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중 유성기어유닛을 이용한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및이를 사용한 장치

  • 기술번호 : KST2015172357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중 유성기어유닛을 이용한 동력변환장치의 변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시스템은 유성기어유닛 2개 이상을 사용하여 입력된 동력을 다수로 분기하여 전달하고 출력하기 위한 동력분기수단과; 상기 동력분기수단으로부터 분기된 동력의 일부를 전달받아 그 회전력을 변환하여 다시 상기 동력분기수단으로 전달하는 변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어, 변속수단에 흐르는 동력이 속도변환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 감소되도록 하여, 변속시스템의 운전성, 제어성 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변속과정에 의한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며, 따라서 장치의 제작원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Int. CL F16H 3/44 (2006.01)
CPC F16H 57/082(2013.01) F16H 57/082(2013.01) F16H 57/0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10029266 (2001.05.26)
출원인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02-0090270 (2002.12.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5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노길 대한민국 부산 금정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구성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남로**번길 **, *층 (거제동, 대한타워)(특허법인부경)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1.05.26 수리 (Accepted) 1-1-2001-0123922-04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1.09.19 수리 (Accepted) 4-1-2001-0110169-73
3 출원인변경신고서
Applicant change Notification
2003.09.26 수리 (Accepted) 1-1-2003-5185472-09
4 출원인 변경 신고서
Applicant change Notification
2005.02.04 수리 (Accepted) 1-1-2005-0068764-0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5.02.04 수리 (Accepted) 4-1-2005-5011684-18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7.03.30 수리 (Accepted) 4-1-2007-5049227-6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27-56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1.13 수리 (Accepted) 4-1-2016-5004891-78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09 수리 (Accepted) 4-1-2017-5004005-98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10 수리 (Accepted) 4-1-2017-5004797-1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동력변환장치의 변속시스템에 있어서, 유성기어유닛 2개 이상을 사용하여 입력된 동력을 다수로 분기하여 전달하고 출력하기 위한 동력분기수단과;

상기 동력분기수단으로부터 분기된 동력의 일부를 전달받아 그 회전력을 변환하여 다시 상기 동력분기수단으로 전달하는 변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유닛 각각은 간단한 유성기어유닛, 복합 유성기어유닛, 짝을 이룬 유성기어유닛, 그리고 짝을 이룬 복합유성기어유닛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유닛 각각은 유성기어와 선기어가 내접하고 링기어와 유성기어가 내접하는 형태 및 유성기어와 선기어가 외접하고 링기어와 유성기어가 내접하는 형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기수단은 제1유성기어유닛 및 제2유성기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유성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일 요소와 제2유성기어유닛의 일 요소가 제1연결수단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다른 요소와 제2유성기어유닛의 다른 요소가 제2연결수단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또 다른 요소가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또 다른 요소가 부하에 연결되고,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과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과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S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이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R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R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S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R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S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R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R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S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S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S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R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R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S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S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S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S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S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C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R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C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2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R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R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R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S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S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의 고정 연결부(R1: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연결부(R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3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R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4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의 고정 연결부(C1:C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4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1)가 동력원(i)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가 부하(o)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캐리어(C2)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1)와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S2)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선기어의 고정 연결부(R1:S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유닛의 링기어(R2)와 상기 변속수단의 동력 출력부가 연결되어,

기호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분기수단은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속수단은 상기 유성기어유닛의 구성요소와 기어수단에 의해 맞물려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43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유닛과 상기 변속수단으로 동력이 입력되는 부분이 연결되는 중간에 감속기 또는 증속기가 더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44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유닛과 상기 변속수단에서 동력이 출력되는 부분이 연결되는 중간에 감속기 또는 증속기가 더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45 4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수단은 변속수단에의 입력회전속도에 대한 변속수단으로부터의 출력회전속도의 비인 변속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단변속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46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수단은 벨트-가변풀리형, 원추마찰차형, 원판형, 구면-구체형 변속수단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47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수단은 변속수단에의 입력회전속도에 대한 변속수단으로부터의 출력회전속도의 비인 변속비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유단변속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

48 48

제1항 내지 제4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49 49

제1항 내지 제4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50 50

제1항 내지 제4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1 51

제1항 내지 제4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력분기식 변속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0422320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0426333 KR 대한민국 FAMILY
3 WO200209730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511237 CN 중국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