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카드뮴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88386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카드뮴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및 이를 이용하여 카드뮴 노출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드뮴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은 카드뮴 노출 여부 모니터링 및 위해성 판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카드뮴에 의해 야기되는 독성 작용 기작을 규명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Int. CL C12Q 1/68 (2006.01) C12N 15/11 (2006.01)
CPC C12Q 1/6876(2013.01) C12Q 1/6876(2013.01) C12Q 1/6876(2013.01) C12Q 1/687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93836 (2012.08.27)
출원인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4-0033259 (2014.03.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8.27)
심사청구항수 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영록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2 이상민 대한민국 서울 중구
3 김혜림 대한민국 서울 중구 청구로
4 프리야폰 쾨드리드 태국 서울 중구 청구로
5 권지영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6 원종일 대한민국 서울 강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8.27 수리 (Accepted) 1-1-2012-0689111-92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12.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862597-0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10 수리 (Accepted) 4-1-2014-0002002-62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2.12 수리 (Accepted) 1-1-2014-0138680-49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2.12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138685-77
6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4.06.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426991-13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4.07.23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693654-80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7.23 수리 (Accepted) 1-1-2014-0693655-25
9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4.08.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564399-96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16 수리 (Accepted) 4-1-2019-516348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DNA 손상 또는 수선과 관계있는, 하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핵산 서열 전부; 또는 상기 유전자의 단편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그의 상보가닥 분자가 집적된 카드뮴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0346[SRY (sex determining region Y)-box 9 (campomelic dysplasia, autosomal sex-reversal)],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203339(clusterin),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5194[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beta],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2421[matrix metallopeptidase 1 (interstitial collagenase)],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173354[SNF1-like kinase],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2498[NIMA (never in mitosis gene a)-related kinase 3],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6407(ADP-ribosylation-like factor 6 interacting protein 5),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24148[APEX nuclease (multifunctional DNA repair enzyme) 1],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17006[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22522(caspase 2),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139109(XPA binding protein 2),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22210(MYC associated factor X),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012742[wee 1 homolog (S
2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유전자가 카드뮴 노출에 의하여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인 마이크로어레이 칩: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0346[SRY (sex determining region Y)-box 9 (campomelic dysplasia, autosomal sex-reversal)],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203339(clusterin),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5194[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beta],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2421[matrix metallopeptidase 1 (interstitial collagenase)],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173354[SNF1-like kinase],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24148[APEX nuclease (multifunctional DNA repair enzyme) 1],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17006[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22522(caspase 2),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139109(XPA binding protein 2),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22210(MYC associated factor X),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012742[wee 1 homolog (S
3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유전자가 카드뮴 노출에 의하여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인 마이크로어레이 칩: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2498[NIMA (never in mitosis gene a)-related kinase 3],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6407(ADP-ribosylation-like factor 6 interacting protein 5),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133546[protein phosphatase 1, regulatory (inhibitor) subunit 15A],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53520(E74-like factor 1),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134520[Rad54 like 2 (S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가닥 분자는 상기 유전자의 핵산 서열의 15 내지 50개의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어레이 칩
5 5
실험군으로서 카드뮴 노출이 의심이 되는 개체의 체세포 및 대조군으로서 정상 개체 유래의 체세포로부터 각각 RNA 시료를 분리하고;상기 각각의 RNA 시료로부터 cDNA를 합성하면서 상기 cDNA를 형광물질로 표지하고;상기 형광물질로 표지된 cDNA를 제1항의 마이크로어레이 칩과 혼성화 반응을 하고;상기 반응한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얻고; 그리고상기 데이터에서 상기 마이크로어레이 칩 상의 실험군과 대조군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카드뮴 노출에 의해 발현량이 변화하는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물질은 Cy3, Cy5, FITC(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 RITC(rhodamine-B-isothiocyanate) 및 로다민(rhod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카드뮴 노출에 의해 발현량이 변화하는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7 7
제1항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포함하는 카드뮴 노출 여부 확인용 키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403506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403506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환경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세대에코이노베이션기술개발 유해 중금속 납, 카드뮴의 인벤토리 예측 모델 구축 및 저감화 기술 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