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담관암 유전자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담관암 진단킷트

  • 기술번호 : KST201517051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담관암 유전자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담관암 진단킷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조직내에서 발생하는 담관암에 대한 고발현 유전자와 저발현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간암과 차별적으로 발현하는 담관암을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담관암 진단방법 및 진단킷트에 관한 것이다. 담관암, 유전자 마커, 고발현, 저발현, 진단킷트
Int. CL G01N 33/574 (2006.01)
CPC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40024732 (2004.04.10)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0568724-0000 (2006.03.31)
공개번호/일자 10-2005-0099581 (2005.10.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60407)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4.04.10)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남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2 김용성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3 오정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서구
4 윤선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5 변상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중구
6 염영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동구
7 김대곤 대한민국 전라북도전주시덕진구
8 김주헌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9 김상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서구
10 강성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서구
11 박홍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유성구
12 유향숙 대한민국 대전광역시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학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로 **, ****호(이학수특허법률사무소)
2 백남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 KTB네트워크빌딩**층 한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4.04.10 수리 (Accepted) 1-1-2004-0148197-31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5.05.09 수리 (Accepted) 4-1-2005-0016474-59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5.10.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5.11.16 수리 (Accepted) 9-1-2005-0074444-44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6.02.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6-0068566-47
6 의견서
Written Opinion
2006.03.23 수리 (Accepted) 1-1-2006-0205314-38
7 명세서등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2006.03.2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06-0205313-93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6.03.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6-0171837-10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8.04.10 수리 (Accepted) 4-1-2008-5054980-73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5 수리 (Accepted) 4-1-2015-0007152-0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삭제
2 2
삭제
3 3
담관암 특이적 고발현 유전자인 RPL3P[NM_000967의 CDS 영역(27~1238)], ANXA1[NM_000700의 CDS 영역(75-1115)], HSPCA[NM_005348의 CDS 영역(61-2259)], PKM2[NM_002654의 CDS 영역(242-1837)], HSPCB[NM_007355의 CDS 영역(85-2259)], AKR1C2[NM_001354의 CDS 영역(23-994)], HLA-A[NM_002116의 CDS 영역(1-1098)], TM4SF1[NM_014220의 CDS 영역(102-710)], IFI27[NM_005532의 CDS 영역(55-423)], IFITM1[NM_003641의 CDS 영역(317-694)], MIG-6[NM_018948의 CDS 영역(213-1601)] 및 FER1L3[NM_013451의 CDS 영역(89-6274)]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와, 담관암 특이적 저발현 유전자인 RPS8[NM_001012의 CDS 영역(24-650)], FTH1[NM_002032의 CDS 영역(92-664)], CFL1[NM_005507의 CDS 영역(52-552)], TALDO1[NM_006755의 CDS 영역(51-1064)], KRT8[NM_002273의 CDS 영역(60-1511)], PSMB6[NM_002798의 CDS 영역(34-753)], NQO1[NM_000903의 CDS 영역(51-875)] 및 S100A4[NM_002961의 CDS 영역(70-375)]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대한 발현 정도의 측정을 통하여 담관암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진단킷트
4 4
제 3 항에 있어서, 담관암 특이적 고발현 유전자인 RPL3P[NM_000967의 CDS 영역(27~1238)], ANXA1[NM_000700의 CDS 영역(75-1115)], HSPCA[NM_005348의 CDS 영역(61-2259)], PKM2[NM_002654의 CDS 영역(242-1837)], HSPCB[NM_007355의 CDS 영역(85-2259)], AKR1C2[NM_001354의 CDS 영역(23-994)], HLA-A[NM_002116의 CDS 영역(1-1098)], TM4SF1[NM_014220의 CDS 영역(102-710)], IFI27[NM_005532의 CDS 영역(55-423)], IFITM1[NM_003641의 CDS 영역(317-694)], MIG-6[NM_018948의 CDS 영역(213-1601)] 및 FER1L3[NM_013451의 CDS 영역(89-6274)]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와, 담관암 특이적 저발현 유전자인 RPS8[NM_001012의 CDS 영역(24-650)], FTH1[NM_002032의 CDS 영역(92-664)], CFL1[NM_005507의 CDS 영역(52-552)], TALDO1[NM_006755의 CDS 영역(51-1064)], KRT8[NM_002273의 CDS 영역(60-1511)], PSMB6[NM_002798의 CDS 영역(34-753)], NQO1[NM_000903의 CDS 영역(51-875)] 및 S100A4[NM_002961의 CDS 영역(70-375)]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진단킷트
