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 유전자 발현의 억제에 의한 재조합 단백질 증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78451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단백질분해효소 분비 억제조건에서의 고농도 재조합 목적 단백질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물의 현탁세포 배양 시 식물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의 분비가 억제되는 식물 현탁세포배양 조건에서 외래유전자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시킴으로서 재조합 목적 단백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 유전자의 ihpRNA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식물세포, 현탁세포 배양배지에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방법, 및 상기 형질전환세포 및 재조합 목적 단백질의 형질전환체를 공동 현탁배양하여 재조합 목적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저가의 비용으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재조합 목적 단백질을 식물세포 밖으로 분비시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RNAi, ihpRNA, 단백체학,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 hGM-CSF, 벼 세포 현탁 배양, 재조합 단백질 증산
Int. CL C12N 15/113 (2010.01.01)
CPC C12N 15/8218(2013.01) C12N 15/8218(2013.01) C12N 15/8218(2013.01) C12N 15/8218(2013.01) C12N 15/8218(2013.01) C12N 15/8218(2013.01) C12N 15/8218(2013.01) C12N 15/821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026981 (2009.03.30)
출원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0-0108782 (2010.10.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03.30)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문식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규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 **층 그린국제특허법률사무소 (둔산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03.30 수리 (Accepted) 1-1-2009-0190596-58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0.06.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0.07.14 수리 (Accepted) 9-1-2010-0043426-79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0.11.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0-0519987-39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0.12.28 수리 (Accepted) 4-1-2010-5245806-20
6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1.02.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061392-54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10.04 수리 (Accepted) 4-1-2012-5206243-46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1.29 수리 (Accepted) 4-1-2016-5013206-34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2.27 수리 (Accepted) 4-1-2019-5038917-11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23 수리 (Accepted) 4-1-2019-5146986-17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23 수리 (Accepted) 4-1-2019-5146985-61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22 수리 (Accepted) 4-1-2019-5219602-91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6 수리 (Accepted) 4-1-2020-5149086-7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5'에서 3' 방향으로 (a) 식물체의 구성적 프로모터; (b)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 유전자의 센스 서열; (c) 알파-아밀라아제 유전자의 첫 번째 인트론; (d)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 유전자의 안티 센스 서열; 및 (e) 3' UTR 을 포함하는 식물세포 발현용 벡터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터는 CaMV 35S 프로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aMV 35S 프로모터는 중복된 CaMV 35S 프로모터 (du 35S-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UTR은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 유전자의 3' UT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아밀라아제는 벼의 알파-아밀라아제 3D, 벼의 알파-아밀라아제 3E 및 벼의 알파-아밀라아제 1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벡터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도 2에 기재된 pMYP108 또는 pMYP109인 벡터
7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8 8
제7항에 있어서,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주세포
9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식물세포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은 담배, 벼, 감자, 토마토, 상추 및 고구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세포
11 11
식물세포 배양배지에서 당을 결핍시킨 배지 상에서, 제9항에 따른 형질전환된 식물세포를 현탁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 배양배지는 N6 배지, SH 배지, MS 배지, AA 배지 및 LS 배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13 13
(a) 제9항 또는 10항에 따른 형질전환된 식물세포 및 재조합 목적 단백질의 형질전환체를 당 결핍 배지에서 공동 현탁배양하여,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아제의 분비가 억제된 상태로 재조합 목적 단백질을 공동발현하는 단계; 및 (b) 공동 현탁배양한 배양물로부터 재조합 목적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물세포를 이용한 재조합 목적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 배양배지는 N6 배지, SH 배지, MS 배지, AA 배지 및 LS 배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목적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방법
15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목적 단백질은 GM-CSF(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hIL-12(human interleukin-12), hIL-18( human interleukin-18), G-CSF(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t-PA(tissue-Plasminogen Activator), EGF(EGF(Epidermal Growth Factor), GH(Growth Hormone),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2), BMP-7(Bone Morphogenetic Protein-7), OPG(Osteoproteoerin) 또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목적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목적 단백질은 인체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hGM-CS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목적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