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시냅스 어레이, 펄스 쉐이퍼 회로 및 이들을 포함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15169872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SRAM 구조에 기반한 시냅스 어레이(synapse array), 펄스 쉐이퍼 회로(pulse shaper circuit), 및 뉴로모픽 시스템(neuromorphic system)이 제공된다.시냅스 어레이는 복수의 시냅스 회로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시냅스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두 개의 컷-오프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는 적어도 한 개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문턱 아래 누설 전류(sub-threshold leakage current)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와 연결된 뉴런 회로의 멤브레인 노드를 차지(charge)한다.
Int. CL G06N 3/063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40016336 (2014.02.13)
출원인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4-0144130 (2014.12.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30065669   |   2013.06.10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2.11)
심사청구항수 2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준석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
2 심재윤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3 류현석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
4 조화숙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2.13 수리 (Accepted) 1-1-2014-0140153-03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25 수리 (Accepted) 4-1-2014-5024386-11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02.11 수리 (Accepted) 1-1-2019-0137898-00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0 수리 (Accepted) 4-1-2019-5243581-27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2 수리 (Accepted) 4-1-2019-5245997-53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5 수리 (Accepted) 4-1-2019-5247115-6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SRAM 구조에 기반한 복수의 시냅스 회로들을 포함하는 시냅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냅스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는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ias transistor) 및 적어도 두 개의 컷-오프 트랜지스터(cut-off transistor)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ias transistor)를 통과하는 문턱 아래 누설 전류(sub-threshold leakage current)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와 연결된 뉴런 회로(neuron circuit)의 멤브레인 노드(membrane node)를 차지(charge)하는 시냅스 어레이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컷-오프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이용하여 상기 SRAM의 값을 변화시키는 시냅스 어레이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뉴런 회로는 상기 멤브레인 노드의 전압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실레이션 펄스(oscillation pulse)의 발생 횟수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파이크를 발화(firing)하는 시냅스 어레이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뉴런 회로는상기 멤브레인 노드의 전압에 기초하여 오실레이션 펄스(oscillation pulse)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상기 오실레이션 펄스의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counter); 및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상기 발생 횟수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시냅스 어레이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주기적으로 들어오는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기준 횟수와 상기 발생 횟수를 비교하는 시냅스 어레이
6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뉴런 회로는그라운드(GN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상기 오실레이션 펄스는 상기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켜 상기 멤브레인 노드를 리셋(reset)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시냅스 어레이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컷-오프 트랜지스터(cut-off transistor)는제1 컷-오프 트랜지스터 및 제2 컷-오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오프 트랜지스터는 풀-업(pull-up)을 위해 전원 전압(VDD)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컷-오프 트랜지스터는 풀-다운(pull-down)을 위해 그라운드(GND)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와 연결된 뉴런 회로(neuron circuit)의 멤브레인 노드(membrane node)에 연결되는 시냅스 어레이
8 8
뉴런 회로에서 발화(firing)된 스파이크(spike)에 대응하는 펄스들이 시냅스 회로의 시냅틱 웨이트(synaptic weight)를 강화(potentiation) 또는 약화(depression)시키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회로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쉐이퍼 회로는상기 펄스들을 저장하는 1-비트 D 플립플롭 체인을 포함하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상기 저장된 펄스들 중 상기 시냅틱 웨이트의 강화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에 대하여 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펄스를 생성하는 제1 OR 연산기; 및 상기 저장된 펄스들 중 상기 시냅틱 웨이트의 약화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에 대하여 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펄스를 생성하는 제2 OR 연산기를 포함하는 펄스 쉐이퍼 회로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쉐이퍼 회로는,상기 제1 OR 연산기의 값과 상기 제2 OR 연산기의 값을 기초로, 상기 시냅틱 웨이트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디지털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회로
11 11
