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을 이용한 플루바스타틴으로부터 대사산물의 신규한 생산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5177007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을 이용한 플루바스타틴으로부터 대사산물의 신규한 생산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 BM3(CYP102A1), CYP102A1의 돌연변이체(mutant) 및 CYP102A1의 돌연변이체의 카메라(chimera)를 포함하는 플루바스타틴으로부터 5-히드록실산물 및 6-히드록실산물제조용 조성물, 키트 및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C07K 14/195 (2006.01) C12P 1/04 (2006.01) C12Q 1/26 (2006.01) C12N 9/02 (2006.01)
CPC C12N 9/0042(2013.01) C12N 9/0042(2013.01) C12N 9/0042(2013.01) C12N 9/0042(2013.01) C12N 9/0042(2013.01) C12N 9/0042(2013.01) C12N 9/004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79060 (2012.07.20)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4-0012375 (2014.02.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140111204;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7.20)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철호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2 류상훈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3 강지연 대한민국 대전 동구
4 김소영 대한민국 대전 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2 박창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3 권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특허법인 플러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7.20 수리 (Accepted) 1-1-2012-0579596-19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3.08.1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3.10.10 수리 (Accepted) 9-1-2013-0085470-55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11.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821895-03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58-61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1.24 수리 (Accepted) 1-1-2014-0077631-58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1.2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077595-02
8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4.06.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422624-89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7.15 수리 (Accepted) 1-1-2014-0661721-57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4.07.15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661715-83
11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4.07.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508850-85
12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8.26 수리 (Accepted) 1-1-2014-0808735-44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6.08 수리 (Accepted) 4-1-2015-5076218-57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7.07 수리 (Accepted) 4-1-2016-5093177-51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30 수리 (Accepted) 4-1-2018-5056463-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야생형 CYP102A1, CYP102A1의 돌연변이체,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로부터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포함하는, 플루바스타틴으로부터 5-히드록실산물 및 6-히드록실산물 제조용 조성물에 있어서,상기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CYP102A1의 47번째 아미노산 아르기닌(R)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51번째 아미노산인 티로신(Y)이 알라닌,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64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가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74번째 아미노산 알라닌(A)이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81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86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알라닌,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87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143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188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267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치환에 의해 변화된 서열을 갖는 것이고,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는 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환원효소 도메인 474번째 리신(K)이 트레오닌(T)으로, 475번째 알라닌(A)이 발린(V)으로, 513번째 글루타민(Q)이 아르기닌(R)으로, 526번째 아르기닌(R)이 프롤린(P)으로, 547번째 글루타민(Q)이 글루탐산(E)으로, 559번째 글루탐산(E)이 아스파라트산(D)으로, 590번째 류신(L)이 페닐알라닌(F)으로, 591번째 알라닌(A)이 세린(S)으로, 600번째 아스파라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625번째 발린(V)이 류신(L)으로, 632번째 아스파라트산(D)이 아스파라긴(N)으로, 638번째 아스파라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640번째 리신(K)이 알라닌(A)으로, 652번째 알라닌(A)이 세린(S)으로, 661번째 글리신(G)이 아르기닌(R)으로, 665번째 트레오닌(T)이 알라닌(A)으로, 675번째 글루타민(Q)이 리신(K)으로, 676번째 프롤린(P)이 류신(L)으로, 679번째 알라닌(A)이 글루탐산(E)으로, 688번째 글루탐산(E)이 알라닌(A)으로, 716번째 트레오닌(T)이 알라닌(A)으로, 717번째 알라닌(A)이 트레오닌(T)으로, 742번째 알라닌(A)이 글리신(G)으로, 783번째 알라닌(A)이 발린(V)으로, 796번째 