013.01) G01B 7/16(2013.01) G01B 7/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074870 (2013.06.27)
출원인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527863-0000 (2015.06.04)
공개번호/일자 10-2015-0002972 (2015.01.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5061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6.27)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원진 대한민국 서울 은평구
2 이정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박동원 대한민국 충북 청주시 흥덕구
4 박세린 대한민국 대전 대덕구
5 양철수 대한민국 경북 경산시
6 김범수 대한민국 충북 청주시 상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특허법인한얼)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6.27 수리 (Accepted) 1-1-2013-0579383-25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3.12.19 수리 (Accepted) 1-1-2013-1167109-69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4.03.0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4.04.09 수리 (Accepted) 9-1-2014-0031038-80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4.06.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449958-99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8.29 수리 (Accepted) 1-1-2014-0827710-04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8.2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827711-49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1.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070629-39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5.02.0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0125594-51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2.05 수리 (Accepted) 1-1-2015-0125592-60
11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5.04.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285188-82
12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5.06 수리 (Accepted) 1-1-2015-0436016-00
1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5.05.06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0436017-45
1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2015.05.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323560-45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65-52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42-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유연성 기재(flexible substrate); 및 상기 유연성 기재의 일면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도입된 탄소나노튜브(CNT) 네트워크 필름을 구비하는 양극성 변형 센서로서,상기 CNT 네트워크 필름은 1 이상의 금속성 탄소나노튜브(metallic CNT)와 1 이상의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semiconducting CNT)가 무작위하게 배열 및 연결되어 있고,상기 CNT 네트워크 필름에 외력이 가해질 때 CNT 네트워크 필름 내 일부 또는 전부에서 CNT들 간의 연결되는(connect) 밀도가 변하여 CNT 네트워크 필름의 전기저항값이 변하고,상기 유연성 기재 상 동일지점에 외력이 가해질 때, CNT 네트워크 필름이 위치한 제1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와 CNT 네트워크 필름이 위치하지 아니한 제2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CNT 네트워크 필름의 전기저항값이 상이한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2 2
삭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 상 동일지점에 외력이 가해질 때, CNT 네트워크 필름의 전기저항값은 퍼콜레이션(percolation) 메커니즘에 의해 CNT 네트워크 필름이 위치한 제1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는 금속 특성을 발휘하고 CNT 네트워크 필름이 위치하지 아니한 제2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는 반도체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의 변형시, CNT 네트워크 필름의 전기저항값이 변함으로써, 유연성 기재의 변형의 크기 및 변형의 방향성을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는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편평한 기판인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는 PDMS(polydimethylsiloxa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ES(polyethersulfone), PS(polystyrene),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AR(polyarylate) 또는 이의 혼합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NT 네트워크 필름은 탄성중합체; 및 상기 탄성중합체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고,상기 탄소나노튜브는 1 이상의 금속성 탄소나노튜브와 1 이상의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가 무작위하게 배열 및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8 8
제1항에 있어서, CNT 네트워크 필름은 기재 상에 1 이상의 금속성 탄소나노튜브와 1 이상의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를 무작위하게 배열시킨 후 탄성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켜 형성된 필름인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CNT 네트워크 필름으로부터 제거가능한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10 10
제1항에 있어서, CNT 네트워크 필름 중 이격된 2지점에 각각 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11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는 PDMS(polydimethylsiloxa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ES(polyethersulfone), PS(polystyrene),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AR(polyarylate)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싱글-월(single-wall), 더블-월(double-wall) 또는 멀티-월(multi-wall)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13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CNT 네트워크 필름 내 상기 탄성중합체는 특정 화학물질을 흡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중합체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고,특정 화학물질 흡수시 CNT 네트워크 필름의 전기저항값이 변함으로써 특정 화학물질의 유무 및 농도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학물질은 탄성중합체에 흡수될 수 있으며, IPA(isopropyl alcohol), 아세톤(acetone), 톨루엔(toluene), 벤젠(benzene), 클로로폼(chloroform),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DMF(dimethylformamide)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이 특징인 양극성 변형 센서
15 15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극성 변형 센서의 제조 방법:제거가능한 기재 상에 1 이상의 금속성 탄소나노튜브(metallic CNT)와 1 이상의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semiconducting CNT)를 무작위하게 배열시키는 제1단계;선택적으로, 상기 기재 상에 탄성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제2단계; 및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로부터 형성된 CNT 네트워크 필름을 유연성 기재 상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기재는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사파이어 및 쿼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절연성 재질의 기판인 것이 특징인 제조 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표면에 옥사이드가 형성된 기재 상에 촉매를 코팅하고 탄소나노튜브를 화학 증착(CVD)하는 것이 특징인 제조 방법
18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상에 코팅된 촉매는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단백질, 금속 나노 파티클 또는 이의 조합이며,상기 금속 나노 파티클은 2 내지 10nm의 직경을 가지며, Au, Pt, Al, Cu, Fe, Mo, Co, SiO2, Al2O3, MgO, Fe2O3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이 특징인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화학연구원 기관고유사업 다기능 그래핀 소재 및 소자화 기술 개발
2 교육과학기술부 한국화학연구원 과학기술국제화사업 기능성 그래핀 소자 개발 및 응용
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화학연구원 원천기술개발사업 고해상도 소프트 패터닝 공정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