SRAM 구조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를 포함하는 시냅스 어레이; 멤브레인 노드의 전압에 기초하여 스파이크를 발화(firing)하는 뉴런 회로, 및 상기 시냅스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ias transistor)를 통과하는 문턱 아래 누설 전류(sub-threshold leakage current)를 이용하여 상기 뉴런 회로의 멤브레인 노드(membrane node)를 차지(charge)하는 상기 시냅스 회로에 연결된 뉴런 회로; 및상기 발화된 스파이크에 대응하는 디지털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회로를 포함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시냅스 어레이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냅스 회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냅스 회로들;복수의 뉴런 회로들 및 복수의 펄스 쉐이퍼 회로들을 포함하는 뉴로모픽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뉴로모픽 시스템은디지털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시냅스 회로들 중 하나의 시냅스 회로의 업데이트 상태 및 상기 시냅스 회로를 위한 업데이트되는 값을 결정하는 STDP(spike-timing dependent plasticity) 로직 회로; 및상기 디지털 펄스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시냅스 회로를 액세스(access)하는 인코더(Encoder)를 더 포함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뉴런 회로는,상기 멤브레인 노드의 전압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실레이션 펄스(oscillation pulse)의 발생 횟수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파이크를 발화(firing)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14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냅스 어레이는 적어도 두 개의 컷-오프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컷-오프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이용하여 상기 SRAM 의 값을 변화시키는 뉴로모픽 시스템
15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뉴런 회로는상기 멤브레인 노드의 전압에 기초하여 오실레이션 펄스(oscillation pulse)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상기 오실레이션 펄스의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counter); 및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상기 발생 횟수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뉴런 회로는그라운드(GN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상기 오실레이션 펄스(oscillation pulse)는 상기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켜 상기 멤브레인 노드를 리셋(reset)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뉴로모픽 시스템
17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컷-오프 트랜지스터(cut-off transistor)는제1 컷-오프 트랜지스터 및 제2 컷-오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오프 트랜지스터는 풀-업(pull-up)을 위해 전원 전압(VDD)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컷-오프 트랜지스터는 풀-다운(pull-down)을 위해 그라운드(GND)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시냅스 회로와 연결된 뉴런 회로(neuron circuit)의 멤브레인 노드(membrane node)에 연결되는 뉴로모픽 시스템
18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펄스 쉐이퍼 회로들은,상기 발화(firing)된 스파이크(spike)에 대응하는 펄스들이 상기 시냅스 회로의 시냅틱 웨이트(synaptic weight)를 강화(potentiation) 또는 약화(depression)시키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펄스를 생성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STDP 로직 회로는상기 디지털 펄스가 상기 시냅틱 웨이트를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시냅스 회로들의 업데이트 상태 및 상기 시냅스 회로들에 업데이트되는 값을 결정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2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STDP 로직 회로는상기 복수 개의 뉴런 회로들에서 발화한 스파이크에 대응하는 디지털 펄스 상호 간의 스파이킹 타임(spike-timing)에 의존하여 상기 시냅스 회로들의 업데이트 유무 및 시냅스 회로들에 업데이트되는 값을 결정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21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뉴로모픽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뉴런 회로들 중 제1 뉴런 회로가 스파이크가 발화하는 경우, 상기 발화된 스파이크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펄스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상기 제1 뉴런 회로에 대응되는 시냅스 회로의 라이트 라인(Write Line; WL)을 인에이블(enable)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22 22
제21항에 있어서,상기 STDP 로직 회로는상기 제1 디지털 펄스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바라본 제2 뉴런의 제2 디지털 펄스의 값을 기초로, 상기 제1 뉴런 회로에 대응되는 시냅스 회로에 업데이트되는 값을 결정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23 23
제22항에 있어서,상기 STDP 로직 회로는상기 제1 디지털 펄스가 상기 제2 디지털 펄스보다 앞서는 경우, 시냅틱 웨이트를 강화하는 값을 상기 업데이트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24 24
제22항에 있어서,상기 STDP 로직 회로는상기 제2 디지털 펄스가 상기 제1 디지털 펄스보다 앞서는 경우, 상기 시냅틱 웨이트를 약화하는 값을 상기 업데이트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25 25
제22항에 있어서,상기 STDP 로직 회로는상기 제1 디지털 펄스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영('0')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뉴런 회로에 대응되는 시냅스 회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결정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26 2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상기 디지털 펄스에 따라 상기 시냅스 회로에 업데이트되는 값을 전달하는 뉴로모픽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4240753 CN 중국 FAMILY
2 EP0281403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3 EP0281403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4 EP02814036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5 US09418333 US 미국 FAMILY
6 US20140365416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4240753 CN 중국 DOCDBFAMILY
2 CN104240753 CN 중국 DOCDBFAMILY
3 US2014365416 US 미국 DOCDBFAMILY
4 US9418333 US 미국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