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미생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바이오오일 추출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5360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미생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바이오오일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오일 함유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연료 및 유용물질 생산을 위해 오일 추출시 차아염소산염이나 염소이온을 함유한 이온결합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도 효율적으로 바이오 오일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본 발명의 구성은 a) 오일 함유 미생물을 포함한 배양액에 차아염소산염을 첨가하여 상기 오일 함유 미생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오일이 배출된 배양액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오일이 포함된 유기용매층과 미생물 잔해가 포함된 물층으로 상분리하는 단계; c) 상기 미생물 잔해가 포함된 물층으로부터 상기 오일이 포함된 유기용매층을 별도로 분리한 후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Int. CL C12P 7/64 (2006.01)
CPC C12P 7/64(2013.01) C12P 7/64(2013.01) C12P 7/64(2013.01) C12P 7/64(2013.01) C12P 7/6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149160 (2013.12.03)
출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494649-0000 (2015.02.12)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5022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12.03)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지연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2 오유관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3 이규복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4 이진석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5 김덕근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6 최선아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7 정민지 대한민국 대전 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영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B동 ***호 새천년 국제특허법률사무소 (가산동, 우림 라이온스밸리)
2 허조영 대한민국 충청북도 제천시 내토로**길 **(장락동, 신안실크밸리 스카이시티 오피스텔) ***호(안담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장순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B동 ***호 새천년국제특허법률사무소 (가산동, 우림 라이온스밸리)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12.03 수리 (Accepted) 1-1-2013-1106055-28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3.12.03 수리 (Accepted) 1-1-2013-1106271-84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7 수리 (Accepted) 4-1-2014-5003356-15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4.10.0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4.11.12 수리 (Accepted) 9-1-2014-0087909-88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5.02.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096781-6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3.10 수리 (Accepted) 4-1-2015-0013224-83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19 수리 (Accepted) 4-1-2017-5010650-13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1.08 수리 (Accepted) 4-1-2019-5004978-55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21 수리 (Accepted) 4-1-2019-5166801-48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21 수리 (Accepted) 4-1-2019-5166803-39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9.01 수리 (Accepted) 4-1-2020-5197654-6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오일 함유 미생물을 포함한 배양액에 차아염소산염을 첨가하여 상기 오일 함유 미생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키는 단계;b) 상기 a)단계에서 오일이 배출된 배양액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오일이 포함된 유기용매층과 미생물 잔해가 포함된 물층으로 상분리하는 단계;c) 상기 미생물 잔해가 포함된 물층으로부터 상기 오일이 포함된 유기용매층을 별도로 분리한 후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2 2
a-1) 오일 함유 미생물을 포함한 배양액에 염소이온(Cl-)을 함유한 이온결합 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a-2) 상기 배양액에 전극을 통해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오일 함유 미생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키는 단계;b) 상기 a-2)단계에서 오일이 배출된 배양액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오일이 포함된 유기용매층과 미생물 잔해가 포함된 물층으로 상분리하는 단계;c) 상기 미생물 잔해가 포함된 물층으로부터 상기 오일이 포함된 유기용매층을 별도로 분리한 후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3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일 함유 미생물은 미세조류, 박테리아, 효모, 진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4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아염소산염은 NaClO 또는 Ca(ClO)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중 오일 함유 미생물의 농도는 1 ~ 300g/L이고, 상기 배양액 중 차아염소산염의 농도는 0
6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염소이온(Cl-)을 함유한 이온결합 화합물은 NaCl, KCl, CaCl2 및 MgCl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7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중 오일 함유 미생물의 농도는 1 ~ 300g/L이고, 상기 배양액 중 염소이온(Cl-)을 함유한 이온결합 화합물의 농도는 0
8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9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분리는 중력침강 또는 원심분리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10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전에 오일 함유 미생물을 포함한 배양액을 농축 또는 희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11 11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미세조류는 Botryococcus braunii, Cylindrotheca sp
12 12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박테리아는 Arthrobacter sp
13 13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효모는 Candida curvata, Cryptococcus albidus, Lipomyces starkeyi, Rhodotorula glutini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14 1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진균은 Aspergillus oryzae, Mortierella isabellina, Humicola lanuginosa, Mortierella vinacea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엔엘피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일반사업 300톤급 PBR-Open pond 하이브리드형 배양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양산 및 디젤 연료화 통합시스템 실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