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자극반응성 기계적 동작 활성화를 위한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5200012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자극반응성 기계적 동작 활성화를 위한 이방성 나노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방성 나노구조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가교결합이 가능한 자극반응성 고분자와 자극 비반응성 고분자를 이용해서 전기수력적 공동분사 방법으로 물리화학적으로 구획화되고, 외부 자극에 의한 각 구획들이 상이한 기계적 동작 활성화를 구현하는, 자극반응성 기계적 동작 활성화를 위한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 상기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를 이용한 약물 전달 및 조직 공학으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Int. CL D06M 10/00 (2006.01) A61L 27/56 (2006.01) D04H 1/728 (2012.01) D01D 5/00 (2006.01)
CPC D01D 5/28(2013.01) D01D 5/28(2013.01) D01D 5/28(2013.01) D01D 5/28(2013.01) D01D 5/28(2013.01) D01D 5/2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077580 (2013.07.03)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408059-0000 (2014.06.10)
공개번호/일자 10-2014-0009026 (2014.01.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4070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20073197   |   2012.07.05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7.03)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동우 대한민국 경기 과천시 별양로 **,
2 정찬우 대한민국 경기 안양시 만안구
3 굴람 자라니 파키스탄 경기 안산시 상록구
4 이재상 대한민국 경기 안산시 상록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울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 ***호(역삼동, 혜전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7.03 수리 (Accepted) 1-1-2013-0597388-75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4.03.2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4.04.09 수리 (Accepted) 9-1-2014-0031071-87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4.05.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321988-9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1) 물리적 또는 화학적 가교결합이 가능한 자극반응성 고분자와 자극 비반응성 고분자를 준비하는 단계;2) 단계 1)의 고분자들을 전기수력적 공동분사(Electrohydrodynamic co-jetting) 방법을 통해 나노섬유 구조체로 제조하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구조체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교 결합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2 2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자극반응성 고분자는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코-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Poly (N-isopropyl acrylamide-co-stearyl acrylate), Poly(NIPAm-co-S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코-알릴아민)[poly(N-isopropyl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및 아크릴 부분(acrylic moiety)을 가지는 poly(NIPAM-co-A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자극 비반응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4 4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자극은 열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5 5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전기수력적 공동분사 방법은 1) 변형된 아크릴부분 공중합체에 광중합개시제(Photo-initiator)를 용해시켜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2) 상기 혼합액을 상부에 듀얼 채널 니들(dual channel needle)이 연결되고 하부에 게이지 금속 노즐이 연결된 주사기에 적재하는 단계; 3) 발전기를 통해 금속 노즐에 양 전압을 형성시키는 단계;4) 상기 혼합액을 주사기로부터 금속 노즐에 흘리는 단계; 및5) 금속 노즐 하부에서 알루미늄 박을 이용하여 기질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6 6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자외선은 10 내지 100 mW/cm2의 전력에서 1분 내지 6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7 7
물리적 또는 화학적 가교결합이 가능한 자극반응성 고분자 및 자극 비반응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로서, 상기 자극반응성 고분자 및 상기 자극 비반응성 고분자는 이방성 구획화를 유지하고, 외부 자극에 따라 각 구획이 상이한 기계적 동작 활성화(mechanical actuation)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
8 8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극은 열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
9 9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는 수용액 상에서 온도에 따라 선형 또는 코일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
10 10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의 구획화에 의해 형성된 각 구획에 분자량이 다른 약물이 함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
11 11
10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DNA, RNA, BSA(Bis(trimethylsilyl)acetaide)를 포함한 생체 고분자 단백질, DMP(dimethyl phthalate),adriamycin, ifosfamide, thiotepa, melphalan, methotrexate, mitoxantrone, estramustine, bleomycin, velban, taxanes, thalidomide, etoposide, phosphate, taxol, vincristine, dexamethasone, doxorubicin, busulfan, cytoxan, cyclophosphamide, bischloroethyl nitrosourea, cytosine arabinoaside 및 6-thioguanine 중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
12 12
제 10항의 이방성 나노섬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약물 제어 방출용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