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74740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패턴화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부, 및 상기 태양전지부의 상부에 광투과부 및 광굴절 패턴부로 이루어진 커버글라스가 배치되며, 상기 커버글라스는,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광굴절 패턴부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광반사 방지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글라스의 광굴절 패턴부에 의해 태양광을 굴절시킴으로써 패턴화된 전면전극에 의해 흡수 또는 반사되며 손실되었던 태양광을 태양전지부 내에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글라스에 형성된 광반사 방지요철에 의해 커버글라스 표면에서 반사되었던 태양광을 반사시키지 않고, 태양전지부 내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광투과부 및 광굴절 패턴부로 이루어진 커버글라스에 광반사 방지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부착시킨 태양전지 모듈의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태양전지 모듈의 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t. CL H01L 31/0236 (2006.01) H01L 31/042 (2014.01)
CPC H01L 31/048(2013.01) H01L 31/048(2013.01) H01L 31/04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034121 (2014.03.24)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497941-0000 (2015.02.25)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5030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03.24)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용탁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강은규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3.24 수리 (Accepted) 1-1-2014-0280784-3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4.12.0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5.01.09 수리 (Accepted) 9-1-2015-0005355-28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5.02.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118936-5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패턴화된 전면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부; 및상기 태양전지부의 상부에 광투과부 및 광굴절 패턴부로 이루어진 커버글라스가 배치되며,상기 커버글라스는, 상기 광투과부 및 상기 광굴절 패턴부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광반사 방지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태양전지부 및 상기 커버글라스 사이에 봉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굴절 패턴부는 상기 전면전극의 패턴과 대응되는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굴절 패턴부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크기의 프리즘 형상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프리즘 형상의 밑면에 대한 빗변의 각도가 10도 내지 7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프리즘 형상의 폭은 상기 전면전극의 패턴 폭보다 1 ㎛ 내지 10 ㎛ 정도 더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반사 방지요철은 요철의 끝이 뾰족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반사 방지요철은 250nm 내지 300nm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9 9
패턴화된 전면전극을 형성한 태양전지부 및 커버글라스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커버글라스 상에 광굴절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광굴절 패턴부가 형성된 커버글라스 상에 광반사 방지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광반사 방지요철을 형성한 커버글라스를 상기 태양전지부의 상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0 10
제9항에있어서,상기 광반사 방지요철을 형성한 커버글라스를 상기 태양전지부 상부에 부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태양전지부와 상기 커버글라스 사이를 충진하기 위한 봉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1 11
제9항에있어서,상기 커버글라스 상에 광굴절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전면전극의 패턴과 대응되는 형상의 패턴으로 상기 광굴절 패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커버글라스 상에 광굴절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글라스 상에 패턴화된 SiNx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패턴화된 SiNx층이 형성된 커버글라스를 습식식각하여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광굴절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습식식각은 45% 내지 50% 농도의 HF 용액에 5분 내지 10분의 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4 14
제9항에있어서,상기 광굴절 패턴부가 형성된 커버글라스에 광반사 방지요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상기 광굴절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커버글라스 영역인 광투과부에도 상기 광반사 방지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5 15
제9항에 있어서,상기 광굴절 패턴부가 형성된 커버글라스에 광반사 방지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커버글라스 상에 반응성 이온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건식식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건식식각은 CF4 및 산소가 혼합된 가스를 이용하여 5분 내지 10분의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광주과학기술원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 고효율 집광형 III-V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