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을 이용한 제니스테인으로부터 대사산물의 신규한 생산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5176864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을 이용한 제니스테인으로부터 대사산물의 신규한 생산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 BM3(CYP102A1) 및 그의 돌연변이체(mutant)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으로부터 3’-히드록실산물 제조용 조성물, 키트 및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C07K 14/195 (2006.01) C12P 17/06 (2006.01) C12Q 1/26 (2006.01) C12N 9/02 (2006.01)
CPC C12N 9/0006(2013.01) C12N 9/0006(2013.01) C12N 9/0006(2013.01) C12N 9/0006(2013.01) C12N 9/0006(2013.01) C12N 9/0006(2013.01) C12N 9/00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78057 (2012.07.18)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446051-0000 (2014.09.24)
공개번호/일자 10-2014-0011600 (2014.01.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4100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7.18)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철호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2 임형인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3 박보연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연향*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2 박창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3 권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주광역시 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7.18 수리 (Accepted) 1-1-2012-0572524-2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3.08.1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3.10.10 수리 (Accepted) 9-1-2013-0085465-26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11.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821894-57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58-61
6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1.27 수리 (Accepted) 1-1-2014-0083881-41
7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2.27 수리 (Accepted) 1-1-2014-0193490-05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3.13 수리 (Accepted) 1-1-2014-0244000-32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3.1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243987-91
10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4.07.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488920-13
11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4.08.11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757077-24
12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8.11 수리 (Accepted) 1-1-2014-0757090-18
1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2014.09.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632757-67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6.08 수리 (Accepted) 4-1-2015-5076218-57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7.07 수리 (Accepted) 4-1-2016-5093177-51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30 수리 (Accepted) 4-1-2018-5056463-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야생형 CYP102A1의 돌연변이체로부터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으로부터 3’-히드록실산물 제조용 조성물에 있어서,상기 야생형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CYP102A1 돌연변이체 M16V3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5)에서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C62S/I86L/I139T/Y365F, I86L/I401T, I86L/D351G, I86L/I153T/K187Q/N192I/K202Q, I86L/S89G, K224R/G271D/V281A/Q403K, N95T/I122F, T47S/Q73H/I86L/L272H/K309R, K59N/I86L/G240E/S383R, I86L/Y115C/I174S/T268A/Y313F, I86L/Y334C/A335V/D369G, S72C/I86L/K187S, I86L/Q206R/V267A/V297A/K336E, I86L/Q110L/N192S/Q206K/K289N, Q73R/I86L/S108N/I220M, I86L/F173C/N186K/K187Q, I86L/T152A/Q403R/V413A, I86L/I219N, 및 I39V/I86L/N213D/I259T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2
삭제
3 3
삭제
4 4
야생형 CYP102A1의 돌연변이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제니스테인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로부터 3'-히드록실산물의 생산방법에 있어서,상기 야생형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CYP102A1 돌연변이체 M16V3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5)에서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C62S/I86L/I139T/Y365F, I86L/I401T, I86L/D351G, I86L/I153T/K187Q/N192I/K202Q, I86L/S89G, K224R/G271D/V281A/Q403K, N95T/I122F, T47S/Q73H/I86L/L272H/K309R, K59N/I86L/G240E/S383R, I86L/Y115C/I174S/T268A/Y313F, I86L/Y334C/A335V/D369G, S72C/I86L/K187S, I86L/Q206R/V267A/V297A/K336E, I86L/Q110L/N192S/Q206K/K289N, Q73R/I86L/S108N/I220M, I86L/F173C/N186K/K187Q, I86L/T152A/Q403R/V413A, I86L/I219N, 및 I39V/I86L/N213D/I259T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5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생산방법은 NADPH-생성 시스템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6
삭제
7 7
삭제
8 8
야생형 CYP102A1의 돌연변이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 및 NADPH-생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니스테인으로부터 3’-히드록실산물 생산용 키트에 있어서,상기 야생형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CYP102A1 돌연변이체 M16V3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5)에서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C62S/I86L/I139T/Y365F, I86L/I401T, I86L/D351G, I86L/I153T/K187Q/N192I/K202Q, I86L/S89G, K224R/G271D/V281A/Q403K, N95T/I122F, T47S/Q73H/I86L/L272H/K309R, K59N/I86L/G240E/S383R, I86L/Y115C/I174S/T268A/Y313F, I86L/Y334C/A335V/D369G, S72C/I86L/K187S, I86L/Q206R/V267A/V297A/K336E, I86L/Q110L/N192S/Q206K/K289N, Q73R/I86L/S108N/I220M, I86L/F173C/N186K/K187Q, I86L/T152A/Q403R/V413A, I86L/I219N, 및 I39V/I86L/N213D/I259T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 9
제 8항에 있어서,상기 NADPH-생성 시스템은 glucose 6-phosphate, NADP+ 및 yeast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수산식품부 전남대학교 농림기술개발사업 효소전환 기술을 이용한 오디 유래 스틸베노이드계 식의약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