5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가 15 bp 이상의 D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진단킷트
6 6
제 3 항에 있어서, 담관암 특이적 고발현 유전자인 RPL3P[NM_000967의 CDS 영역(27~1238)], ANXA1[NM_000700의 CDS 영역(75-1115)], HSPCA[NM_005348의 CDS 영역(61-2259)], PKM2[NM_002654의 CDS 영역(242-1837)], HSPCB[NM_007355의 CDS 영역(85-2259)], AKR1C2[NM_001354의 CDS 영역(23-994)], HLA-A[NM_002116의 CDS 영역(1-1098)], TM4SF1[NM_014220의 CDS 영역(102-710)], IFI27[NM_005532의 CDS 영역(55-423)], IFITM1[NM_003641의 CDS 영역(317-694)], MIG-6[NM_018948의 CDS 영역(213-1601)] 및 FER1L3[NM_013451의 CDS 영역(89-6274)]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상보적인 프로브와 담관암 특이적 저발현 유전자인 RPS8[NM_001012의 CDS 영역(24-650)], FTH1[NM_002032의 CDS 영역(92-664)], CFL1[NM_005507의 CDS 영역(52-552)], TALDO1[NM_006755의 CDS 영역(51-1064)], KRT8[NM_002273의 CDS 영역(60-1511)], PSMB6[NM_002798의 CDS 영역(34-753)], NQO1[NM_000903의 CDS 영역(51-875)] 및 S100A4[NM_002961의 CDS 영역(70-375)]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진단킷트
7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200 ∼ 1000 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진단킷트
8 8
제 3 항에 있어서, 담관암 특이적 고발현 유전자인 RPL3P[NM_000967의 CDS 영역(27~1238)], ANXA1[NM_000700의 CDS 영역(75-1115)], HSPCA[NM_005348의 CDS 영역(61-2259)], PKM2[NM_002654의 CDS 영역(242-1837)], HSPCB[NM_007355의 CDS 영역(85-2259)], AKR1C2[NM_001354의 CDS 영역(23-994)], HLA-A[NM_002116의 CDS 영역(1-1098)], TM4SF1[NM_014220의 CDS 영역(102-710)], IFI27[NM_005532의 CDS 영역(55-423)], IFITM1[NM_003641의 CDS 영역(317-694)], MIG-6[NM_018948의 CDS 영역(213-1601)] 및 FER1L3[NM_013451의 CDS 영역(89-6274)]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코드되는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와 담관암 특이적 저발현 유전자인 RPS8[NM_001012의 CDS 영역(24-650)], FTH1[NM_002032의 CDS 영역(92-664)], CFL1[NM_005507의 CDS 영역(52-552)], TALDO1[NM_006755의 CDS 영역(51-1064)], KRT8[NM_002273의 CDS 영역(60-1511)], PSMB6[NM_002798의 CDS 영역(34-753)], NQO1[NM_000903의 CDS 영역(51-875)] 및 S100A4[NM_002961의 CDS 영역(70-375)]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코드되는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진단킷트
9 9
담관암 특이적 고발현 유전자인 RPL3P[NM_000967의 CDS 영역(27~1238)], ANXA1[NM_000700의 CDS 영역(75-1115)], HSPCA[NM_005348의 CDS 영역(61-2259)], PKM2[NM_002654의 CDS 영역(242-1837)], HSPCB[NM_007355의 CDS 영역(85-2259)], AKR1C2[NM_001354의 CDS 영역(23-994)], HLA-A[NM_002116의 CDS 영역(1-1098)], TM4SF1[NM_014220의 CDS 영역(102-710)], IFI27[NM_005532의 CDS 영역(55-423)], IFITM1[NM_003641의 CDS 영역(317-694)], MIG-6[NM_018948의 CDS 영역(213-1601)] 및 FER1L3[NM_013451의 CDS 영역(89-6274)]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코드되는 단백질과 담관암 특이적 저발현 유전자인 RPS8[NM_001012의 CDS 영역(24-650)], FTH1[NM_002032의 CDS 영역(92-664)], CFL1[NM_005507의 CDS 영역(52-552)], TALDO1[NM_006755의 CDS 영역(51-1064)], KRT8[NM_002273의 CDS 영역(60-1511)], PSMB6[NM_002798의 CDS 영역(34-753)], NQO1[NM_000903의 CDS 영역(51-875)] 및 S100A4[NM_002961의 CDS 영역(70-375)]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코드되는 단백질에 시험 화합물을 결합시키고, 시험 화합물이 상기 단백질의 작용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10 9
담관암 특이적 고발현 유전자인 RPL3P[NM_000967의 CDS 영역(27~1238)], ANXA1[NM_000700의 CDS 영역(75-1115)], HSPCA[NM_005348의 CDS 영역(61-2259)], PKM2[NM_002654의 CDS 영역(242-1837)], HSPCB[NM_007355의 CDS 영역(85-2259)], AKR1C2[NM_001354의 CDS 영역(23-994)], HLA-A[NM_002116의 CDS 영역(1-1098)], TM4SF1[NM_014220의 CDS 영역(102-710)], IFI27[NM_005532의 CDS 영역(55-423)], IFITM1[NM_003641의 CDS 영역(317-694)], MIG-6[NM_018948의 CDS 영역(213-1601)] 및 FER1L3[NM_013451의 CDS 영역(89-6274)]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코드되는 단백질과 담관암 특이적 저발현 유전자인 RPS8[NM_001012의 CDS 영역(24-650)], FTH1[NM_002032의 CDS 영역(92-664)], CFL1[NM_005507의 CDS 영역(52-552)], TALDO1[NM_006755의 CDS 영역(51-1064)], KRT8[NM_002273의 CDS 영역(60-1511)], PSMB6[NM_002798의 CDS 영역(34-753)], NQO1[NM_000903의 CDS 영역(51-875)] 및 S100A4[NM_002961의 CDS 영역(70-375)]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코드되는 단백질에 시험 화합물을 결합시키고, 시험 화합물이 상기 단백질의 작용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관암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