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고유전율 절연재료를 이용한 절연소자

  • 기술번호 : KST2015158140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불소계 용제에 고유전율 나노입자 및 고불소계 카르복실산 리간드를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제1단계); 상기 반응 종료 후 아세톤으로 고불소계 카르복실산 리간드로 치환된 고유전율 나노입자를 회수하는 단계(제2단계); 및 잔여 아세톤을 제거하는 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따라서 고불소계 용제에서 용액공정이 가능한 고유전율 절연재료를 제공한다. 고불소계 용제에 용해된 용액 상태의 고유전율 절연재료는 다양한 인쇄기법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태양전지 등의 절연소자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 하부에 형성되는 유기 반도체 층에 고불소계 용제가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손상을 입히지 않으므로 고품질의 층을 적층할 수 있다.
Int. CL H01B 3/10 (2006.01) H01B 17/56 (2006.01)
CPC H01B 3/10(2013.01) H01B 3/10(2013.01) H01B 3/10(2013.01) H01B 3/1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119237 (2013.10.07)
출원인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457304-0000 (2014.10.27)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4110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10.07)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진균 대한민국 인천 연수구
2 지중휘 대한민국 서울 양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백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이노플렉스 *차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10.07 수리 (Accepted) 1-1-2013-0906371-60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4.06.0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4.07.10 수리 (Accepted) 9-1-2014-0059388-99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4.08.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579669-69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7.22 수리 (Accepted) 4-1-2015-5098802-16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9.05 수리 (Accepted) 4-1-2016-5127132-4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02 수리 (Accepted) 4-1-2018-5036549-31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47-9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불소계 용제에 고유전율 나노입자 및 고불소계 카르복실산 리간드를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제1단계);상기 반응 종료 후 아세톤으로 고불소계 카르복실산 리간드로 치환된 고유전율 나노입자를 회수하는 단계(제2단계); 및 잔여 아세톤을 제거하는 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불소계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전율 나노입자 10 내지 20 중량부 및 고불소계 카르복실산 리간드 30 내지 60 중량부를 넣고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불소계 용제는 하이드로플로로에테르, (hydrofluoroethers), 과불소화 탄소(Perfluorocarbon), 수불화탄소 (hydrofluorocarbons) 및 불소화 방향족 용제(fluorinated aromatic solvent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4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유전율 나노입자는, 산화하프늄(Hafnium oxide),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및 타이타늄산바륨(Barium titanate)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불소계 카르복실산 리간드는, 에테르기를 가지며 불소 함량이 60 내지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6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불소계 카르복실산 리간드는, 퍼플로오로-3,6,9-트리옥사트리데캐노익애시드(perfluoro-3,6,9-trioxatridecanoic acid), 퍼플로오로 포스포닉 애시드(perfluoro phosphonic acid), ( 7,7,8,8,9,9,10,10,11,11,12,12,13,13,14,14,14-헵타데카플루오로테트라데카노익액시드(7,7,8,8,9,9,10,10,11,11,12,12,13,13,14,14,14-heptadecafluorotetradecanoic acid), 2-(5,5,6,6,7,7,8,8,9,9,10,10,11,11,12,12,12-헵타데카플루오로도데실)말로닉액시드(2-(5,5,6,6,7,7,8,8,9,9,10,10,11,11,12,12,12-heptadecafluorododecyl)malonic acid), 7,7,8,8,9,9,10,10,11,11,12,12,13,14,14,14-헥사데카플루오로-2-(5,5,6,6,7,7,8,8,9,9,10,10,11,11,12,12,12-헵타데카플루오로도데실)테트라데카노익액시드(7,7,8,8,9,9,10,10,11,11,12,12,13,14,14,14-hexadecafluoro-2-(5,5,6,6,7,7,8,8,9,9,10,10,11,11,12,12,12-heptadecafluorododecyl)tetradecanoic acid), 2-(5,5,6,6,7,7,8,8,9,9,10,10,11,11,12,12,12-헵타데카플로오로도데실)-2-(5,5,6,6,7,7,8,8,9,9,10,10,11,12,12,12-헥사데카플로오로도데실)말로닉 애시드 (2-(5,5,6,6,7,7,8,8,9,9,10,10,11,11,12,12,12-heptadecafluorododecyl)-2-(5,5,6,6,7,7,8,8,9,9,10,10,11,12,12,12-hexadecafluorododecyl)malonic acid), 퍼플로오로데카오닉 애시드(perfluorodecanoic acid) 및 퍼플로오로옥타데카오닉 애시드(perfluorooctadecano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7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유전율 절연재료를 고불소계 용제에 용해시키고 박막성형하여 얻어진 절연소자
8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연소자는 트랜지스터, 태양전지, 코팅제, 비휘발성 메모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백플레인, 2차전지 전해질, 유연집적회로, 유연전자종이 디스플레이 및 유연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소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품소재산업경쟁력향상(소재부품기술개발) 유연 전자 소자 적용을 위한 용액 공정용 고불소계 고유전율 절연 복합재료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