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CRB N KO 마우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15174497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CRBN KO 마우스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CRBN 유전자를 이용한 대사성 질환 치료제, 그리고 AMPK 활성제 또는 AMPK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CRBN KO 마우스는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가 과다-활성화(hyper-activation)되어 개선된 글루코오스 항상성 및 인슐린 민감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CRBN KO 마우스는 HFD(high-fat diet)-유도된 비만에 대한 억제효과 뿐만 아니라, HFD-유도된 지방간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몸 전체(특히, 간)의 대사과정 및 에너지 항상성에 대한 연구 및 이해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사성 질환(예컨대, 비만, 당뇨병, 대사증후군, 등)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t. CL G01N 33/15 (2006.01) C12N 5/10 (2006.01) C12N 15/63 (2006.01) A01K 67/027 (2006.01)
CPC A01K 67/027(2013.01) A01K 67/027(2013.01) A01K 67/027(2013.01) A01K 67/02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013825 (2013.02.07)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4-0100731 (2014.08.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2.07)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철승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이광민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3 최세영 대한민국 서울 송파구
4 고희연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부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 태원빌딩 **층, 특허팀(주식회사씨젠)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2.07 수리 (Accepted) 1-1-2013-0115357-99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4.01.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072434-45
3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3.28 수리 (Accepted) 1-1-2014-0304004-11
4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4.29 수리 (Accepted) 1-1-2014-0411869-53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5.29 수리 (Accepted) 1-1-2014-0511430-47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5.2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511431-93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4.10.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732806-29
8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12.26 수리 (Accepted) 1-1-2014-1264218-70
9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5.01.27 수리 (Accepted) 1-1-2015-0089654-68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2.26 수리 (Accepted) 1-1-2015-0192944-98
11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5.06.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435628-0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CRBN KO(cereblon knockout) 동물의 제조방법:(a) 야생형 CRBN 유전자 결실용 선형화된 타겟팅 벡터(linearlized targeting vector)를 ES 세포(embryonic stem cells)에 형질전환(transfection)시키는 단계로,상기 야생형 CRBN 결실용 선형화된 타겟팅 벡터는 5’ to 3’ 방향으로 5’ 짧은 단편(short arm fragment), CRBN 유전자 결실용 목적 단편(fragment of interest) 및 3’ 긴 단편(long arm fragment)을 포함하며 상기 CRBN 유전자 결실용 목적 단편은 11개의 CRBN 엑손 중 하나 이상의 엑손을 포함하는 CRBN 유전자 타겟팅 부위(targeting region)를 대체할 수 있는 단편으로 선택 카세트(selection cassette)를 포함하고 상기 5’ 짧은 단편(short arm fragment) 및 3’ 긴 단편(long arm fragment)은 상기 CRBN 유전자 타겟팅 부위의 5’ 업스트림 및 3’ 다운스트림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며;(b) 상기 단계 (a)에서 얻어진 형질전환된 ES 세포를 배반포 세포(blastocyst)에 주입(injection)하고 자궁에 이식하여 이종접합성(heterozygous) F1 동물을 얻는 단계;(c) 상기 단계 (b)에서 얻어진 이종접합성 F1 동물과 정상 동물을 역교배(backcross)하는 단계로, 상기 역교배는 최소 10세대 이상 실시하며; 및(d) 상기 단계 (c)를 통해 얻어진 이종접합성 수컷 및 암컷을 교배하여 CRBN KO 동물을 얻는 단계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형질전환은 상기 선형화된 타겟팅 벡터가 상동 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을 통해 상기 ES 세포의 염색체 내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CRBN 유전자 타겟팅 부위는 1-2 kb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4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RBN 유전자 타겟팅 부위는 CRBN 유전자의 엑손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5’ 짧은 단편 및 3’ 긴 단편은 각각 2-4 kb 및 6-10 kb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선택 카세트는 형질전환 확인용 선택 마커(selection mark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카세트는 네오마이신 카세트(neomycin casset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ES 세포 및 상기 단계 (b)의 배반포 세포는 포유동물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9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마우스, 래트, 기니어 피그, 토끼,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영양, 개 또는 고양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RBN KO 동물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가 과다-활성화(hyper-activation)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11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RBN KO 동물은 HFD(high-fat diet)-유도된 비만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12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RBN KO 동물은 HFD-유도된 지방간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13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RBN KO 동물은 개선된 글루코오스 항상성 및 인슐린 민감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BN KO 동물의 제조방법
14 14
제 1 항의 야생형 CRBN 유전자 결실용 선형화된 타겟팅 벡터(linearlized targeting vector)로 형질전환된 인간을 제외한 CRBN KO ES 세포(embryonic stem cells)
15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CRBN KO 동물
16 16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a) CRBN(cereblon) 유전자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동물에 비만, 당뇨병 또는 대사증후군을 유도하는 단계;(b) 상기 동물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c) 상기 동물에서 CRBN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동물에서 CRBN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면 비만,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치료제로 판단한다
17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비만, 당뇨병 또는 대사증후군의 유도는 HFD(high-fat diet)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8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물질은 CRBN의 발현 억제를 통해 AMPK의 과다-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9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물질은 PPARγ, FAS, DGAT2, G6Pase, L-PK 또는 HMGCS의 발현을 추가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0 20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AMPK 활성제(activators)의 스크리닝 방법:(a) CRBN(cereblon) 유전자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및 AMPK α, β 및 γ 서브유니트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들을 포함하는 세포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세포에서 CRBN 단백질과 AMPK 서브유니트들 간의 결합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PK 활성제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세포에서 CRBN 단백질과 AMPK α 서브유니트 간의 결합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AMPK 복합체에 대한 γ 서브유니트의 친화성을 증가시키면 AMPK 활성제로 판단한다
21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AMPK 활성제는 지방합성과정(lipogenesis), 콜레스테롤 합성 및 글루코오스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2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AMPK 활성제는 비만, 당뇨병, 고혈압 또는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3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4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질환은 대사증후군, 증후군 X,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죽상혈전증, 관상동맥질환, 안정 및 불안정 협심증, 뇌졸중, 대동맥 협착증 또는 대동맥류 같은 대동맥 질환, 말초혈관질환 또는 급성 허혈성 심혈관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5 25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AMPK 억제제(inhibitors)의 스크리닝 방법:(a) CRBN(cereblon) 유전자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및 AMPK α, β 및 γ 서브유니트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들을 포함하는 세포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세포에서 CRBN 단백질과 AMPK 서브유니트들 간의 결합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PK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세포에서 CRBN 단백질과 AMPK α 서브유니트 간의 결합을 촉진시키거나 또는 AMPK 복합체에 대한 γ 서브유니트의 친화성을 저해시키면 AMPK 억제제로 판단한다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4123267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4123267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광주과학기술원 교과부)선도연구센터육성지원사업 생체막 다이나믹스 기전연구
2 교육과학기술부 광주과학기술원 교과부)도약연구(전략연구)지원사업 새로운 요실금 표적 이온채널 단백질의 도출 및 기능제어 연구(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