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자발적 연소 반응이 발생하는 인듐아연 산화물계 반도체 잉크 조성물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무기 반도체 박막

  • 기술번호 : KST201513955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자발적 연소 반응이 발생하는 인듐아연 산화물계 반도체 잉크 조성물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무기 반도체 박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재료인 금속 A의 질산염(nitrate)과 연료재료인 금속 B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착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A 및 금속 B는 각각 인듐, 갈륨, 아연, 티타늄, 알루미늄, 리튬 및 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이며, 금속 A와 금속 B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발적 연소 반응이 발생하는 인듐아연 산화물계 반도체 잉크 조성물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무기 반도체 박막은 트랜지스터 소자의 채널 재료로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적 성능이 향상된 무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용액공정에 적합하여 박막으로의 제조가 용이하고 저온공정이 가능하며, 연료재료와 산화재료가 배위된 두 금속 전구체를 혼합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발적인 연소반응에 의하여 조밀하고 균일한 박막을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뢰도가 우수한 무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Int. CL B05D 3/00 (2006.01) C09D 11/03 (2014.01) H01L 21/36 (2006.01)
CPC C09D 11/03(2013.01) C09D 11/03(2013.01) C09D 11/0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062582 (2015.05.04)
출원인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531606-0000 (2015.06.19)
공개번호/일자 10-2015-0065624 (2015.06.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5062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3-0149940 (2013.12.04)
관련 출원번호 1020130149940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5.05.04)
심사청구항수 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성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창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강영훈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원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성지하이츠빌딩*차 ***호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5.04 수리 (Accepted) 1-1-2015-0429766-59
2 [참고자료]정보제출서
[Reference] Written Submission of Information
2015.05.26 수리 (Accepted) 1-1-2015-0504682-16
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5.06.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388938-56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42-13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65-5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산화재료인 금속 A의 질산염(nitrate);연료재료인 금속 B의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착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A 및 금속 B가 각각 인듐 및 아연; 또는 아연 및 인듐;일 때, 아연:인듐이 1:0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잉크 조성물은 산화재료로서 금속 C의 질산염(nitrate); 또는,연료재료로서 금속 C의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착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C는 갈륨 또는 아연이며, 금속 C는 상기 금속 A 및 금속 B와 서로 상이하고, 아연:인듐:갈륨이 1:1 내지 3:0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잉크 조성물은 안정제로서 모노에탄올아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잉크 조성물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잉크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하고, 산화재료, 연료재료 및 용매의 혼합물에서 산화재료 및 연료재료의 농도는 0
5 5
제 1 항의 반도체 잉크 조성물을 기판 상부로 인쇄 또는 코팅하여 막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반도체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반도체 박막의 제조방법
6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1의 인쇄 또는 코팅은 잉크젯 프린팅, 롤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에어로졸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롤(roll) 코팅, 스핀 코팅, 바(bar) 코팅, 스프레이 코팅 및 딥(dip)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반도체 박막의 제조방법
7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열처리는 200 ℃ 내지 35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반도체 박막의 제조방법
8 8
제 5 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기판 상부에 형성된 반도체 박막
9 9
기판(게이트전극) 및 제 8 항의 반도체 박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반도체 박막 상부에 소스(source)와 드레인(drain) 전극이 적층되되, 상기 소스와 드레인 전극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박막 트랜지스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140078543 KR 대한민국 FAMILY
2 US09969896 US 미국 FAMILY
3 US20150275017 US 미국 FAMILY
4 WO201409241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화학연구원 협동연구사업 고 전하 이동도의 유기/산화물 반도체 소재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