알라닌(A)이 트레오닌(T)으로, 814번째 리신(K)이 글루탐산(E)으로, 825번째 이소류신(I)이 메티오닌(M)으로, 826번째 아르기닌(R)이 세린(S)으로, 837번째 아르기닌(R)이 히스티딘(H)으로, 871번째 글루탐산(E)이 아스파라긴(N)으로, 882번째 이소류신(I)이 발린(V)으로, 888번째 글루탐산(E)이 글리신(G)으로, 894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리신(G)으로, 895번째 프롤린(P)이 세린(S)으로, 913번째 글리신(G)이 세린(S)으로, 948번째 글루탐산(E)이 리신(K)으로, 955번째 세린(S)이 아스파라긴(N)으로, 968번째 메티오닌(M)이 발린(V)으로, 971번째 글루타민(Q)이 글루탐산(E)으로, 980번째 메티오닌(M)이 발린(V)으로, 982번째 글루타민(Q)이 아르기닌(R)으로, 1009번째 알라닌(A)이 아스파르트산(D)으로, 1020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1022번째 히스티딘(H)이 티로신(Y)으로, 1023번째 글루타민(Q)이 리신(K)과 글루탐산(E)으로, 1040번째 글리신(G)이 세린(S)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에 의해 변화된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CYP102A1의 47번째 아미노산 아르기닌(R)이 류신(L)으로, 51번째 아미노산 티로신(Y)이 페닐알라닌(F)으로, 64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글리신(G)으로, 74번째 아미노산 알라닌(A)이 글리신(G)으로, 81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이소류신(I)으로, 86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이소류신(I)으로, 87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발린(V)으로, 143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글리신(G)으로, 188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글루타민(Q)으로, 267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발린(V)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에 의해 변화된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3
제 2항에 있어서,상기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CYP102A1의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F87A, R47L/Y51F, A74G/F87V/L188Q, R47L/L86I/L188Q, R47L/F87V/L188Q, R47L/F87V/L188Q/E267V, R47L/L86I/L188Q/E267V, R47L/L86I/F87V/L188Q, R47L/F87V/E143G/L188Q/E267V, R47L/E64G/F87V/E143G/L188Q/E267V, R47L/F81I/F87V/E143G/L188Q/E267V, R47L/E64G/F81I/F87V/E143G/L188Q/E267V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4
제 2항에 있어서,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는 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A475V/E559D/T665A/P676L/A679E/E688A/A742G/K814E/R826S/R837H/E871N/I882V/E888G/P895S/S955N/M968V/Q982R/A1009D/H1022Y/Q1023E, A475V/E559D/T665A/A679E/E688A/A742G/K814E/E871N/I882V/E888G/P895S/G913G/S955N/M968V/A1009D/H1022Y/Q1023E, K474T/A475V/A591S/D600E/V625L/D632N/K640A/T665A/A717T/A742G/A796T/K814E/I825M/I882V/E888/S955N/M968V/M980V/A1009D/D1020E/Q1023K/G1040S, K474T/A475V/R526P/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Q971E/A1009D/D1020E, K474T/A475V/Q513R/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 K474T/A475V/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 K474T/A475V/Q547E/L590F/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5
야생형 CYP102A1, CYP102A1의 돌연변이체 및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플루바스타틴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루바스타틴으로부터 5-히드록실산물 및 6-히드록실산물의 생산방법에 있어서,상기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CYP102A1의 47번째 아미노산 아르기닌(R)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51번째 아미노산인 티로신(Y)이 알라닌,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64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가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74번째 아미노산 알라닌(A)이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81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86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알라닌,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87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143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188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267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치환에 의해 변화된 서열을 갖는 것이고,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는 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환원효소 도메인 474번째 리신(K)이 트레오닌(T)으로, 475번째 알라닌(A)이 발린(V)으로, 513번째 글루타민(Q)이 아르기닌(R)으로, 526번째 아르기닌(R)이 프롤린(P)으로, 547번째 글루타민(Q)이 글루탐산(E)으로, 559번째 글루탐산(E)이 아스파라트산(D)으로, 590번째 류신(L)이 페닐알라닌(F)으로, 591번째 알라닌(A)이 세린(S)으로, 600번째 아스파라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625번째 발린(V)이 류신(L)으로, 632번째 아스파라트산(D)이 아스파라긴(N)으로, 638번째 아스파라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640번째 리신(K)이 알라닌(A)으로, 652번째 알라닌(A)이 세린(S)으로, 661번째 글리신(G)이 아르기닌(R)으로, 665번째 트레오닌(T)이 알라닌(A)으로, 675번째 글루타민(Q)이 리신(K)으로, 676번째 프롤린(P)이 류신(L)으로, 679번째 알라닌(A)이 글루탐산(E)으로, 688번째 글루탐산(E)이 알라닌(A)으로, 716번째 트레오닌(T)이 알라닌(A)으로, 717번째 알라닌(A)이 트레오닌(T)으로, 742번째 알라닌(A)이 글리신(G)으로, 783번째 알라닌(A)이 발린(V)으로, 796번째 알라닌(A)이 트레오닌(T)으로, 814번째 리신(K)이 글루탐산(E)으로, 825번째 이소류신(I)이 메티오닌(M)으로, 826번째 아르기닌(R)이 세린(S)으로, 837번째 아르기닌(R)이 히스티딘(H)으로, 871번째 글루탐산(E)이 아스파라긴(N)으로, 882번째 이소류신(I)이 발린(V)으로, 888번째 글루탐산(E)이 글리신(G)으로, 894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리신(G)으로, 895번째 프롤린(P)이 세린(S)으로, 913번째 글리신(G)이 세린(S)으로, 948번째 글루탐산(E)이 리신(K)으로, 955번째 세린(S)이 아스파라긴(N)으로, 968번째 메티오닌(M)이 발린(V)으로, 971번째 글루타민(Q)이 글루탐산(E)으로, 980번째 메티오닌(M)이 발린(V)으로, 982번째 글루타민(Q)이 아르기닌(R)으로, 1009번째 알라닌(A)이 아스파르트산(D)으로, 1020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1022번째 히스티딘(H)이 티로신(Y)으로, 1023번째 글루타민(Q)이 리신(K)과 글루탐산(E)으로, 1040번째 글리신(G)이 세린(S)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에 의해 변화된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방법
