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오염토양(10, 10')의 상부에 비오염토양(30)을 성토하여 오염토양(10, 10')을 안전하게 격리하되, 상기 오염토양(10, 10')과 비오염토양(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오염토양(10, 10')으로부터 비오염토양(30)으로 상승하는 수소 이온,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과 수분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상기 비오염토양(30) 상부에 위치되어 모세관 현상 또는 지하수위 상승에 의하여 하부의 오염토양(10, 10')으로부터 상승하는 수소이온과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중화 및 중금속 상승 차단층과(21);상기 중화 및 중금속 상승 차단층(21) 상부에 위치되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오염토양(10, 10')으로부터 상승하는 수분과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공극이 큰 물질로 형성되어 모세관고를 낮추는 수분상승 차단층과(22);상기 수분상승 차단층(22)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분상승 차단층(22)이 형성하고 있는 공극에 토사가 유입되어 상기 수분상승 차단층(22)의 공극이 축소됨으로써 수분상승 차단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수성막의 기능을 포함하며, 토양에서 2 내지 3년 동안 토사유입 차단역할을 한 후 분해되도록 환경친화적 물질로 구성되는 토사유입 차단층(23);으로 이루어져 기능성 다층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차단층
|
2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 및 중금속 상승 차단층(21)은 산에 대한 높은 중화능력과 중금속 제거능력을 가지도록 산화철, 제올라이트, 석영이 주 구성광물이며, silt가 75% 내지 100%를 차지하는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해원소가 극미량으로 존재하고 있어 환경오염문제를 유발시킬 개연성이 낮은 JGK®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차단층
|
3 |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형성된 오염토양 차단층이 사용되는 기능성 다층객토 복원공법에 있어서,오염 부지를 정밀조사하는 단계(S100)와;상기 단계(S100) 후, 토양의 오염이 환경기준을 초과하는지와 식물에 전이가 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S110)와;상기 단계(S110) 후, 환경기준 초과 또는 식물에 전이가 되었을 경우, 고심도 오염인지를 파악하는 단계(S120)와;상기 단계(S120) 후, 토양의 가장 최상부를 개량하는 표토개량으로 오염토양이 복원 가능한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상기 단계(S130) 후, 얕은 심도의 표토가 오염되어 있고, 상기 표토개량으로 복원이 불가능한 경우, 오염표토(11)와 비오염토양(30, 30')을 분리 굴착한 후 오염표토(11)을 하부에 채우고 상기 오염토양 차단층(20)을 설치한 후 비오염토양(30)을 상부에 되메우는 제 1 기능성 다층객토를 시행하는 단계(S140)와;상기 단계(S130) 후, 얕은 심도의 표토가 오염되어 있으나 표토개량으로 복원이 가능한 경우, 오염토양(10, 10')을 중화시키고 pH 상승과 인산비료의 시비에 의한 비소 및 6가 크롬의 이동성과 독성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는 재료로 선정된 기능성 첨가제를 양질의 토양과 혼합하여 오염토양(10, 10')을 기능성 객토개량하는 단계(150)와;상기 단계(S150) 후, 식물의 성장 및 중금속 거동을 고려한 시비기준 도출 및 시비단계(S190)와;상기 단계(S190) 후, 오염부지 복원공사 완료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층객토 복원공법
|
4 |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형성된 오염토양 차단층이 사용되는 기능성 다층객토 복원공법에 있어서,오염 부지를 정밀조사하는 단계(S100)와;상기 단계(S100) 후, 토양의 오염이 환경기준을 초과하는지와 식물에 전이가 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S110)와;상기 단계(S110) 후, 환경기준 초과 또는 식물에 전이가 되었을 경우, 고심도 오염인지를 파악하는 단계(S120)와;상기 단계(S120) 후, 토양의 가장 최상부를 개량하는 표토개량으로 오염토양이 복원 가능한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상기 단계(S130) 후, 토양의 오염심도가 깊어 상기 표토개량으로의 복원 및 오염토양(10, 10')을 중화시키고 pH 상승과 인산비료의 시비에 의한 비소 및 6가 크롬의 이동성과 독성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는 재료로 선정된 기능성 첨가제를 양질의 토양과 혼합하여 오염토양(10, 10')을 기능성 객토개량하는 단계(150)가 불가능할 경우, 복토에 의해 기존 지반고의 상승이 관수, 배수 또는 부지활용에 문제가 되는지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60)와;상기 단계(S160) 후, 복토에 의한 기존 지반고의 상승이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오염토양(10, 10')의 상부에 상기 오염토양 차단층(20)을 설치하고, 상기 오염토양 차단층(20)의 상부에 작토깊이의 비오염토양(30)을 성토하여 기존 지반고보다 상승되도록 하는 제 2 기능성 다층객토 단계(S170)와;상기 단계(S170) 후, 식물의 성장 및 중금속 거동을 고려한 시비기준 도출 및 시비단계(S190)와;상기 단계(S190) 후, 오염부지 복원공사 완료 및 모니터링을 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층객토 복원공법
|
5 |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형성된 오염토양 차단층이 사용되는 기능성 다층객토 복원공법에 있어서,오염 부지를 정밀조사하는 단계(S100)와;상기 단계(S100) 후, 토양의 오염이 환경기준을 초과하는지와 식물에 전이가 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S110)와;상기 단계(S110) 후, 환경기준 초과 또는 식물에 전이가 되었을 경우, 고심도 오염인지를 파악하는 단계(S120)와;상기 단계(S120) 후, 토양의 가장 최상부를 개량하는 표토개량으로 오염토양이 복원 가능한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상기 단계(S130) 후, 토양의 오염심도가 깊고, 상기 표토개량으로 복원이 불가능할 경우, 복토에 의해 기존 지반고의 상승이 관수, 배수 또는 농기계의 접근에 문제가 되는지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60)와;상기 단계(S160) 후, 복토에 의한 기존 지반고의 상승이 문제가 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토양(10, 10')의 상부에 상기 오염토양 차단층(20)을 설치하고, 상기 오염토양 차단층(20)의 상부에 작토깊이의 비오염토양을 성토하는 제 2 기능성 다층객토 단계(S170)로 복원이 어려운 경우, 오염토양(10)의 표토를 제거한 후 제거된 토양은 인근 광미적치장 또는 폐기물 매립장에 매립하거나 제거된 오염토양에 대하여 2차 복원을 하며, 표토가 제거된 상부에 상기 오염토양 차단층(20)을 설치하고, 상기 오염토양 차단층(20) 상부에 비오염토양(30)을 복토하여 작토층을 조성하는 제 3 기능성 다층객토 단계(S180)와;상기 단계(S180) 후, 식물의 성장 및 중금속 거동을 고려한 시비기준 도출 및 시비단계(S190)와;상기 단계(S190) 후, 오염부지 복원공사 완료 및 모니터링을 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층객토 복원공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