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양력 발전장치

  • 기술번호 : KST2015172285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양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포일이 양력에 의해 수직 상승 및 하강하는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기존의 풍력 장치와는 다른 새로운 메커니즘으로 우수한 전력 생산 효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력 발전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상하로 승강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에어포일과; 상기 에어포일이 상사점과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에어포일을 뒤집는 턴오버(turnover)유닛과; 상기 에어포일에 연결되어 실린더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어 피스톤의 상하 방향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유닛과; 상기 운동변환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 CL F03D 5/00 (2006.01) F03D 5/06 (2006.01) F03D 11/00 (2006.01) F03D 11/02 (2006.01)
CPC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F03D 5/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10031902 (2011.04.06)
출원인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049217-0000 (2011.07.07)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1071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1.04.06)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안중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래구
2 김창환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3 김훈민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기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길 **, *층 (반포동, 새로나빌딩)(스카이특허법률사무소)
2 오위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길 **, *층 (반포동, 새로나빌딩)(스카이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1.04.06 수리 (Accepted) 1-1-2011-0251351-03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1.04.07 수리 (Accepted) 1-1-2011-0254899-14
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6.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304219-5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27-56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1.13 수리 (Accepted) 4-1-2016-5004891-78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09 수리 (Accepted) 4-1-2017-5004005-98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10 수리 (Accepted) 4-1-2017-5004797-1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베이스(10)와;상기 베이스(10)에 상하로 승강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에어포일(20)과;상기 에어포일이 상사점과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에어포일을 뒤집는 턴오버(turnover)유닛과;상기 에어포일에 연결되어 실린더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41)과;상기 피스톤과 연결되어 피스톤의 상하 방향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유닛과;상기 운동변환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유닛과 발전기(60) 사이에 연결되어 운동변환유닛의 회전 속도를 증속하여 발전기(60)로 전달하는 증속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유닛은 상단이 상기 피스톤(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컨넥팅로드(51)와, 상기 컨넥팅로드(51)의 하단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컨넥팅로드(51)의 상하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크랭크축(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팅로드(51)의 하단에는 상기 크랭크축(5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라이휠(5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유닛은, 지지대(30)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터(81)와, 상기 모터(81)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82)와, 상기 에어포일(20)의 양측 단부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어(82)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종동기어(83)와, 상기 에어포일(20)이 상사점 및 하사점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81)를 작동시키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실린더(4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 센싱홀(85a) 및 하부 센싱홀(85b)과, 상기 피스톤(41) 또는 지지대(3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하부 센싱홀(85a, 85b)과 대응하는 위치에 왔을 때 상기 상,하부 센싱홀(85a, 85b)을 감지하는 센서(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유닛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 구조물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에어포일(20)이 상승했을 때 에어포일(20)의 양측단부와 부딪히면서 에어포일(20)을 회전시키는 상부 턴오버돌기(86)와, 상기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에어포일(20)이 하강했을 때 에어포일(20)의 양측 단부와 부딪히면서 에어포일(20)을 회전시키는 하부 턴오버돌기(87)와, 상기 에어포일(20)의 양측 단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에어포일(20)이 180도 회전하여 뒤집어졌을 때 상기 상부 턴오버돌기(86) 또는 하부 턴오버돌기(87)가 통과하게 되는 간섭회피홀(8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력 발전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부산대학교 기계기반 융합부품소재 인재양성센터(GIFT)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 기계기반 융합부품소재 인재양성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