6 6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생산방법은 NADPH-생성 시스템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7
제 5항에 있어서,상기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CYP102A1의 47번째 아미노산 아르기닌(R)이 류신(L)으로, 51번째 아미노산 티로신(Y)이 페닐알라닌(F)으로, 64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글리신(G)으로, 74번째 아미노산 알라닌(A)이 글리신(G)으로, 81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이소류신(I)으로, 86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이소류신(I)으로, 87번째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이 발린(V)으로, 143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글리신(G)으로, 188번째 아미노산 류신(L)이 글루타민(Q)으로, 267번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E)이 발린(V)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에 의해 변화된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8
제 7항에 있어서,상기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CYP102A1의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F87A, R47L/Y51F, A74G/F87V/L188Q, R47L/L86I/L188Q, R47L/F87V/L188Q, R47L/F87V/L188Q/E267V, R47L/L86I/L188Q/E267V, R47L/L86I/F87V/L188Q, R47L/F87V/E143G/L188Q/E267V, R47L/E64G/F87V/E143G/L188Q/E267V, R47L/F81I/F87V/E143G/L188Q/E267V, R47L/E64G/F81I/F87V/E143G/L188Q/E267V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9
제 5항에 있어서,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는 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A475V/E559D/T665A/P676L/A679E/E688A/A742G/K814E/R826S/R837H/E871N/I882V/E888G/P895S/S955N/M968V/Q982R/A1009D/H1022Y/Q1023E, A475V/E559D/T665A/A679E/E688A/A742G/K814E/E871N/I882V/E888G/P895S/G913G/S955N/M968V/A1009D/H1022Y/Q1023E, K474T/A475V/A591S/D600E/V625L/D632N/K640A/T665A/A717T/A742G/A796T/K814E/I825M/I882V/E888/S955N/M968V/M980V/A1009D/D1020E/Q1023K/G1040S, K474T/A475V/R526P/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Q971E/A1009D/D1020E, K474T/A475V/Q513R/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 K474T/A475V/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 K474T/A475V/Q547E/L590F/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10
야생형 CYP102A1, CYP102A1의 돌연변이체 및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 및 NADPH-생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플루바스타틴으로부터 5-히드록실산물 및 6-히드록실산물의 생산용 키트에 있어서,상기 CYP102A1의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CYP102A1의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F87A, R47L/Y51F, A74G/F87V/L188Q, R47L/L86I/L188Q, R47L/F87V/L188Q, R47L/F87V/L188Q/E267V, R47L/L86I/L188Q/E267V, R47L/L86I/F87V/L188Q, R47L/F87V/E143G/L188Q/E267V, R47L/E64G/F87V/E143G/L188Q/E267V, R47L/F81I/F87V/E143G/L188Q/E267V, R47L/E64G/F81I/F87V/E143G/L188Q/E267V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고,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키메라는 상기 CYP102A1 돌연변이체의 아미노산의 치환위치와 치환되는 아미노산이 A475V/E559D/T665A/P676L/A679E/E688A/A742G/K814E/R826S/R837H/E871N/I882V/E888G/P895S/S955N/M968V/Q982R/A1009D/H1022Y/Q1023E, A475V/E559D/T665A/A679E/E688A/A742G/K814E/E871N/I882V/E888G/P895S/G913G/S955N/M968V/A1009D/H1022Y/Q1023E, K474T/A475V/A591S/D600E/V625L/D632N/K640A/T665A/A717T/A742G/A796T/K814E/I825M/I882V/E888/S955N/M968V/M980V/A1009D/D1020E/Q1023K/G1040S, K474T/A475V/R526P/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Q971E/A1009D/D1020E, K474T/A475V/Q513R/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 K474T/A475V/Q547E/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 K474T/A475V/Q547E/L590F/D600E/V625L/D638E/K640A/G661R/T665A/Q675K/T716A/A717T/A742G/A783V/K814E/I825M/E871N/I882V/E888G/D894G/E948K/S955N/M968V/A1009D/D1020E인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1 11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NADPH-생성 시스템은 glucose 6-phosphate, NADP+ 및 yeast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538298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수산식품부 전남대학교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고지혈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미생물 대사공학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