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혈액 유래당단백질을 동정하는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7083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진단 대상자의 혈액에서 종양 발생 및 전이과정에서 당질변화를 보이는 당단백질을 검출해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당단백질의 N-연결형 당쇄 중 종양의 발생과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특정 당쇄를 이용하여 질량분석 방법으로 당단백질을 찾아내는 방법 및 암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당단백질, 당쇄, 렉틴, 과상존 단백질
Int. CL G01N 30/02 (2006.01) G01N 30/00 (2006.01) G01N 33/49 (2006.01) G01N 33/53 (2006.01)
CPC G01N 33/6848(2013.01) G01N 33/6848(2013.01) G01N 33/684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80057652 (2008.06.19)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09-0131745 (2009.12.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8.06.19)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정헌 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
2 김용삼 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
3 유향숙 대한민국 대전시 서구
4 유종신 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5 오세정 대한민국 서울시 양천구
6 김철호 대한민국 대구시 수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성혜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지족로***번길 **, ***-*호 (지족동, 성훈프라자)(아이앤아이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8.06.19 수리 (Accepted) 1-1-2008-0437948-6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9.02.0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9.03.13 수리 (Accepted) 9-1-2009-0014234-16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0.08.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0-0382107-19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0.10.07 수리 (Accepted) 1-1-2010-0647089-21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0.10.0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0-0647087-30
7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1.02.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111315-66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5 수리 (Accepted) 4-1-2015-0007152-0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혈액 시료 내의 과상존 단백질을 과상존 단백질 제거용 크로마토그래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과상존 단백질이 제거된 시료를 환원 및 알킬화하는 단계; 리간드가 결합된 L4-PHA(Phytohemagglutinin-L4)와 상기 리간드에 결합하는 리간드 수용체가 결합된 글라이칸 비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L4-PHA-글라이칸 비드에 상기 환원 및 알킬화된 시료를 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L4-PHA-글라이칸 비드에 결합한 시료를 용출하는 단계; 상기 용출된 시료를 소화하여 질량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혈액 유래 당단백질을 동정하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이칸 비드는 아가로스 또는 세파로스 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단백질을 동정하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및 리간드 수용체는 바이오틴 및 아비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단백질을 동정하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단계는 우레아 또는 SDS-PAGE 변성완충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단백질을 동정하는 방법
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단백질은 종양 발생 또는 전이의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단백질을 동정하는 방법
6 6
대조구 및 분석구의 혈액 시료 내의 과상존 단백질을 각각 과상존 단백질 제거용 크로마토그래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과상존 단백질이 제거된 대조구 및 분석구 시료를 각각 환원 및 알킬화하는 단계; 리간드가 결합된 L4-PHA(Phytohemagglutinin-L4)와 상기 리간드에 결합하는 리간드 수용체가 결합된 글라이칸 비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L4-PHA-글라이칸 비드에 상기 환원 및 알킬화된 대조구 및 분석구 시료를 각각 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L4-PHA-글라이칸 비드에 결합한 대조구 및 분석구 시료를 각각 용출하는 단계; 상기 용출된 대조구 및 분석구 시료를 소화하여 질량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이칸 비드는 아가로스 또는 세파로스 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및 리간드 수용체는 바이오틴 및 아비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단계는 우레아 또는 SDS-PAGE 변성완충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1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구 및 분석구는 각각 정상인의 혈액과 진단 대상자의 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11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은 종양 발생 또는 전이의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12 12
상기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은 암 발생 및 전이에 관여하는 다이아실글리세롤 키나아제 제타의 긴 아이소폼(Isoform Long of Diacylglycerol kinase zeta), JmjC 도메인 함유 히스톤 디메틸화 단백질 2A(JmjC domai-containing histone demethylation protein 2A), 프로토카데린 알파 C2 전구체의 긴 아이소폼(Isoform Long of Ptorocadherin alpha C2 precursor), 뇌-구조-인자-1(Brain-rescue-factor-1), 숙주 세포 인자 2(Host cell factor 2), 이중 기능성 헤파란 설페이트 N-디아세틸화효소/N-황전이효소 4(Bifunctional heparan sulfate N-deacetylase/N-sulfotransferase 4), 폴리아민 변환 인자 1-결합 단백질 1(Polyamine modulated factor 1-binding protein 1), 카복시펩타다아제 B2 전구체의 아이소폼 2(Isoform 2 of Carboxypeptidase B2 precursor), FLJ00268 단백질(조각){FLJ00268 protein(Fragment)}, α-3 타입 Ⅵ 콜라겐 아이소폼 1 전구체 유사(Similar to alpha 3 type Ⅵ collagen isoform 1 precursor), B0416
13 13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검출되며, 대조구와 분석구 사이에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백질에 대한 각각의 항체가 흡착된 기질; 상기 당단백질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백질에 대한 각각의 항체; 리간드가 결합된 N-연결형 당쇄변화 측정용 렉틴; 발색 또는 발광 효소로 표지된 2차 항체; 및 발색 또는 발광 효소로 표지된 상기 리간드의 수용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키트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자궁암, 유방암 및 췌장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키트
15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은 니트로셀룰로오즈 막, 폴리비닐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폴리스티렌 수지로 합성된 웰 플레이트 및 유리로 된 슬라이드글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키트
16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색 또는 발광 효소는 퍼옥시데이즈,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키트
17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및 상기 리간드 수용체는 바이오틴 및 아비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키트
18 18
제13항에 있어서, 발색 또는 발광 기질액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키트
19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N-연결형 당쇄 변화 측정용 렉틴은 L4-PHA(Phytohemagglutinin-L4) 및 LCA(lens culinaris agglutinin)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키트
20 20
제13항에 있어서, 대조구와 분석구 사이에 β1,6 N-아세틸글루코사민 당쇄 가지의 차이를 보이는 당단백질은 다이아실글리세롤 키나아제 제타의 긴 아이소폼(Isoform Long of Diacylglycerol kinase zeta), JmjC 도메인 함유 히스톤 디메틸화 단백질 2A(JmjC domai-containing histone demethylation protein 2A), 프로토카데린 알파 C2 전구체의 긴 아이소폼(Isoform Long of Ptorocadherin alpha C2 precursor), 뇌-구조-인자-1(Brain-rescue-factor-1), 숙주 세포 인자 2(Host cell factor 2), 이중 기능성 헤파란 설페이트 N-디아세틸화효소/N-황전이효소 4(Bifunctional heparan sulfate N-deacetylase/N-sulfotransferase 4), 폴리아민 변환 인자 1-결합 단백질 1(Polyamine modulated factor 1-binding protein 1), 카복시펩타다아제 B2 전구체의 아이소폼 2(Isoform 2 of Carboxypeptidase B2 precursor), FLJ00268 단백질(조각){FLJ00268 protein(Fragment)}, α-3 타입 Ⅵ 콜라겐 아이소폼 1 전구체 유사(Similar to alpha 3 type Ⅵ collagen isoform 1 precursor), B0416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091543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2 WO20091543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091543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2 WO20091543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