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15176760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표적 지향능 (targeting)을 갖는 박테리아와 약물 및 박테리아 캡슐을 함유한 생분해성/생적합성 이성질체 마이크로비드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은 특정 목표를 인식하여 능동적으로 이동하고, 박테리아를 이용한 치료는 물론 효과적인 약물전달을 통해 치료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또한, 유전자 조작을 통해 형성된 형광발현 또는/및 사멸유전자가 삽입된 약독화 박테리아를 이용해 보다 이동성이 향상되고 소형화된 약물전달시스템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새롭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Int. CL A61P 35/00 (2006.01) A61P 9/10 (2006.01) A61K 39/112 (2006.01) A61K 9/14 (2006.01)
CPC A61K 9/16(2013.01) A61K 9/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00013290 (2010.02.12)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629684-0000 (2016.06.07)
공개번호/일자 10-2011-0093324 (2011.08.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60614)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03.18)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석호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박종오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3 박성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4 김준휘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5 배현이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6 임병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7 박대철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
8 김재희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은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길 **, A동 *층 ***호 (문정동, H비지니스파크)(*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주광역시 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02.12 수리 (Accepted) 1-1-2010-0096331-18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07.23 수리 (Accepted) 4-1-2012-5157698-6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58-61
4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4.03.18 수리 (Accepted) 1-1-2014-0260849-42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4.08.2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4.09.15 수리 (Accepted) 9-1-2014-0075398-10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6.08 수리 (Accepted) 4-1-2015-5076218-57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8.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547628-48
9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5.10.19 수리 (Accepted) 1-1-2015-1006421-93
10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5.11.17 수리 (Accepted) 1-1-2015-1120370-04
11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5.12.17 수리 (Accepted) 1-1-2015-1240267-80
12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6.01.18 수리 (Accepted) 1-1-2016-0055505-78
1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6.01.1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6-0055504-22
1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6.05.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379153-56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7.07 수리 (Accepted) 4-1-2016-5093177-51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30 수리 (Accepted) 4-1-2018-5056463-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생분해성 및 생적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 박테리아 결합성이 있는 고분자, 표면의 나머지는 외부 박테리아 결합성이 없는 고분자인, 마이크로비드; 및상기 외부 박테리아 결합성이 있는 고분자에 결합된, 이동 및 센싱력을 가지고 있는 외부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비드 내부에 위치하며, 약물 또는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캡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인체 내에서 숙주의 양분을 이용하고, 편모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4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살모넬라 (Salmonella typhimuri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5 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허혈성 질환에 대해 표적 지향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6 6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허혈성 질환은 심근경색 및 뇌경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7 7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고형암에 대해 표적 지향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8 8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고형암은 대장암 및 유방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9 9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형광 또는 발광효소 (GFP/Lux gene)를 발현함으로써 인체 내 위치 파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0 10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외부 박테리아 자체만으로 허혈성 질환에 대해 치료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1 11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허혈성 질환은 심근경색 및 뇌경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2 1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외부 박테리아 자체만으로 고형암에 대해 치료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3 13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고형암은 대장암 및 유방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4 1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약독화(attenuation) 시켜 인체 내 면역반응을 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5 1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박테리아는 자살유전자(Suicide gene)의 도입 또는 항생제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6 16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비드는, 다단계 미세유체장치를 사용하여 약물 또는 박테리아를 상기 캡슐로 만들고, 이를 상기 마이크로비드에 함유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7 17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비드는, 생분해성 및 생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상기 약물 또는 박테리아의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8 18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약물은, 독소루비신, 또는 파크릴탁솔을 포함하는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19 19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비드는, 다단계 미세유체 장치를 사용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20 20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생분해성 및 생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키토산, 그 염 및 그 유도체; 덱스트란 및 그 유도체; 아카시아 검 (Acacia gum); 트라가칸친 (Tragacanthin);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펙틴 (Pec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알긴산 (Algi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아가 (Agar); 갈락토만난 (Galactomannan), 그 염 및 그 유도체; 잔탄 (Xanth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β-Cyclodextrin), 그 염 및 그 유도체; 아밀로오스 (Amylose, 수용성 전분), 그 염 및 그 유도체; 글리콜 키토산 (Glycol 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methyl cellulose, CM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Hydroxyethyl cellulose),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Hy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그 염 및 그 유도체; 메틸셀룰로오스 (Methyl cellulose), 그 염 및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Cellulose acetate phthalate), 그 염 및 그 유도체; 젤라틴 (Gela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 (Protamine sulfate); 폴리(베타-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β-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아크릴아미드 (Polyacrylamide, PA);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PAA);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ylcol, 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프로필렌 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및 폴리리아신 (Polylyasine);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21 21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비드는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진 양친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22 2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비드는 젤라틴, 콜라겐 및 박테리아 특이적 항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첨가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 박테리아 기반의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